지장정사(논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장정사(논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지장정사(논산)

14.7 Km    21596     2023-03-13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화곡안길 103

* 실천하는 불교, 지장정사 *

지장정사(地藏精舍)는 1980년 6월 주지 덕산 창법스님이 계룡산에서 1,000일 기도를 마치신 후 이곳 노성면 화곡리 옛 절터가 있었다는 마을에 자리를 잡고 불사를 시작하였다. 현재의 대웅전(大雄殿)의 부처님이 모셔진 상단부가 바로 초기의 지장암(地藏庵)의 대웅전으로 약 10여평 정도였다. 1995년에는 영산전(천불전)을 조성하였으며 1997년 선재어린이집을 개원하였다. 2002년에는 극락전과 연화대(납골당)를 중창하였다. 2005년부터 템플스테이를 운영하고 있으며,2006년에 사회복지법인 지장원을 설립하고 2008년 노인 전문 요양원인 공주효센터를 개원하여 복지사업에도 참여하고 있다.

* 나눔과 실천을 배우는 체험, 지장정사 산사체험 *

지장정사 템플스테이는 풀냄새 그윽한 농촌의 소박한 사찰에서 차명상, 발우공양, 108배 정진, 참부처만나기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섬세한 사찰예절과 상식에 대한 강의로 시작하여 발우공양, 108배 정진, 차 명상을 통한 쉬우면서도 의미 있는 시간을 준비하였다. 또한 딸기따기, 밤줍기, 방울토마토 따기, 채소밭 체험, 야생화 숲길 걷기등 농촌체험을 경험할 수 있다. 지장정사는 “나눔, 실천이 곧 불성이다” 라는 덕산 큰스님의 가르침에 따라 부처님의 가르침을 배우고, 실천하기 위하여 나눔운동으로 회향을 하고 있다.

국수무료급식 봉사, 독거노인돕기등의 봉사활동으로 회향식을 진행한다. 사찰체험뿐만 아니라 나눔과 봉사에 참여하고자 하시는 분들을 위하여 봉사체험프로그램도 준비하였다. 지장정사는 해마다 경로잔치를 베풀며, 계절 따라 40여만 마리의 물고기를 방생하며, 독거노인들을 찾아가 봉사하며, 국수를 삶아 시장상인들과 나누며, 눈이오나 비가 오나 일요법회를 봉행하며, 스님들의 밤낮 없는 염불수행으로, 법원스님의 주옥같은 법문으로, 덕산 큰스님의 끊임없는 천일기도 정진으로, 지장정사 불자들의 불심으로 이루어내고 있는 대작 불사이다.

늘푸른솔

늘푸른솔

14.8 Km    4149     2023-02-27

충청남도 공주시 사곡면 정안마곡사로 1198
041-841-6387

충남 공주시 사곡면 유룡리에 있는 충청남도 '미더유' 로컬푸드 인증, 공주 향토음식 지정 업소이다. 메뉴로는 공주 지역의 향토음식인 퉁퉁장을 재료로 한 시래기 퉁퉁장 정식, 시래기 된장정식 등 다양한 메뉴를 제공한다.

세종중앙공원

14.8 Km    1     2023-07-04

세종특별자치시 중앙공원로 60

세종중앙공원은 세종시 세종동에 있다. 138만㎡의 대지 위에 12여 종의 스포츠를 즐길 수 있는 복합 체육시설을 비롯해 가족 단위로 여가를 즐길 수 있는 가족여가숲, 소규모 문화 행사를 개최할 수 가족예술숲, 여러 가지 산책로 등이 갖춰져 있다. 공원 인근에는 전월산국민여가캠핑장이 있다.

세종낙화축제

세종낙화축제

14.8 Km    3     2024-05-31

세종특별자치시 중앙공원로 60 (세종동)
044-850-0593

‘세종낙화축제’는 지난 2월 우리 市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세종 불교 낙화법’을 활용해 낭만적인 경험을 선사한다. 낙화봉에서 숯가루가 붉게 타며 떨어지는 모습과 타닥타닥 튀는 소리를 들으며 불멍하며 여유를 즐길 수 있다.

전통시장 청년상인 축제

전통시장 청년상인 축제

14.8 Km    0     2024-06-10

세종특별자치시 중앙공원로 60 (세종동)
042-826-5930

2024 전통시장 청년상인 축제는 중소벤처기업부가 주최하고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 주관, 세종시가 후원하는 'Unlimited 청년이 만드는 Limited 축제' 이다.
첫 해를 맞이한 청년상인 축제는 단 3일간만 만날 수 있는 청년상인들의 한정판 상품과 먹거리, 체험이 주요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기관정책존', '펫존', '이벤트존' 도 준비되어 있으며 다채로운 공연(마술, 버슬쇼, 버스킹)과 오마이걸, V.O.S 등 화려한 라인업, 그리고 어린이들을 위한 핑크퐁 댄스파티, 캐리와 친구들 공연까지 즐길거리가 준비되어있다.

제민천

1.5 Km    0     2024-05-28

충청남도 공주시 무령로 201 (교동)

도심 사이 살아있는 생태하천 제민천은 공주시 금학동에서 발원하여 금성동에서 금강으로 유입되고 도심지역을 가로지르고 있다. 현재는 생태하천 조성사업으로 산책로 및 실사타일 등 친환경적인 살아있는 생태하천으로 보호(복원)시키고 수변녹지 및 휴식공간을 확보하여 공주 시민들과 여행객들이 편안하게 방문할 수 있는 곳이 되었다. 또, 도심을 흐르는 하천으로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고 자연과 사람이 어우러져 테마와 이야기를 간직한 문화공간으로 조성되어 주민들의 친수공간으로 제공하고 있다.

공주 원골마을

공주 원골마을

14.8 Km    18050     2023-12-14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원골예술길 94

공주 신풍면 소재지와 유구읍 소재지 사이에 위치한 원골마을은 행정구역상으로 신풍면 동원1리에 속한다. 이 마을은 옛날에 원님이 살았다 하여 원골마을이라 불린다. 그러다 마을 가운데 있는 탑 위에 금으로 된 새가 있었는데 그 새가 날아가고 난 뒤에 원님은 죽었다는 전설이 있다. 마을 입구에 놓인 국도 32호선에서 보면 마을 전면에는 정리가 잘된 논이 좌우로 펼쳐져 있으며, 그 뒤를 광덕산(318m)이 포근하게 감싸주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마을 내에서는 웅장하고 아름다운 정자나무 두 그루가 마을을 300년 넘게 지켜주고 있다. 또한 충청남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된 공주 동원리 석탑이 있어, 예로부터 이곳의 터가 좋아 사람들이 살았음을 알 수 있으며 사찰 등이 들어섰다. 주변에는 광덕산 외에 유구벚꽃둘레길공원, 유구색동수국정원, 유구시장, 마곡사 등이 있어 연계하여 관광할 수 있다.

국립세종도서관

14.8 Km    7279     2024-06-13

세종특별자치시 다솜3로 48

국립세종도서관은 세종특별자치시 내 국립도서관 건립 필요성에 따라 2006년 기본계획이 수립돼 3년 여의 건립기간을 거쳐 2013년 12월에 개관하였다. 대한민국 행정의 요람, 세종특별자치에서 국가정책 수립을 위한 정책정보를 제공하는 정책도서관의 역할과 아울러 세종시 및 인근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열린 복합문화 공간으로서의 역할도 수행하고 있다. 국립세종도서관은 책을 펼쳐 놓은 모습을 형상화한 모습으로 설계되었으며 총면적 2만 1,077㎡, 지상 1~4층, 지하 1~2층 규모로 글로벌 디자인 웹진 ‘디자인 붐’이 선정한 올해의 도서관 Top 10으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지하 1층에는 어린이 눈높이에 맞춘 어린이 자료실과 놀이터가 있으며, 지하 2층에는 서고, 전산실, 기계실 전기실로 구성되어 있다. 지상 1층에는 일반자료실, 전시실, 쉼터 등이, 2층에는 정책자료실, 일반자료실이, 지상 3층에는 강의실, 회의실, 교육지원실, 업무시설 등이, 4층에는 이용객의 편의를 위한 쉼터 및 카페테리아 등이 마련되어 있다.

진주냉면 남가옥

진주냉면 남가옥

14.9 Km    1     2022-11-11

세종특별자치시 다솜로 185

진주냉면 남가옥은 세종특별자치시 어진동에 있다.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외관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물냉면이며, 비빔냉면도 인기가 많다. 냉면과 함께 곁들여 먹기 좋은 메뉴로는 육전과 메밀만두가 있다. 이 밖에 육전비빔밥, 갈비탕, 소고기국밥, 뚝배기불고기 등도 준비되어 있다. 서세종 IC에서 가깝고, 주변에 국립세종수목원과 세종호수공원이 있다.

풀꽃문학관

1.5 Km    2     2023-01-16

충청남도 공주시 봉황로 85-12

공주 풀꽃문학관은 1930년대에 지어진 일본식 가옥으로 2014년 10월 17일 개관한 문학관이다. 한국에 있는 대부분의 문학관들이 전시관 형태를 띠고 있으나 풀꽃문학관은 현재 나태주 시인이 문인들이나 문학 지망생들, 찾아오는 관람객들에게 강의도 하고 담소도 나누는 공간으로도 활용하고 있어 문인들의 구심점 역할 뿐만 아니라 일반인들에게도 문학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만드는 공간이자 소통의 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바쁘고 번거로운 일상생활을 벗어나 잠시 마음을 내려놓고 휴식할 수 있으며 멋진 가옥의 예스러운 분위기와 힐링을 만끽할 수 있는 공간이다.
<출처: 공주시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