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3Km 2025-03-17
서울특별시 노원구 마들로 86 (월계동)
한내지혜의숲도서관은 2017년 3월에 개관한 도서관으로 카페와 지역아동센터가 함께 어우러져 있는 복합문화공간이다. 도서관은 중랑천 옆 한내 근린공원 안에 위치해 있는데, 도서관 한쪽 벽면이 통창으로 되어 있어 아름다운 자연을 바라보며 독서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다른 특징으로는 책장이 벽과 기둥 그리고 지붕까지 이어져 있어 인테리어의 통일감이 있다. 도서관 입장 시에는 외부 신발이 아닌 내부에 비치되어 있는 실내화를 이용해야 한다. 한내지혜의숲도서관은 2017년 서울시 건축상 대상을 받은 바 있다.
6.3Km 2024-02-14
경기도 구리시 체육관로171번길 11-4 잉꼬칼국수
구리시 교문동에 있는 칼국수 전문점이다. 단독 건물로 새로 지어져서 외관이 현대적이고 내부도 아주 깔끔하고 넓다. 단일 메뉴로 칼국수만을 판매한다. 수타 면발은 약간 도톰하여 수제비를 먹는 것 같은 식감이다. 국물의 시원함이 듬뿍 올려진 부추와 어우러져 더욱 그 맛이 배가 된다. 주차장은 건물 1층에 10대 정도 가능하고 이전 가게 터에 주차도 가능하다. 그리고 도보 5분 거리의 공영주차장도 영수증을 보여주면 무료주차를 할 수 있다. 근처에 구리와 남양주시의 유일한 전통시장이 있어 식사 후 재래 전통시장을 구경해 보길 추천한다.
6.3Km 2024-02-05
경기도 구리시 경춘로242번길 31-13
옹기종기동태탕은 경기도 구리시 수택동에 있는 동태탕 전문점이다. 동태탕을 양푼 냄비에 끓여 먹는 맛집으로, 탱글탱글한 동태살과 함께 동태의 간인 애가 듬뿍 들어가 있어 푸짐하다. 양푼에 끓이는 동태탕은 더욱 운치 있고 감칠맛이 난다. 동태애탕 외에도 동태머리애탕과 명태회무침도 인기메뉴이다.
6.3Km 2025-03-20
서울특별시 중랑구 묵동
봉수대는 횃불과 연기를 이용하여 급한 소식을 전하던 옛날의 통신수단을 말한다. 높은 산에 올라가서 불을 피워 낮에는 연기로 밤에는 불빛으로 신호를 보냈다. 조선시대의 문헌에 아차산 주봉에서 북쪽으로 벗어난 능선의 서쪽 봉우리에 있다고 표시되어 있어, 이곳이 아차산 봉수대 터임이 밝혀졌다. 아차산 봉수는 조선시대 전국을 연결하던 5개의 주요 봉수로 첫 번째 봉수로의 마지막 봉수대였다. 이곳은 함경도 경흥에서 시작하여 강원도와 포천을 거쳐 이어지는 봉수를 받아 목멱산(남산)으로 연결하는 곳이었다. 봉수대가 있었던 곳으로 추정되는 정상부의 불을 피우던 연대는 없어지고 터만 남아있던 것을 서울정도 600년 기념사업의 하나로 1994년 모형을 설치하였다. 정상부 평탄면 바깥쪽 경사면에는 둘레 250m 내외의 석축이 둘러 있어 봉수대 관련시설로 보기도 하나, 이 석축은 6세기 전반 고구려가 만든 보루의 흔적으로 추정되고 있다.
6.3Km 2024-11-11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면 청학리
수락산 자락에 위치한 사유지 3,000여 평 규모의 낚시터를 겸한 물놀이장이다. 이곳은 날씨가 좋지 않거나 겨울 방문객을 위한 하우스 낚시터와 야외 낚시터(손맛 낚시터), 물놀이를 위한 야외 수영장으로 구성되었다. 야외 낚시터에서는 낚시 초보나 학생, 어린이를 위한 낚시 체험장을 운영중이며, 낚시대는 무료로 대여가 가능하다. 낚시를 하기 위해 온 방문객은 낚시요금 지불시 이용할 수 있는데, 낚시대를 던지기만 해도 손맛을 볼 수 있기 때문에 이용료가 아깝지 않을 정도이다. 수영장은 이용요금이 없는 대신 음식을 주문해야 이용이 가능하며, 수영장 바로 앞에 조성된 평상, 테이블 좌석에서 주문한 음식을 먹으며 물놀이를 즐길 수 있다. 수심 1.5m~2.5m 깊이로, 어린이는 구명조끼를 입고 물놀이를 즐기는 것이 안전하며, 튜브 대여도 가능하다. 물놀이와 낚시를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일석이조의 즐거움이 있는 곳으로, 아이와 함께 가기에도 좋은 장소이다.
6.3Km 2024-08-28
서울특별시 중랑구 신내로21길
봉화산은 서울의 동북부 외곽인 중랑구 상봉동, 중화동, 묵동, 신내동에 접하여 있고 정상까지 높이는 160.1m로 평지에 돌출된 독립 구릉이다. 동쪽에 아차산 주 능선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북쪽으로 불암산, 도봉산과 양주 일대까지 잘 조망되며, 서쪽과 남쪽으로도 높은 산이 없어 남산과 이남 지역도 잘 보이는 지역이다. 봉화산은 일명 봉우재라고 불리는데 1963년 1월 1일 경기도에서 서울시로 편입되었다. 이곳은 북쪽 양주의 한이산에서 연락을 받아 목멱산(남산)으로 전달하는 아차산 봉수대가 있던 곳으로 지난 1994년 11월 7일 봉수대를 복원하였다. 봉화산의 주요 수종은 소나무이며, 기슭에는 먹골배로 유명한 배나무밭이 조성되어 있는데 점차 주변 지역으로 잠식되고 있다. 한편 봉화산 정상에서 약간 남쪽에 봉화산 도당인 산신각이 있으며, 약 400년 전에 주민들이 도당굿과 산신제를 지내던 곳이기도 하다. 현재 산신각은 1992년 여름에 일어난 화재로 소실되어 지금은 붉은 벽돌과 시멘트로 지은 새 건물이 들어서 있다. 해마다 음력 3월 3일에 산 정상 부근에 있는 산신각(도당)에서 서울시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봉화산 도당제가 열린다.
6.4Km 2024-08-23
경기도 구리시 검배로6번길 31 (수택동)
돌다리 곱창골목은 1990년대 후반부터 구리 시장 안에 조성된 대표적인 곱창 음식 거리이다. 구리 시장 내 포장마차에서 곱창을 팔던 상인들이 가게를 내면서 곱창골목이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골목이 유명해지자 다른 식당들이 하나둘 들어서 지금과 같은 모양새를 갖추게 되었다. 번화하였을 때는 약 50개 업체가 밀집해 있었으나, 현재는 〔원조유박사곱창〕과 〔이모네 곱창〕 등 10여 개 남짓한 업체가 명맥을 이어가고 있다. 돌다리 곱창골목의 특징은 곱창을 초장에 찍어 먹는 모습이다. 바싹 익힌 곱창을 초장에 찍어 상추에 싸 먹는데 이는 곱창 가게가 생기기 전 포장마차에서 손님들이 곱창을 초장에 찍어 먹던 데서 유래한 것이다. 야채 곱창과 순대 곱창을 주메뉴로 하며 브레이크 타임 없이 새벽까지 운영하는 가게가 많으며, 24시간 운영하는 가게도 있다.
6.4Km 2024-01-24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로73길 26
양원역 2번 출구 망우동어린이공원 인근에 있다. 이곳은 주택과 상가가 밀집된 지역으로 매장은 2층 주택 상가 1층에 있다. 망우동 인근에서는 추억의 분식점으로 유명하다. 분식집 3대 대표 메뉴인 옛날식 떡볶이, 순대, 튀김이 준비되어 있다. 떡볶이와 어묵, 김말이 튀김, 잡채와 야채가 들어간 군만두 튀김으로 구성된 세트 메뉴가 인기다. 주문한 음식이 나오면 떡볶이에 삶은 계란 등을 넣어 떡볶이 국물에 찍어 먹는 방식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학생들이 주로 이용하다 보니 가격이 저렴하다. 식당 주변에 태릉, 강릉이 있다.
6.4Km 2024-11-06
경기도 구리시 검배로6번길 31 (수택동)
구리전통시장은 1960년대 후반 골목시장 형태로 형성되어, 1977년 시장 개설 등록한 구리시 핵심 상권에 있는 유일한 전통시장이다. 시내 중심가에 있어 접근성이 좋아 구리시민 뿐만 아니라 인근 주민들이 많이 이용하는 시장이다. 또한, 주차장, 아케이드, 야외무대, 간판 정비 등 현대화된 시설로 안전하고 쾌적하다. 약 393개의 점포가 입점해 있으며, 농·수산물, 축산물, 의류, 잡화 등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가장 큰 특징 중 하나는 보통의 재래시장에서 볼 수 없는 장보기 서비스다. 이 서비스는 장보기 도우미가 장을 대신 봐주거나 무거운 물건의 배송을 도와주는 것인데, 매주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무료로 운영하고 있다. 이외에도 ICT보이는 라디오를 운영하며 음악 방송을 진행하고 있다. 구리전통시장은 문화관광형시장으로 다양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를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