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Km 2025-03-25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길 109-11
이해룡 고가는 경기도 안성시 서운산 남쪽 계곡 근처 마을에 조선 후기 건축물로서 안채에 기록된 상량문을 통해 1797년(정조21)에 안채와 사랑채가 건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해룡 고가는 남서향으로 되어 있으며, 안채와 사랑채, 행랑채로 구성되어 있다. 길가에 면하여 있으며, 8칸 규모의 행랑채에 마련된 문간을 통하여 가옥의 출입이 이루어진다. 이해룡 고가는안채와 사랑채를 하나의 건물로 연결하여 지어 구조적인 이점을 활용하고, 좌향을 달리하여 사랑마당과 안마당을 확보하여 살림집 안에서 남녀의 공간을 구분하는 공간구성 방법이 돋보인다. 또 대들보나 기둥 등 목재를 다듬는 방식은 1700년대 후반의 전통가옥에서 나타나는 형태를 보존하고 있어 문화유산적 가치가 높다. (출처 : 국가유산청 홈페이지)
17.4Km 2025-03-26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풍로 250-1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위치한 주니어천문스쿨은 체계적인 정기 교육 프로그램 또는 다양한 일일 교육프로그램을 갖추어 멀리 가지 않고 가까운 도심지에서 우주를 체험할 수 있는 곳이다. 정기 프로그램은 3가지의 과정으로 나누어져 있으며, 1 과정 별과 태양계, 2 과정 우주탐사, 3 과정 은하와 우주라는 주제로 편성되어 있다. 일일 프로그램은 가족이 함께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인 가족 프로그램과 개인이 신청하여 교육받을 수 있는 개인 프로그램으로 나누어져 있다.
17.4Km 2025-06-26
충청남도 아산시 영인면 아산리
영인낚시터는 영인저수지 남쪽과 서쪽 연안에 총 21개의 좌대를 갖추고 있는 낚시터이다. 규모, 수심, 환경이 다양하여 각자 취향에 맞는 좌대를 선택하여 낚시를 즐길 수 있다. 약 13만 평의 규모를 자랑하며, 낮에는 배를 타고 저수지 내부로 들어갈 수 있다. 고기 및 어패류 조리 등 취사행위는 금지되어 있지만 구내식당에서 백숙, 닭볶음탕, 김치찌개, 된장찌개, 제육볶음으로 식사를 할 수 있다. 영인저수지변에는 각종 맛집과 카페가 들어서 있어 함께 즐기기 좋다. 인근 관광지로는 아산만방조제, 삽교천방조제, 아산스파비스 등이 있다.
17.4Km 2025-03-16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유관순생가길 18-1
유관순 열사 유적인 생가지는 1972년 10월 사적 제230호로 지정되었다. 터만 남아 있었던 곳을 1991년 12월 초가집 본체와 부속사로 복원하였다. 생가 옆에는 박화성이 시를 짓고, 이철경이 글씨를 쓴 기념비가 세워져 있으며 유관순열사가 다녔던 매봉교회가 위치해 있다. 유관순 열사 생가 옆 기와집 건물은 ‘관리사’라고 부르는 건물이다. 과거 유관순 열사의 동생 유인석 씨가 거처할 곳이 없자 정부에서 1966년 집을 지어 살게 해 줬으며, 1977년 기와집으로 재건축했다. 현재는 유인석 씨의 후손이 거주하고 있다. 인근에는 유관순열사 기념관이 열사의 탄신 100주년을 기념하여 2003년 4월 개관하였다.
17.5Km 2025-03-26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유관순길 249
이곳은 항일 독립운동과 대한민국 건국 및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평생을 몸 바쳐 불후의 업적을 남긴 독립운동가이며 정치가인 유석 조병옥 박사가 태어나고 자란 곳이다. 당시 초가였던 생가가 이후 와가로 변형된 것을 문중의 고증을 받아 대지 550평에 안채 15평, 부속사 7평, 일자형 초가로 원형 복원하였다. 조병옥 박사는 광복 후 한국민주당을 창당하였고, 한국 전쟁 때 내무부 장관, 이어 제3·4대 민의원을 지냈다. 1960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였으나 1960년 2월 15일 불의의 신병으로 미국 월터리드 육군병원에서 67세를 일기로 서거하였다. 정부는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 건국 공로훈장 독립장을 추서 했으며, 그 공적을 길이 선양하고 후세에 본받을 교육의 장으로 삼고자 이곳에 생가를 복원하였다.
17.5Km 2021-03-11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 안정순환로 65
031-657-3358
캠프 험프리 근처에 위치한 모티마할은 현지 요리사가 천연향신료를 사용하여 다양한 커리와 탄두리를 제공하는 인도 정통 레스토랑이다.
17.5Km 2025-07-11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청송리
일명 고산산성으로 불리는 운주산성은 백제 시대의 유적으로, 전동면 미곡리·청송리와 전의면 동교리·신정리 경계 지점에 위치한 운주산(해발 459.7m)을 중심으로 조성된 산성이다. 운주산성은 운주산의 지형을 이용해 축조된 성곽으로, 둘레 약 3,210m, 폭 2m, 높이 2~8m에 이르는 웅장한 규모를 자랑한다. 분지형의 산세와 수려한 자연 경관이 어우러져 뛰어난 풍치를 자랑하는 산성이다. 성벽은 자연 지형을 최대한 활용해 쌓았으며, 북벽과 동벽은 운주산 정상에서 서쪽과 남쪽으로 뻗은 능선을 따라 이어졌고, 남벽은 산봉우리를 감싸는 형태로 축조되었다. 서벽은 서쪽 능선을 가로지르며 형성되어, 전체적으로 북쪽은 해발 고도가 높고 서남쪽은 낮은 지형적 특성을 보인다. 서문, 남문, 북문에서 문지(門址)가 확인되지만, 대부분 붕괴되어 원형을 정확히 파악하기는 어렵다. 운주산성은 내성과 외성의 구조로 이루어져 있어 고대 산성 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성 안에는 성문 터, 건물 터, 우물 터 등이 남아 있으며, 정상 부근에는 기우제를 지냈던 제단으로 추정되는 원형 대지가 존재한다. 또한 성 내부에서는 백제 시대의 토기편과 기와편, 고려·조선 시대의 자기편과 기와편 등이 출토되어 오랜 세월에 걸친 역사적 흔적을 보여준다. 이 산성은 백제가 660년에 멸망한 이후, 풍왕, 복신, 도침 장군을 중심으로 일어난 백제 부흥운동군의 최후 항전지로 알려져 있다. 산성 입구에는 고산사라는 사찰이 있으며, 매년 음력 9월 8일이 낀 토요일에는 백제 멸망기의 의자왕과 부흥기의 풍왕, 그리고 백제 부흥운동 중 순국한 이들의 넋을 기리는 고산제가 열린다.
17.5Km 2025-07-11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청룡길 140
청룡사는 1265년 서운산 기슭에 명본 국사가 창건한 절로서 창건 당시에는 대장암이라 하였으나 1364년 나옹화상이 크게 중창하고 청룡사로 고쳐 불렀다. 청룡사라는 이름은 나옹화상이 불도를 일으킬 절터를 찾아다니다가 이곳에서 구름을 타고 내려오는 청룡을 보았다고 하는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절 안에는 대웅전, 관음전, 관음 청향각, 명부전 등이 있고 대웅전 앞에는 명본 국사가 세웠다는 삼층 석탑 등이 보존되어 있다. 대웅전은 다포계의 팔작집으로 고려 말 공민왕 때에 크게 중창하여 고려 시대 건축의 원형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다. 법당 안에는 1674년에 만든 5톤 청동 종이 있고 큰 괘불이 있어 대웅전 앞에 괘불을 걸 돌지주(기둥)까지 마련해 놓았다. 이 지주는 구불구불한 아름드리나무를 껍질만 벗긴 채 본래의 나뭇결 그대로 살려 기둥으로 세웠다. 청룡사 주변에는 서운산, 칠장산, 미리내 성지, 죽주산성 등의 관광지가 있다.
17.5Km 2025-05-20
우리나라에서 가장 늦게 만들어져 가장 젊은 도시 세종시에는 어떤 여행지가 숨어있을까? 반달가슴곰을 만날 수 있는 베어트리파크는 가족 여행객들에게 인기다. 백제시대의 유적인 운주산성은 어린이와 함께 하는 가족여행자들이 오르기에 부담이 없어 좋다. 800년 수령의 느티나무가 일주문이 되어주는 고찰 비암사도 둘러보자.
17.5Km 2025-05-20
비암사 절마당에 서면 810년 된 느티나무가 옛이야기를 들려주는 듯하다. 역사는 이 땅 어디에나 깃들어 있다. 길 위의 돌멩이 하나, 나무 한 그루가 품고 있는 역사에서 오늘을 살아가는 길을 찾아본다.
출처 : 머물수록 매력있는 충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