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고랜드 남양주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고고랜드 남양주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고고랜드 남양주점

고고랜드 남양주점

12.8Km    2024-09-03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1256번길 25 (평내동)

고고랜드 남양주점은 롤러스케이트를 즐길 수 있는 곳으로 경기도 남양주에 있다. 신나는 음악과 화려한 조명이 롤러스케이트를 타는 분위기를 더욱 돋우어 준다. 다양한 사이즈의 롤러스케이트와 보호 장비를 대여한 후 기본 2시간 30분 동안 롤러스케이트를 타면 된다. 안전을 위해 키즈존과 일반존을 나누어 운영하고 있으며 키즈존에서 초보자들은 연습용 보조 기구를 이용해 연습을 할 수도 있다. 7세 미만의 아이는 반드시 보호자가 반드시 동반해야 한다. 이곳에는 키 120cm 이하의 유아 전용 방방장이 있어 롤러스케이트 타지 않더라도 얼마든지 즐거운 시간을 가질 수 있다. 매점에서는 간단한 간식과 음료를 판매하고 있으며 이곳의 최고 인기 메뉴는 한강 뽀글이 라면이다. 이외에도 롤러스케이트나 인라인스케이트 레슨도 진행하니 관심이 있는 방문객은 전화로 문의하면 된다. 따로 체험비를 지불하면 아이들이 좋아하는 슬라임 만들기 체험도 할 수 있다. 어른에게는 추억의 장소이자 아이들에게는 롤러스케이트나 인라인스케이트를 날씨에 상관없이 즐길 수 있는 곳으로 그간의 쌓인 스트레스를 시원하게 날려보내기에 좋다.

라틴정원

라틴정원

12.9Km    2025-04-15

경기도 가평군 상지로 949

라틴정원은 가평군에 있는 카페로 산 중턱에서 북한강을 즐길 수 있는 카페이다. 넓은 정원에 배치된 개별 방갈로는 당일 현장 선착순으로 이용할 수 있다. 냉난방 시설이 완비되어 있어 계절에 구애받지 않고 이용할 수 있으며 방갈로는 구매 금액에 따라 최대 2시간 이용 가능하다. 커피와, 음료류, 디저트류를 맛볼 수 있으며, 이 외에 야외에서 먹는 라면세트와 먹을거리가 있다.

에덴스포츠타운

에덴스포츠타운

12.9Km    2025-03-17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경춘로 1436
031-581-1300

(재)한국기독교에덴성회선교재단에서 운영하는 스포츠타운은 “건강한 육체에 건강한 정신이 깃든다” 라는 슬로건 아래 스포츠 복지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재)에덴스포츠타운의 가장 큰 특징으로는 수익창출을 목표로 하기보다는 인근 및 수도권 주민들의 “복지 향상, 건전한 레포츠를 통한 여가선용 기회 제공 및 주변의 소외되고 불우한 이웃을 돕기” 라는 목표를 최우선으로 지향하고 있으며, 이후로도 더 많은 스포츠 문화시설의 지속적인 투자를 통해 스포츠 문화의 이미지 제고에 이바지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여우사이

12.9Km    2024-01-25

경기도 가평군 상지로 245

여우사이는 가평군 청평에 있는 야외 바비큐 맛집이다. 추천 메뉴인 모둠 바비큐 세트의 구성은 목살/삼겹살, 새우, 수제 소시지이다. 물론 실내에서도 바비큐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 있다. 고기를 처음 구울 때는 주인장이 맛있게 굽는 법을 알려 주며 구워 준다. 야채나 밑반찬은 셀프 코너가 있어 양껏 먹을 수 있지만, 남길 경우 환경부담금이 부과된다. 전체 이용 시간은 2시간으로 제한된다. 상천저수지를 끼고 있어서 야외에서는 저수지 전망을 볼 수 있다. 주차는 매장 앞에 하면 된다.

하늘땅별땅

12.9Km    2025-03-17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상지로 355-16
010-8374-8600

‘하늘땅별땅’은 호명산과 호명호수가 있는 환상의 드라이브 코스길에 위치하고 있으며, 음식점과 펜션을 함께 운영하고 있다. 실내의 분위기는 토속적이고 조용한 분위기이고, 야외 테라스에서 운치 있는 식사를 즐길 수 있다. 호명호수는 걸어서 갈 수 있는 거리에 있고, 남이섬은 차량으로 15분, 강촌리조트는 25분, 아침고요수목원은 30분 거리에 위치해 있으며, 인근에는 민물 낚시터가 있어 낚시를 할 수 있다.

수라상쌈밥

13.0Km    2025-03-17

경기도 가평군 상면 청군로 1112-30
031-585-0902

아침고요수목원 인근에 위치한 식당으로 유기농으로 직접 재배한 야채와 채소, 식재료로 각종 반찬 및 음식을 정성을 다해 만들어 제공하고 있다. 특히 직접 재배한 콩으로 만든 손두부는 전통시골두부의 맛을 그대로 살렸기 때문에 일반 시중의 두부와는 차별화된 고소하고 깊은 맛이 있다. 대표 메뉴인 수라상쌈밥은 제육볶음, 계란찜, 된장찌개 등 10가지 이상이 나오며 직접 재배한 유기농 야채쌈 종류가 계절에 따라 5~10가지 정도가 준비되어 어머니가 차려주신 시골밥상처럼 푸짐하다.

소소리농장

소소리농장

13.0Km    2024-11-18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송촌리

소소리농장은 30년 차 베테랑 부부 농부와 동물과 식물, 자연을 사랑하는 청년 여성 농부가 함께 운영하는 4,000여 평 규모의 친환경 체험교육농장이다. 계절별로 진행되는 자연 생태 체험과 수확철에 따라 다른 다양한 작물들인 미니사과, 블루베리, 고구마 등을 수확하는 체험, 민물고기 잡기나 유정란 보물찾기 등 다양하고 알찬 자연 체험 프로그램으로 가득하다. 그중에서도 농장 주인 아저씨의 반려 소인 우리나라 황소 지축이가 끌어주는 소달구지 체험은 아이들에게 인기 만점이다. 이미 여러 차례 방송에 소개된 바 있는 아저씨와 지축이의 아름다운 동행 이야기는 이 체험을 더욱 특별하게 만들어준다. 지축이를 비롯한 동물 친구들인 유산양과 병아리들, 토끼와 함께 하는 시간은 아이들에게 잊지 못할 소중한 추억을 만들어 준다.체험 시간은 프로그램에 따라 1~2시간 정도 소용된다. 계절에 따라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꽉 채워진 농장 체험은 소소리농장 블로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신청도 블로그를 통해서 하면 된다. 정해진 인원의 예약제로 운영되므로 북적이지 않고 여유 있는 체험이 가능하다. 체험 종류 후에는 마감 시간까지 냇가나 모래 놀이터, 나무 놀이터에서 자유 시간을 가져도 된다. 도시 생활에 익숙해진 아이들에게 소소리 농장에서의 체험은 자연이 주는 풍성한 감성을 온몸으로 느끼는 하루가 될 것이다.

초옥동해장국

13.0Km    2024-12-10

경기도 가평군 청평면 경춘로 1451
031-582-7397

초옥동 마을에 위치한 초옥동해장국은 모범음식점으로 아침식사가 가능하다. 23개의 테이블이 마련되어 있고, 1개의 별실이 있다. 메뉴는 해장국, 소머리국밥 두 가지만 있으며, 소머리, 내장, 육수, 쌀, 고춧가루 모두 국산만 사용한다. 주변 여행지로는 남이섬, 아침고요수목원, 쁘띠프랑스 등이 있다.

약대울체육공원

13.0Km    2025-04-04

경기도 남양주시 경춘로1283번길 46

축구장, 그리고 테니스장, 바닥분수, 다양한 체력단련시설을 갖춘 공원으로 다양한 운동을 즐길 수 있다. 여름에는 물놀이장을 운영하여 무더위를 피해 아이와 가족과 함께 신나게 물놀이를 할 수 있는 곳이다. 축구장, 테니스장, 풋살장은 홈페이지를 통하여 직접 예약 후 이용이 가능하다.

월사집목판

13.0Km    2024-08-08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경기도 가평군 상면 태봉리 연안 이씨 종중에 소장된 월사(月沙) 이정구(李廷龜)[1564~1635]의 문집을 간행하기 위해 만든 목판이다. 1636년(인조 14) 이정구의 아들 이명한(李明漢)[1595~1645]과 이소한(李昭漢)[1598~1645]이 당시 공주 목사로 있던 최유해(崔有海)[1588~1641]에게 부탁하여 74권 22책으로 초간하였다. 이후 병자호란으로 초간본의 판목이 산실되고 훼손되자, 손자 이익상(李翊相)[1625~1691]과 증손자 이희조(李喜朝)[1655~1724]가 경상도관찰사 이세화(李世華)[1630~1701]의 도움을 받아 1688년(숙종 14) 원집 63권, 부록 5권, 합 20책을 목판으로 다시 간행하여 현재는 모두 1,334판이 보존, 관리되고 있다. 조선시대의 학자이며 문신이었던 월사 이정구 선생의 자는 성징, 호는 월사, 본관은 연안이다. 선조 23년(1590) 문과에 급제 승문원에 등용되었고, 병조, 예조판서를 역임하고 우의정, 좌의정을 지냈다. 한문학의 대가로 서예에도 뛰어났으며 조선 중기 4대문장가(신흠, 장유, 이식)로 시호는 문충이다. 월사집 목판은 이정구 선생 묘와 삼세 신도비가 있는 곳이 정비되면서 그곳에 전각을 세워 이를 보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