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조선식탁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the조선식탁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the조선식탁

the조선식탁

16.7Km    2024-01-29

충청북도 진천군 석장로 227

the조선식탁은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기전리에 있다.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돼지 등심덧살, 문어, 갑오징어 등이 나오는 매화한상이다. 돼지 등심덧살, 생굴, 쌈 채소, 다시마 등이 상에 오르는 생굴보쌈도 인기가 많다. 점심 특선으로 마련한 낙지볶음 정식과 가브리보쌈 정식도 많은 사람이 찾는다.

더힐227

더힐227

16.7Km    2024-04-08

충청북도 진천군 석장로 227

더힐 227은 충청북도 진천군 덕산읍 기전리에 있다.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외관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창밖으로 펼쳐지는 풍경도 훌륭하다. 대표 메뉴는 아인슈페너다. 이 밖에 아몬드크림라테, 에스프레소, 아메리카노, 캐러멜 마끼아또 등도 맛볼 수 있다. 유기농을 재배한 통밀, 호밀, 쌀가루와 천연 효모 종을 사용해 만든 여러 가지 빵도 판다. 진천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오감만족새싹체험장, 블랙스톤 벨포레 목장이 있다.

둥지황토펜션

둥지황토펜션

16.9Km    2024-05-17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후평로 166
031-333-8886

용인 10경 중 하나인 구봉산자락 숲속에 포근하게 자리 잡은 펜션이다. 구봉산 숲속 자연 속의 완벽한 휴식처 둥지황토펜션은 1단지 황토그린빌리지펜션으로 새 둥지처럼 산이 휘감고 있는 그 안에 포근히 자리 잡은 펜션으로 커플, 가족은 물론 단체모임도 가능한 다양한 객실로 구성하였다. 2단지는 용인나무이야기펜션으로 가족 단체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구봉산에서 내려오는 시냇물을 배경으로 계곡에 자리하고 있으며 물소리, 새소리가 재잘거리는 곳에 있어 편안한 휴식을 제공한다.

안성맞춤아트홀

안성맞춤아트홀

17.0Km    2025-03-19

경기도 안성시 발화대길 21

안성시 현수동에 위치한 안성맞춤 아트홀은 2017년에 안성천과 조령천이 만나는 지점에 문화와 예술의 조화를 위해 건립되었다. 예술을 위한 소통의 공간으로 공연과 전시, 문화예술 교육을 아우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건물은 두 개의 동으로, 갤러리 동과 공연장 동으로 나뉘어 있다. 수준 높은 공연과 뮤지션의 콘서트 등을 즐길 수 있는, 경기 남부를 대표하는 예술 랜드마크이다.

서운산자연휴양림

17.0Km    2025-04-21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배티로 185-39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에 위치한 휴양림이다. 청룡이 상서로운 구름을 타고 내려왔다고 하여 이름 붙여진 서운산 자락에 있다. 도심지에서는 느낄 수 없는 산속의 맑은 공기와 나무 등 자연환경이 좋다. 잔디광장에서는 아이들이 맘껏 뛰놀 수 있어 가족 단위 나들이 장소로 좋다. 드라마 ‘도깨비’ 촬영지로 유명한 석남사로 이어진 산책로와 서운산 등산로가 조성되어 있어 가벼운 걷기를 하면서 자연의 품속에서 몸과 마음 모두 힐링할 수 있다.

두창저수지

17.0Km    2025-03-20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두창호수로 239-1

두창리는 산들이 서북쪽을 감싸 안아 아늑한 느낌이 있는 곳이다. 겨울철이면 용인 빙어축제가 열리고 차박 캠핑으로 인기가 있다. 두창 호수를 따라 걷는 둘레길은 1시간 코스로 부담 없이 걷기 적당하다. 저수지의 아름다운 풍경을 배경으로 각종 펜션과 카페가 들어서 있다. 향토유적 두창리 삼층석탑과 선돌을 볼 수 있다.

고삼호수

고삼호수

17.0Km    2024-12-04

경기도 안성시 고삼면 향림길 50

경기도 안성에 자리한 고삼호수는 일출 명소로도 알려져 있지만 새벽에 안개 자욱한 모습은 몽환적이고 서정적인 신비감을 느끼게 하는 장소이다. 김기덕 감독의 영화 [섬]의 주 무대인 고삼호수는 푸른 물과 그 위에 떠있는 좌대의 풍경이 인상적이다. 고삼호수는 낚시터로 유명하지만, 영화가 개봉된 후 관광코스로도 알려지기 시작했다. 서울 시내에서 비교적 가까운 곳에 위치해 당일코스로 가능하며, 영화에서는 호수 모두를 오픈세트화했기 때문에 원형 그대로 고즈넉한 분위기를 즐길 수 있다. 호숫가에 설치된 전망대에서는 이곳 일출을 보기도 좋고 호수와 그 주변의 풍경을 전망하기도 좋다. 호수 중앙에 있는 비석섬이나 팔자섬이 낚시터의 좌대와 조화롭게 펼쳐져 있고 전망대 위에 마련된 의자에서는 휴식을 취하기에도 좋다. 호숫가로는 둘레길이 잘 조성되어 있어 산책을 즐기기에도 좋다. 주변 관광지로는 꽃뫼마을, 조병화문학관, 미리내성지 등이 있다.

고삼저수지

17.0Km    2025-03-18

경기도 안성시 고삼면 삼은리

1963년 준공된 광활한 저수지로 인근 지역 들에 물을 공급하고 있다. 수초가 많아 물고기가 살기 좋다. 영화 <섬>의 촬영지로 유명하다. 안개가 자욱한 새벽의 몽환적인 풍경은 한 폭의 그림 같다. 때문에 사진작가들이 많이 찾는 촬영지로 유명하다. 호수 둘레길을 아침 새소리와 함께 산책해도 좋다. 오토캠핑, 차박지로 알려지고 있다. 저수지에는 3개의 섬 (바석 섬, 팔자 섬, 동그락 섬)이 있다. 호수의 면적이 넓어 육지 속에 바다 같은 느낌을 준다. 호수 둘레는 14km로 차량으로 25분이 소요된다. 벚꽃 드라이브코스가 유명하다. 무료 야영지가 있고, 해돋이 해넘이 관람 장소이기도 하다.

두창낚시터

두창낚시터

17.1Km    2025-03-27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원삼면 두창호수로 105

사계절 아름다운 풍광과 맑은 수질을 자랑하는 이곳에서는 자연과 함께 하는 여유로운 낚시를 즐길 수 있다. 좌대와 잔교 시설이 잘되어있어서 불편함 없이 낚시를 할 수 있는 곳으로 조황에 기복이 있기는 하나 토종붕어와 떡붕어 외에 다양한 어자원이 서식하고 있다. 시즌에는 붕어 낚시가, 겨울엔 용인 빙어축제가 열려 사계절 낚시가 가능한 아름다운 낚시터이다. 겨울철에는 썰매 타기 체험 등 어린이와 함께 즐길 수 있는 행사가 열린다.

안성마춤유기공방

안성마춤유기공방

17.1Km    2024-05-27

경기도 안성시 중앙로 448
031-675-2590

안성유기는 "안성맞춤"의 대명사로 통한다. 놋쇠 또는 통쇠라고 하며 장인정신과 뛰어난 솜씨로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기에 이렇게 불렀다고 전해진다. 안성유기는 한동안 그대로 잘 유지되어 오던 것이 일제침략으로 인하여 1941년부터 일본이 태평양전쟁을 일으키면서 전국에 있는 유기를 거두어들임으로 큰 타격을 받게 되어 일시에 안성유기가 없어지는 큰 수난을 겪게 되었다. 그러나 뜻있는 유기공들은 산으로 숨어들어 계속 유기를 만들었다. 전쟁중에는 안성 유기가 별로 성행을 보지 못하여 5~6곳이 있을 정도였으며 대부분 일제의 눈을 피하여 산 속 등지에서 숨어 제작하였다. 그러나 해방과 더불어 안성 유기는 갑자기 성행하여 안성 시내 곳곳에서 유기업이 번성하였다. 이때는 식기류인 반상기를 중심으로 하여 수저,젓가락, 담뱃대 등을 비롯하여 해방의 감격으로 급격히 성행한 농악기구까지 만들게 되었다. 본래 농악기구는 방자(놋쇠를 달군 후 두들겨 만드는 방법)식으로 제품을 만드는데 안성 유기의 특징은 주물제작법이었으므로 이때부터 안성유기에도 방자 제작법이 성행하여 안성유기의 절정을 이루었다. 그러나 안성유기도 거대한 생활 변화로 밀려오는 시련은 어쩔수 없었다. 그것은 광복 후 반짝하고 빛나던 성황이 사라진 것이다. 왜냐하면 일반 생활에 있어서 연료의 변화가 온 것이다. 본래 우리나라의 일반적 연료는 장작을 위주로 한 나무였다. 그러나 6.25가 지나고 대도시의 연료가 연탄으로 바뀌게 되었다. 주로 부엌에서 사용되는 놋식기는 연탄가스와 상극적인 관계가 있어 시뻘겋게 녹이 슬거나 누렇게 변해버려 곧 식기로 사용할 수 없게 되었다. 이렇게 되자 유기 대신에 알루미늄 그릇이나 스텐레스 그릇으로 바꾸어 사용하게 되고 아울러 유기는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6.25를 전후로해서 안성의 유기는 절정을 이루는 듯하여 그 공장의 수만도 37개나 되었으나 지금은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되어 계보를 잇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