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명산캠핑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도명산캠핑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도명산캠핑장

도명산캠핑장

12.9 Km    0     2023-12-26

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고성4길 4-2

도명산 캠핑장은 충북 괴산군 청천면에 자리 잡고 있다. 캠핑장은 고즈넉한 농촌에 터를 잡고 있다. 산으로 둘러싸여 있어 자연친화적이며, 계곡이 코앞이라 여름철 피서지로 안성맞춤이다. 캠핑장에는 파쇄석으로 이루어진 오토캠핑 사이트 40면이 마련되어 있다. 사이트 면적이 넓기 때문에 대형 텐트를 설치하기에도 무리가 없다. 특히 캠퍼 3~4팀 만을 위한 독립 사이트도 운영 중이다. 다른 캠퍼들의 방해를 받지 않고 팀원들끼리 자유롭게 캠핑을 즐길 수 있어 인기다. 캠핑장은 카라반과 트레일러 출입이 가능하다. 중소형견에 한해 반려동물 동반 입장도 가능하며, 이 경우 목줄 착용과 배변 봉투 지참은 필수다. 캠핑장에는 여름철 개장하는 수영장, 각종 문화 행사가 열리는 문화광장, 복층형 방갈로와 펜션 등의 숙박시설, 먹을거리와 장작 등을 구입할 수 있는 매점 등 캠핑에 즐거움을 더해줄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캠핑장 인근에는 속리산 국립공원과 법주사가 위치하고 있어 연계 여행에 나서기 좋다.

죽계서원(청주)

12.9 Km    1769     2023-12-05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용계4길 8-10

죽계 서원은 738년(영조 14) 지방 유림의 공의로 안평대군, 화의군, 한남군, 영풍군 등 세종대왕의 아들들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이곳 역시 대부분의 서원처럼 선현 배향과 지방 교육의 일익을 담당하여오던 중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1868년(고종 5)에 철폐되었다가 광복 후 1960년 지방 유림의 노력으로 다시 건립하였다. 경내의 건물로는 3칸의 사우, 중앙의 신문과 양옆 협문으로 된 정문 등이 있다. 사우에는 안평대군을 주벽으로 화의군, 한남군, 영풍군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3월 말 정과 9월 말 정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111LAC

111LAC

12.9 Km    1     2024-02-08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추정2길 13-2

111LAC은 충청북도 청주 외곽에 위치한 대형 카페이다. 웅장한 크기의 건물과 넓은 정원이 있으며, 야외공간에는 프라이빗하게 여유를 즐길 수 있는 돔형태의 좌석과 날이 좋은 날 누워서 바람을 느낄 수 있는 선베드도 있다. 내부로 들어서면 높은 층고와 모던한 인테리어가 눈에 띄며, 곳곳에 그림을 걸어두어 마치 미술관에 온 듯한 느낌이 든다. 또 1층 안쪽으로 들어가면 미디어아트 공간도 따로 마련되어 있다. 다양한 음료와 디저트가 있는 111LAC은 당일 생산 수제 베이커리를 원칙으로 한다. 또한 돌잔치와 스몰웨딩 등을 즐기기에도 충분한 대형 카페이기 때문에 각종 모임을 위한 공간 대여도 하고 있다.

진천 금성대군 사당

13.0 Km    18328     2023-12-07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수의1길 75-8

진천에 있는 금성대군 사당은 세종의 여섯째 왕자인 금성대군을 봉향하고 있는 사당이다. 금성대군의 이름은 이유이며 어머니는 소헌왕후 심씨이다. 1456년 성삼문 등 사육신의 단종 복위 운동이 실패하자 이에 연루되어 순흥으로 유배되었는데 다시 단종 복위를 꾀하다 고변을 당하여 이듬해 죽임을 당하였다. 영조 14년에 신원 되고 영조 16년에 금성대군을 배향하는 서원과 사우를 건립하였다. 금성대군 사당은 초평면 용기리에 살았던 금성대군의 후손들에 의해 1740년에 창건하였으며, 1974년에 삼문과 담장을 중건하였다. 정면 3칸, 측면 1.5칸의 겹처마 맞배지붕 목조 기와집으로 반 칸의 앞퇴를 두었다. 홍살문을 지나면 삼도 삼문이 보이며 낮은 담장으로 둘려 있는 곳이다. 성균관장 김경수가 쓴 [청당사]라는 편액을 달았다. 내부 중앙에 감실을 설치하고 그 안에 위패를 봉안하였다. 삼문 밑에 [충신묘금성대군 흥록대부정민공 완산이유배 완산부부인전주최씨지묘 을묘삼월일]이라고 쓴 현판을 달았다. 사우의 주위로는 돌과 흙을 섞은 담장을 두르고 기와를 얹었다. 이곳은 충청북도 문화재 자료로 지정되었으며 전주 이씨 종중에서 소유 및 관리를 맡고 있다. 역사에 대해 생각해 볼 수 있는 곳이다.

괴산 봉학사지 석조여래좌상

괴산 봉학사지 석조여래좌상

13.0 Km    14590     2023-12-05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 모래재로시동2길 231

괴산군 사리면의 보광사 뒤쪽 봉학사지에서 발견된 석조좌불상이다. 1935년부터 보광사 대웅전에 봉안하여 본존불로 모시고 있는데 이 불상은 불두와 왼쪽 팔목 등을 보수하였으나 보수 부분을 제외하면 보존 상태가 좋은 편이다. 불상의 옷은 왼쪽 어깨만을 감싸고 있으며 오른 손바닥을 무릎에 대고 손끝이 아래를 가리키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향하게 하여 배꼽 앞에 놓은 모습이다. 불상의 높이는 95cm로 왼발을 오른쪽 허벅지 위에 올려놓은 항마좌는 그 예가 드문 편이다. 불두는 나발의 머리에 높은 육계가 있고, 신체에 비해서 큰 얼굴을 약간 숙이고 있는 상호는 원만하다. 굴곡이 없는 사각형에 가까운 상체에 띠주름 같은 삼도표현, 둔감한 옷주름선 등에서 전체적으로 입체감이 부족한 모양새가 조선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보광산 뒤편 봉학사지에는 5층 석탑이 남아 있다.

보광사(괴산)

13.0 Km    20434     2024-02-02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 모래재로시동2길 231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보광산에 자리한 한국불교태고종 사찰이다. 고려 28대 충혜왕 1년에 창건되고 조선 헌종 때 폐사된 옛 봉학사터의 아래쪽에 건립한 사찰이다. 보광사는 없어진 봉학사의 후신으로 그 명성을 간직해 오고 있으며, 봉학사지에서 나온 석조여래상을 대웅전에 주존불로 모시고 있다. 1967년 사찰 위쪽에 있는 봉학사지를 답사한 기록에 의하면 봉학사지 5층석탑 2층 옥개석 사리공에서 조선 세조 때 탑을 보수한 기록문이 나왔다고 하며, 폐사지에서 수습한 암막새에 음각된 당초문이 고려중기 이후로 보여지는 것으로 밝혀져 봉학사의 창건과 중수 연대를 가늠하게 하고 있다. 한편 <충청북도지>에 의하면 1925년 폐사지에 권봉주스님이 초막을 세우고, 김봉삼스님이 1936년부터 폐사지에 있던 봉학사지 석조여래좌상을 아래쪽에 새로 지은 보광사 대웅전에 봉안하여 주존불로 모셨다는 것으로 미루어 이 시기에 보광사가 건립된 것으로 짐작된다.

청주동물원

청주동물원

13.0 Km    62311     2023-11-03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명암로 171

청주랜드는 청주 동물원과 청주 어린이 회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청주 동물원은 가까이서 동물의 생태를 직접 관찰할 수 있는 산 교육장으로 활용하고자 1997년 7월 개원했다. 2000년에는 조류 테마공원을 조성했고, 2007년 청주랜드로 통합됐다. 청주 동물원은 포유류 36종 116마리, 조류 72종 393마리, 파충류 7종 21마리, 어류 1종 10마리 등 총 116종 540마리의 다양한 동물들을 한자리에서 모두 볼 수 있다. 이곳에서는 다양한 동물들을 관람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미래의 사육사, 수의사를 꿈꾸는 청소년들에게 진로체험활동 지원을 통한 직업체험을 제공한다. 동물들의 생태를 배우고 현장 견학의 기회를 갖는 동물교실을 운영 중이다. 동물 생태 해설사와 함께 동물원 투어를 하며 야생동물 생태설명 및 청주 동물원만의 특별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는 체험활동이 있다.

목은영당

목은영당

13.1 Km    18553     2024-01-11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충청대로272번길 230-14

목은 영당은 목은 이색의 영정을 봉안한 사당이다. 이색의 학덕과 청주에서의 유서를 기리기 위해 후손인 한산이씨 이붕해(李鵬海)와 그의 종형 이조해(李朝海)가 주도하여 1714년(숙종 40)에 청주목 산외일면 주성리(현 충청북도 청주시 상당구 주성동 60번지)에 건립하였다. 목은 이색 선생은 고려 말의 문신이자 학자로서 포은 정몽주, 야은 길재와 함께 고려 시대 삼은 중 한 사람이다. 정방 폐지와 3년 상을 제도화하고, 김구용, 정몽주 등과 강론, 성리학 발전에 공헌했다. 우왕의 사부였으며 위화도 회군 후 창을 즉위시켜 이성계를 억제하려 했다. 조선 태조가 한산백에 책봉했으나 사양했다. 지금의 영당은 1987년에 보수한 것으로 건물은 영당, 강당, 내삼문, 외삼문, 홍살문으로 배치되어 있다. 영당 건물은 내진과 툇마루로 구성된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홑처마 맞배지붕 목조기와집으로 가구 형식은 1고주 5량가이다. 중앙에 대청마루를 두고 좌우로 온돌방을 각각 설치했다.

바람막이

바람막이

13.1 Km    1     2024-02-08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1순환로1896번길 45 바람막이레스토랑

바람막이 레스토랑은 충청북도 청주시 율량동에 위치한 패밀리 레스토랑이다. 이곳의 대표메뉴는 함박스테이크와 모짜렐라치즈돈까스, 치킨까스, 생선까스가 함께 나오는 다채로운 바람막이정식이다. 이외에도 부드러운 한우 안심살 속에 듬뿍 녹아든 치즈와 고급 피클이 어우러진 소고기 커틀릿인 안심골든블루와 신선한 버섯과 녹색 채소에 고급스러운 비네그레트 드레싱이 곁들여진 버섯 샐러드, 부드럽고 촉촉한 식감의 닭 안심살과 풍성한 맛의 오렌지 크림 드레싱이 인상적인 케이준 치킨샐러드 등도 인기가 많다.

괴산 봉학사지 오층석탑

13.1 Km    14626     2023-12-18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 사담리

보광산 정산 부근에 있는 봉학사지 오층석탑은 고려시대 초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석탑이다. 일제강점기 때 무너졌던 것을 1967년 이곳 주민들이 임시로 복원하였다가 1983년 괴산군에서 탑 터를 정식으로 발굴하여 현재의 위치에 복원하였다. 쓰러져 있던 오층석탑을 복원하면서 2층의 기단부를 새롭게 만들었으며 탑신부에는 탑신석과 옥개석을 번갈아 가며 5층으로 쌓았다. 각층 탑신석의 각 면에는 우주(모서리의 기둥)가 조각되어 있다. 옥개석의 윗면에는 2단의 탑신 괴임으로 되어 있으며 아랫면에는 4단의 각형 받침이 각각 양각되어 있고 낙수 면의 경사는 완만한 편으로 현재 상륜부는 없어졌다. 1967년 산재해 있던 석탑을 중건하는 도중 석탑의 2층 옥개석 사리공에서 청동제감이 수습되었는데 현재 이 청동제감은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다시 탑 속에서 발견된 소형 청동불상에서 [봉학산 봉학사]라 쓰인 시주문이 발견되어 이 탑을 봉학사지 오층석탑으로 부르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