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촌추어탕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촌추어탕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강촌추어탕

11.2 Km    13675     2023-06-14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창남4길 25
055-944-7337

강촌추어탕은 거창에서도 어탕수제비로 유명한 곳이다. 마꾸라지가 직접 재배한 야채와 만나 토속적인 어탕수제비로 탄생된다. 어탕수제비는 푹 고아낸 미꾸라지와 다양한 채소를 넣어 만든다. 여기에 고향에서나 맛본직한 어머니의 손맛까지 곁들어져, 어탕수제비만의 고향적이며 토속적인 정이 물씬 풍겨난다.

거창 황금원숭이마을

거창 황금원숭이마을

1.1 Km    8072     2023-12-08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상천길 50-159

황금원숭이마을은 금원산 아래 위치한 마을로 금원의 한자를 풀어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마을 인근의 금원산 자연휴양림에서는 매년 12월 말부터 2월 중순까지 얼음축제를 개최하며, 수승대에서는 7월 중순부터 8월까지 거창 국제연극제가 열린다. 얼음축제는 얼음계곡, 얼음 미끄럼틀, 썰매장 등 추운 날씨를 이용한 겨울놀이를 즐길 수 있다. 세계 여러 나라의 건축물 등 다양한 얼음조각 작품도 감상할 수 있는 금원산의 작은 겨울왕국을 만날 수 있다. 황금원숭이마을은 거창군의 녹색체험마을로 지정된 곳으로, 농산물 체험(40분), 생활공예 체험(60분), 수승대 문화체험(60분), 금원산 얼음축체 체험(60분), 삼겹살 숯불구이를 곁들인 한식 뷔페도 경험할 수 있는 체험마을이다. 마을 왼쪽으로는 금원산, 오른쪽으로는 덕유산이 병풍처럼 둘러 서 있고, 주변에 금원산 자연휴양림과 수승대가 인접해 있어 볼거리, 먹거리, 놀거리가 풍부한 마을이다. 자연 그대로의 맑은 물이 흐르는 체험마을 내 물놀이장과 조용하고 밤엔 하늘의 수많은 별들이 빛이 되어 주는 마을로 지친 몸과 마음을 편히 쉬어 갈 수 있는 체험휴양마을이다.

구구추어탕

11.3 Km    14349     2023-02-17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강남로 164
055-942-7496

구구추어탕은 어탕국수와 추어탕만을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이다. 오랜시간 추어탕만을 만들어왔기 때문에 한 입으로도 맛의 비법이 있음을 알 수가 있다. 주인이 구구추어탕에서 주장하는 맛은 고향의 맛이다. 추어탕의 맛은 16년 전 맛 그대로를 유지시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변관광지로는 거열산성군립공원, 수승대국민관광지, 덕천서원, 수승대국민관광지, 건계정 등이 있다.

황석산

황석산

11.4 Km    27769     2023-12-07

경상남도 함양군 서하면

황석산(1192.5m)은 남덕유산 남녘에 솟아있는 범상치 않은 바위산이다. 백두대간 줄기에서 뻗어 내린 네 개의 산인 기백산, 금원산, 거망산, 황석산 가운데 가장 끝자락에 흡사 비수처럼 솟구친 산으로, 덕유산에서도 선명하게 보인다. 가을철에는 거망산에서 황석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에 광활한 억새밭이 장관을 이루며, 금원산과 기백산 사이에는 그 유명한 용추계곡이 있다. 6.25전쟁 때 빨치산 여장군 정순덕이 활약했던 곳이, 바로 이웃의 거망산이며, 황석산성은 함양 땅 안의지방, 서하지방 사람들의 지조와 절개를 상징하는 중요한 유적지이다. 정유재란 당시 왜군에게 마지막까지 항거하던 이들이 성이 무너지자 죽임을 당하고, 부녀자들은 천길절벽에서 몸을 날려, 지금껏 황석산 북쪽 바위 벼랑은 핏빛으로 물들어 있다. 황석산에는 정자가 특히 유명하며 농월정, 동호정, 거연정, 군자정 등 경상도의 정자 문화를 대표하는 유적이다.

곰내미체험마을

곰내미체험마을

11.4 Km    1     2023-12-14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화평길 6

곰내미마을은 웅양포도가 많이 생산되는 곳인 거창군 웅양면에 자리한 농촌체험휴양 마을로, 9월이면 포도 향으로 온 마을이 달콤해지는 곳이며, 5월에는 넓은 밭에서 자라는 고사리 꺾기 체험을 하고, 9월에는 나무에 주렁주렁 달린 캠벨얼리 포도와 샤인머스켓 포도를 내 손으로 직접 수확해 볼 수 있는 곳이다. 체험 프로그램으로는 감자빵, 고구마빵 만들기, 사과 피자 만들기, 하바리움 만들기, 수제 소시지 만들기, 농작물 수확체험 등 다양한 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이며, 귀농귀촌 현장 프로그램인 농촌에서 살아보기를 운영하여 귀농귀촌에 대한 정보 제공과 성공적인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곰내미마을은 해발고도가 높은 지역으로 큰 일교차로 인해 좋은 품질의 포도와 사과가 생산되며, 싱그러운 포도와 사과 향기가 향긋하게 풍기는 지역으로 농산물, 웅양포도 뿐만 아니라 포도엑기스, 건고사리, 사과 과즙액 등 지역 농특산물을 판매하기도 한다. 체험마을에는 숙박 시설도 완비되어 있어서 숙박을 하면서 농촌을 체험할 수 있는 곳이다.

청운각

11.5 Km    14187     2023-06-16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수남로 2216
055-944-3775

청운각은 경남 거창군 김천리에 위치한 중화요리 전문점이다. 근처에 박물관을 비롯하여 문화센터, 경남도립거창대학이 가까이 있어 현지인들이 많이 찾는 곳이다. 청운각의 별미인 비빔짬뽕은 국물이 없는 짬뽕으로 달콤함과 매콤한 맛이 살아 있어 이곳을 찾는 사람들은 한 번쯤 먹어봐야 하는 메뉴로 인기가 많다.

거창 거기리 성황단

11.5 Km    15727     2023-11-16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 거기리

성황단(서낭당)은 마을 입구나 고갯마루에 원추형으로 쌓아놓은 돌무더기로,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적인 기능을 한다. 거창 거기리 성황단은 거기천이 형성한 곡저평야의 평지에 조성되었는데, 높이 4.6m, 아래 둘레 24.3m로, 수많은 돌로 층층이 쌓아 올린 적석총 형태로 500년 전에 깃대봉의 용마가 아이와 함께 말 무덤으로 만든 것이라는 이야기가 전해 내려온다. 성황단은 경계의 표시이거나 위급할 때 무기로 쓰기 위해 만든 것이라는 설도 있지만, 종교적인 의미가 강했다. 돌무더기 옆에는 보통 신성시되는 나무나 장승이 함께 세워지는 경우가 많다. 서낭신을 모신 성황단은 신성한 영역이자 신앙의 장소였다. 그래서 그곳을 왕래하는 사람은 돌, 나무, 오색천 등 무엇이든지 놓고 지나갔다. 거창 거기리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대보름날이면 성황단에서 마을에서 공동으로 제사를 지낸다고 한다.

안의향교

11.6 Km    2080     2023-11-22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향교길 15

안의향교는 1473년(성종 4)에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봉안 및 배향하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하여 창건되었다. 정유재란 때 소실되었다가 1607년(선조 40) 중건하였으며, 1729년(영조 5) 안의현이 없어짐에 따라 폐지되었다가, 1736년 이성택·최태희 등의 건의로 재건되었다. 1866년에는 대성전 내 삼문을 중건하였고, 1873년에 윤수동과 박재항이 대성전과 명륜당을 중수하였으며, 1880년에 유진원, 1892년에 현감 심의훈과 유림이 중수하였다. 현존하는 건물로는 대성전·명륜당·재천루·제기고·희우재·내삼문 등이 있다. 대성전에는 5성, 송조 4현, 우리나라 18현의 위패가 봉안되어 있다. 조선시대에는 국가로부터 토지와 전적·노비 등을 지급받아 교관 1명이 정원 30명의 교생을 가르쳤으나, 갑오개혁 이후 신학제 실시에 따라 교육적 기능은 없어지고 봄·가을에 석전을 봉행하며, 초하루·보름에 분향하고 있다.

동막골 한우촌

11.6 Km    13904     2023-08-07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대평3길 58
055-945-3369

동막골하우촌에서는 거창 대표 한우인 애우 1++ 이상의 고기만을 사용하고 있다. 또한 여기에 참숯만을 사용한다. 애우는 깨끗한 산촌에서 쑥먹고 자란 한우를 말한다.거창의 쑥먹인 애우는 질 좋은 한우만을 선정해 쑥을 급여하여 애우를 만든다. 통 분위기의 실내 인테리어로 한층 더 우아한 분위기에서 한우를 즐길 수 있다. 점심특선메뉴는 한우석쇠불고기와 쌈정식까지 나온다. 동막골한우촌의 주변관광지로는 거열산성군립공원, 수승대국민관광지, 덕천서원, 수승대국민관광지, 건계정 등이 있다.

거창박물관

거창박물관

11.7 Km    21657     2023-12-07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수남로 2181

거창박물관은 1988년 5월 20일 당시 군단위 최초로 개관한 공립박물관으로 전시품 대부분이 거창지역에서 출토 전래된 자료들로 지역색을 잘 나타내고 있고, 채색본 대동여지도와 둔마리 벽화고분을 비롯하여 가야토기, 고려자기, 조선백자, 선현유품, 생활민속품 등이 다양한 종류별로 전시되어 있다. 거창의 역사 유물을 한눈에 살필 수 있는 거창박물관은 한옥구조의 2층 건물로, 규모는 2,600평의 부지에 1, 2층 250평의 전시실과, 강당 및 전시실을 갖춘 120여 평의 별관, 그리고 야외전시장으로 이루어져 있다. 박물관을 만들게 된 배경은 이 지역의 독지가인 계림농원 최남식 대표와, 제창의원 김태순 원장 두 사람이 평생 수집한 귀중한 자료들을 군청에 기증하고, 직접 건립운동에 앞장서면서 개관되었다. 거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유물의 수는 1,200여 점으로, 중요소장품은 대동여지도(유형문화재), 송림사지석조여래좌상(유형문화재), 정온선생 관복(중요민속자료), 이보흠선생 실기책판(유형문화재) 등의 지정문화재와 다수의 중요자료가 소장되어 있다. 본관 1층에는 둔마리 벽화고분 모형, 선현유품, 안방, 사랑방, 한약방, 농기구 민예품, 생활용품 등이 전시되어 있고, 본관 2층에는 거창군 연혁·년표 , 대동여지도, 가야 및 삼국유물, 금속유물, 고려자기, 조선자기 등이 전시되어 있다. 별관에는 시청각실, 자료실, 특별전시실(2층), 학예연구실이 갖춰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