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Km 2024-06-14
경상북도 문경시 산북면 김용길 278-1
문경은 예로부터 영남과 한양을 잇는 주요 대로였고, 지금도 한강과 낙동강을 이어주는 한반도 길 문화의 상징이다. 과거시험 보고 돌아가던 선비가 새재 고개에서 경사스러운 소식을 듣는다는 문경(聞慶)의 어원은 얼마나 따뜻한가. 이곳에 오시는 모든 분들이 옛길을 기억하며 자신의 길을 돌아다보고 또 마음의 길을 살펴보도록 문학이라는 집을 지었다. 문학은 우리를 상상할 수 없는 곳까지 데리고 가 우리를 좀 더 다른 사람으로 살게 할 것이다. 문학을 통하여 삶과 세계가 더 아름다워지기를 바라며 신라 진평왕 때 창건된 김용사 입구이며 문경 팔경의 요람인 운달 계곡의 첫 자리에 존재, 그 자체만으로도 울림을 주는 ‘문경 문학관’이 있다.
18.9Km 2024-07-26
충청북도 제천시 청풍면 청풍호로49길 47
청풍월드니스글램핑은 충북 제천시 청풍면에 위치하고 있다. 캠핑장 부지내에 다른 민가가 없어 자유롭게 캠핑을 즐길 수 있다. 기본적인 캠핑 식기들을 모두 제공하고 있어 가볍게 캠핑을 즐길 수 있다. 부대시설로 화장실, 샤워시설, 온수를 제공하고 있다. 수상레저와 산악바이크를 보다 저렴하게 즐길 수 있다.
18.9Km 2025-03-17
충청북도 충주시 충열1길 6 임충민공충렬사
충민공 임경업(1594∼1646) 장군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세운 사당이다. 숙종 23년(1679)에 사당을 세웠고, 1706년에 장군에게 충민이라는 이름을 내렸다. 영조 3년(1727)에는 사당 이름을 충렬사라 했다. 임경업 장군은 선조 27년(1594) 충주에서 태어나 인조 2년(1624) 이괄의 난 때 큰 공을 세웠다. 특히 병자호란 때 백마산성과 의주성을 다시 쌓아 국방을 강화하는 등 나라에 이바지한 바가 컸다. 명나라를 숭상하던 장군은 인조 30년(1642) 명나라가 청나라에게 위협을 받게 되자 명군과 협력해 청에 대항하고자 했으나 계획이 탄로 나 청군에게 붙잡히고 말았다. 청나라는 장군에게 여러 제의를 하면서 포섭하려 했으나 끝까지 뜻을 굽히지 않았다. 그 후 1646년 국내의 ‘심기원의 모반 사건’에 억울하게 연관되어 감옥에서 혹독한 고문을 받고 피살되었다. 현재 충렬사에는 장군이 사용했던 유품을 전시하고 있으며, 사당 앞 왼쪽에는 장군 부인의 곧은 절개를 기리기 위해 세워진 ‘정부인완산이씨 정렬비’가 있다.
18.9Km 2025-03-15
충청북도 충주시 연수동
충청북도 충주시 연수동에 위치한 금곡소류지는 자연적으로 생겨난 작은 늪지였지만, 2022년 1월부터 12월까지 ‘소생물 서식처복원’을 통한 생태네트워크 구축 사업을 통하여 개방수면 확보, 수변 가장자리 식재 등을 통해 소생물 서식처 및 은신처, 먹이터 기능 확대하여 두꺼비, 노랑어리연꽃 등 다양한 동식물들이 서식하는 보금자리가 되었고 새로운 산책코스로 사랑받고 있다.
18.9Km 2023-08-08
충주 시내를 관통하는 남한강으로 합수되는 충주천 변에는 재래시장, 세 곳이 정겹게 어깨를 맞대고 있다. 무학시장, 자유시장, 공설시장이 이어져 시장 구경하는 맛이 난다. 사람이 있고 삶이 있는 시장 모퉁이에 전국적으로도 몇 남지 않은 대장간이 눈에 띈다. 쇠를 달구고 두드린 세월이 고스란히 인생이 된 대장장이가 꾸려가는 삼화대장간보는 재미도 솔솔하다.
[출처]충주여행 30선 중에서
18.9Km 2025-01-06
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은성로 1649
문경약돌돼지는 경북 문경시에 위치한 돼지고기 전문점이다. 황토가마에 참나무 장작으로 초벌 한 돼지고기를 참숯에 구워 먹을 수 있는 곳이다. 고기는 온라인으로도 주문이 가능하며 인근에 다양한 관광지 및 캠핑장이 위치하고 있어 포장도 가능하며 무료주차가 가능하다. 최근 인기유튜브 채널과 TV 프로그램에 방영되면서 많은 이들이 방문하고 있다.
18.9Km 2024-12-26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호반로 696-1
충주호캠핑월드는 오토캠핑과 글램핑을 즐길 수 있는 곳이다. 일반 야영장은 파쇄석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개인 트레일러는 동반이 가능하지만, 개인 카라반은 입장이 불가능하다. 글램핑 외부 데크 옆에는 개별 수영장이 있어 가족끼리 프라이빗 한 물놀이가 가능하다. 캠핑장 주변으로 충주호와 계명산 자연휴양림, 탄금대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이 순조롭고, 다양한 메뉴를 갖춘 음식점이 있어 별미를 즐길 수 있다.
19.0Km 2025-03-13
충청북도 충주시 충인1길 22
043-853-7005
충청북도 충주시 충의동일대에서 5일 간격으로 열리는 정기 재래시장이다. 전국 5대 풍물시장의 하나로 평일 600여 점포의 상설시장이 위치하고 5일마다 민속 5일장이 어우러져 1200여 점포에 없는 것 없이 먹거리 볼거리가 풍성하다. 충주공설시장과 충주무학시장 인근의 교현천 변에서 매월 5, 10, 15, 20, 25, 30일에 열린다. 부지 규모는 약 4,000㎡로 교현천 변을 따라 약 500m가량 길게 늘어서 장이 열린다. 1960년대에 교통이 편리하고 시민들의 접근성이 좋은 교현동 예성공원 주변에 노점상들이 터를 잡으면서 자연발생적으로 오일장이 형성되었다. 2001년 3월 충주시에서 예성공원에 있던 노점상을 지금의 자리로 강제 이주시키면서 풍물시장으로 자리 잡았다.
19.0Km 2024-10-24
충청북도 충주시 충인1길 12
043-848-4079
충주 무학시장 옆에 있는 충주누리센터 1층에 충북 무형유산으로 지정된 삼화 대장간이 자리 잡고 있다. 1964년 삼화 철공소라는 이름으로 문을 연 삼화 대장간은 60년 넘는 세월 동안 쇠를 녹여 철제 기구들을 제작해온 야장이 운영하는 곳이다. 올해 80세인 도지정 무형유산 야장 김명일 선생이 직접 제작한 화로에서 쇠를 담금질하는 과정과 다양한 도구들이 만들어지는 과정을 볼 수 있다. 화로가 있는 작업 공간 옆으로 전시와 판매를 겸한 공간이 이어진다. 현대식 건물로 옮겨온 탓에 대장간의 예스러운 맛은 없지만, 창가에 걸어놓은 도구를 찬찬히 둘러볼 수 있다. 호미와 낫, 크기가 다양한 칼은 물론이고 쇠목에 거는 도래와 문고리 같은 생활용품도 한쪽에 자리 잡고 있다. 이곳에서는 선생과 함께 망치질 체험도 하고, 호미를 기념품으로 받을 수 있다. 책이나 영화에서 보던 대장간을 직접 보고 쇠를 두드리는 이색적인 체험을 하려고 일부러 찾는 여행자도 많으며 기술 연수도 진행한다. 삼화 대장간에서 나오면 무학시장이 바로 앞에 있다. 충주천을 따라 무학시장, 자유시장, 공설시장이 있는데, 각각 이름이 있지만 한 몸처럼 이어진 시장이라 다양한 물건을 구경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