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지고택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모지고택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모지고택

18.4 Km    2     2020-03-16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남촌길 33
054-853-2388

87년 민속마을로 지정되기 이전부터 전통민박을 하고 있다.

북산서원

18.4 Km    1480     2023-11-03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대북길 207-3

절강 장씨의 시조인 장해빈을 봉향하기 위해 세워진 서원으로 1684년 창건되었다. 장해빈은 중국 항주의 조강현 출신으로 조선 선조 정유재란 때 장수로 와서 귀화한 뒤 군위에 정착했다. 군위에 정착하여 살아온 절강 장씨 문중에서 소유와 관리를 맡고 있다. 1868년(고종 5)에 흥선대원군의 서원 훼철령으로 훼철되었으나 1959년 중건하여 북산서원으로 승격되었다. 서원은 강당과 2개의 사당이 병렬로 위치하고 있으며 현존하는 건물로는 경화사, 사당, 강당, 외삼문, 서재 등 총 6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전통창조박물관

한국전통창조박물관

1.8 Km    360     2023-12-07

경상북도 의성군 단북면 중련길 22-8

의성군 단북면에 위치한 한국전통창조박물관은 폐교된 초등학교를 개조하여 2017년 전통문화 창달과 문화의 증대를 위해 설립된 곳이다. 2003년부터 운영하던 금오 민속 박물관을 확장, 이전한 것으로 다년간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전통사회부터 근현대에 이르는 생활사 자료들을 분석하여 전시하고 있다. 한국전통창조박물관은 조선 후기와 근현대 자료 2만점을 소장하고 있으며 전시실은 2개 층으로 이루어져 있다. 1층에는 수많은 곤충을 직접 볼 수 있는 생태과학실이 있고 맷돌, 베틀, 난로, 가구 등 옛 농기구와 생활용품들을 전시했다. 2층 전시장에는 시기별 기획 전시를 진행한다. 이 밖에도 야외전시장이 있는데 이곳에서는 우리나라 난방 발달사와 온돌의 원리에 대해 배울 수 있다. 체험 프로그램으로는 한지공예, 전통 천연 염색, 한지공예, 짚공예 등이 있으며 모든 체험은 전문 강사진 지도하에 진행된다.

구니CC

구니CC

18.5 Km    1     2023-07-12

대구광역시 군위군 군위읍 도군로 2450

구니 CC는 경상북도 군위군 군위읍 외량리에 자리 잡고 있다. 군위 IC와 가까운 거리이다.
골프장에는 한국 잔디가 깔려 있으며, 18홀 규모로 이루어졌다. 7,200yd 이상의 인터내셔널 코스로 세계 명문 코스의 기품과 격이 흐른다. 하늘과 위천을 코스 안으로 과감하게 끌어들인 공간 미학까지 매일 변하는 필드는 살아있는 생명체다.
부대시설로는 클럽하우스, 로비, 락커 룸, 레스토랑, 스타트하우스, 프로숍 등이 있다.

만송정 숲

만송정 숲

18.5 Km    2     2023-11-14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안동 하회마을에 위치한 만송정 소나무 숲은 낙동강이 하회마을을 휘돌아 흐르며 만들어진 넓은 모래 퇴적층에 조성된 숲으로 조선 선조 때 문경공 류운용이 풍수지리상 마을 맞은쪽 부용대의 기를 완화하기 위하여 마을 앞에 조성한 송림이다. 외부의 불길한 요소를 차단하여 강한 기운을 완화시키고 북서풍을 막기 위해 1만 그루의 소나무를 심었다고 한다. 수령 90~150년, 높이는 16~18m, 지름 30~70㎝ 정도의 소나무 100여 그루가 있고 이후 약 100년 전 다시 심은 소나무들이 숲을 이루고 있으며 지금도 숲 계승, 보존을 위하여 지속적으로 소나무를 심고 있으며 그 보호면적은 47만 6,430㎡이다. 이 숲은 여름에는 낙동강 범람을 막아주고 겨울에는 세찬 북서풍을 막아주며, 마을 사람들의 휴식공간과 문화공간으로 활용된다. 만송정 숲에 가기 위해서는 하회마을 입구에 주차를 하고 셔틀버스를 타고 마을 안으로 들어가야 하니 들어가는 길 하회마을의 옛 문화가 담긴 고택들과 병산서원, 부용대, 탈놀이 전수관까지 함께 둘러보기를 권한다. 6월~10월 매달 마지막 주 토요일(18:00~21:00)에는 ‘선유 줄불놀이’가 진행된다. 선유 줄불놀이는 옛부터 음력 7월 16일(기망)에 양반들이 즐기던 민속놀이로 공중에 매단 긴 줄에 숯가루를 넣은 봉지를 매달아 점화하면 불꽃이 낙동강물 위로 떨어지는 장관을 볼 수 있다. 이 기간에는 만송정 숲 인근 임시 주차장을 운영한다.

옥연정사[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옥연정사[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8.6 Km    13664     2023-10-24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광덕솔밭길 86
054-854-2202

안동 하회마을 옥연정사는 서애 류성룡 선생이 탄홍스님의 도움을 받아 조용히 거처할 목적으로 지은 곳으로, 학문을 연구하고 제자를 양성하던 곳이다. 원락재는 별당채로, 460여년 된 소나무와 하회마을을 배경으로 운치를 자아내고 있다. 세심재는 서애선생이 서당으로 쓴 곳이다. 1605년 낙동강 대홍수로 하회의 삼칸초옥을 잃고, 이곳 원락재에 은거하며 임진난을 회고하여 징비록(국보)를 저술하였다.

탈놀이전수관

탈놀이전수관

18.6 Km    1     2023-11-07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종가길 3-15

탈놀이전수관은 하회마을의 역사와 함께 800년 동안 민중들의 희노애락을 함께 해 온 우리 민족의 대표적인 전통연희 ‘하회 별신굿 탈놀이’를 전승하고 보존하기 위한 공간이다. 무형 문화재 제69호로 지정된 하회 별신굿 탈놀이는 12세기 중엽부터 안동 하회마을에서 대대로 전승되어 온 가면극으로 당시 시대의 풍자와 해학을 신명나는 춤으로 선보여 관객들에게 웃음을 선사한다. 세 명의 인간문화재를 포함한 전통하회탈을 쓴 등장인물과 풍물, 꽹과리, 춤사위로 구성된 공연이다. 공연 외에도 탈 만들기, 탈춤 배우기, 1박2일 전수관 체험하기 프로그램이 있다. 공연후 세계탈박물관 방문과 문화관광해설을 신청하여 하회마을의 옛 문화가 담긴 고택들과 병산서원, 만송정 소나무의 역사와 가치를 들으면 하회마을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화천서원

화천서원

18.7 Km    29211     2024-06-14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광덕솔밭길 72

안동 하회마을 부용대 동쪽 기슭에 위치한 화천서원은 조선 중기 퇴계학문을 수학한 겸안 류운룡(1539-1601년) 선생의 넋을 기리고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유림의 뜻을 모아 1786년 건립되었다. 이후 1868년 고종 5년 서원 철폐령으로 강당과 살림집으로 쓰인 주소만 남기고 헐게 되어 한동안 화천서당으로 불렸으나 이후 서원의 훼철을 아쉬워하던 후손들이 1966년부터 기금을 모아 여러 건물을 복원 1996년 지금의 서원형태를 완성하고 복설고유를 올렸다. 경내에는 사당 경덕사, 강당 숭교당, 동재와 서재, 문루 지산루, 원문 유도문, 주소 전사청이 있다. 부용대 오른쪽 숲길로 들어서면 경암 류운룡 선생이 1567년 학문을 가르치기 위해 지은 겸암정사가 있고 정사의 누각에 오르면 모래사장과 하회마을, 부용대의 거친 기운을 막기 위해 류운룡 선생이 심은 만송정 숲이 있다.

부용대

부용대

18.7 Km    35249     2024-06-13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광덕솔밭길 72

부용대는 안동 대표 관광지로 하회마을의 전경을 한눈에 담을 수 있는 곳이다. 부용대는 연꽃을 바라보는 전망대라는 뜻으로 연꽃 같은 모습의 안동 하회마을을 가장 잘 바라볼 수 있는 곳이다. 마을 전체를 한 바퀴 휘감아 지나가는 낙동강과 하회마을 주위를 병풍처럼 두르고 있는 태백산맥의 모습을 한 번에 감상할 수 있다. 하회마을을 여행할 때 부용대를 들르는 것을 추천한다.

문산서원

18.8 Km    1520     2023-12-05

경상북도 구미시 선산읍 유학길 334-32

구미 선산읍에 위치한 문산서원은 1792년(정조 16) 훌륭한 유학자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고 지방민의 교육과 교화를 위해 설립된 조선 시대의 지방교육기관으로 1868년(고종 5)에 서원훼철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86년 중건되었다. 외삼문인 상지문을 들어서면 정면으로 문산서원 현판을 단 4칸의 이학당이 보이고, 그 양옆으로 각각 역락재와 시습재가 자리 잡고 있다. 이중 서재인 시습재의 뒷편 마당으로 가면 문산서원의 사적비와 기공비가 늘어져 있는 모습을 한눈에 볼 수 있다. 사당인 세덕사에서는 노수함, 노경필(1554~1595), 노경륜(1566~1595)을 모시고 있으며 매년 음력 10월 중정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2014년 3월 경주 안강 노씨 종친회에서 배향하는 선조의 뜻을 받들고 학문과 정신을 계승적으로 연구하며, 후손 및 지역민들에 대한 교육을 목적으로 [사단법인 문산서원 보존회]를 설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