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청소년수련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대구광역시청소년수련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대구광역시청소년수련원

대구광역시청소년수련원

15.0 Km    30275     2023-07-26

대구광역시 달서구 앞산순환로 180

* 청소년의 심신을 길러주는 곳, 대구광역시청소년수련원

대구광역시청소년수련원은 청소년들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남과 휴식의 공간을 제공하고, 청소년 중심, 참여 중심, 체험 중심의 다양한 수련활동 및 해외수련활동을 통하여 건전한 청소년 육성에 기여함은 물론, 청소년들에게 세계 지향적이고, 미래 웅비적 가치관을 심어 주기 위하여 최선을 다하는 대구시 대표 수련시설로 2002년 8월부터 (재)대구카톨릭청소년회가 대구시로 부터 위탁 받아 운영하고 있는 청소년 문화공간이다. 대구광역시청소년수련원의 주요 사업은 시민의 평생교육을 책임지는 평생교육센터 운영, 초.중.고생의 심신을 단련할 수 있도록 하는 수련활동, 인성개발프로그램, 테마캠프 등이 있다.

* 수련원 주요 시설 안내

농구, 탁구, 배구, 실내암벽등반 등을 즐길 수 있는 체육관과 연극, 음악, 국악등 무대예술공연 등의 문화 공연의 장인 대극장, 미술, 시화, 사진, 서예, 조각 등을 전시하는 전시실, 가곡, 가요, 팝송 등을 감상할 수 있는 인터넷방송국, 노래방 기기, 종합어울마당 등의 행사를 할 수 있는 놀이마당, 수련실, 예절실, 조리실습실 등 생활체험 교육을 진행하는 생활관 등으로 구분된다.

관음사(고령)

관음사(고령)

15.0 Km    19675     2023-12-05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주산순환길 147

관음사는 일제강점기인 1911년 5월 6일 경북 고령 대가야읍 봉두동(현 연조리)에 [법찰대본산해인사본말사고령포교당]이라는 이름으로 주지 박보담 등에 의해 창건되었다. 1956년에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로 등록했다. 1981년에 대대적인 중창 불사가 이루어졌고 1990년대 초에 승려 종운이 천불전을 건립했으며 현재 경내에는 관음전을 중심으로 칠성각과 산신각, 천불전 겸 유치원, 종각, 요사 2동이 배치돼 있다. 관음사내에는 화승들이 북극성을 의미하는 치성광여래와 일월을 비롯한 성신들을 그린 칠성도와 아미타여래도와 신중도가 문화재 자료로 지정됐다. 고령지역의 포교당으로 고령지역의 일반인들을 위한 포교활동을 펼치면서 아이들의 교육을 위한 유치원도 운영하고 있다.

고령 지산리 당간지주

고령 지산리 당간지주

15.1 Km    17655     2023-06-10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지산리

지산리 당간지주는 3.14m의 높이의 당간지주로 1963년 1월 21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지산동 민가 안에 있는데, 그 일대가 부락으로 변하여 옛 절터를 찾아볼 수 없으나, 원위치에 원상태로 70cm의 간격을 두고 동서로 마주보고 있는 것을 미루어 당시 이 일대가 대사찰이었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외면의 모서리를 죽이고 종문를 조각하여 매우 장식적이고 화려한 의장 수법을 보이고 있다. 지주의 정상부는 뾰족하고 바깥으로 내려오면서 3단의 굴곡을 활 모양의 선으로 처리하였으며, 지주의 안쪽에는 간공 2개가 있는데 이들은 장방형의 형태로 구멍을 뚫어 간을 끼우도록 하였다.지산동 당간지주는 상·하부의 크기가 거의 같아서 약간 둔중한 인상을 주지만 지주의 바깥둘레 각 면의 조각장식 수법으로 보아 가작(佳作)이라 할 수 있다. 또한, 전체적으로 화려하고 단아한 조각이나 솜씨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조각기법과 다듬은 돌 등을 보아 통일신라시대 중기(8세기경)에 건조된 것으로 추정되어 진다.

애기똥풀

15.1 Km    1     2023-02-03

대구광역시 달서구 앞산순환로 195

대구 달서구 송현동에 있는 애기똥풀은 다양한 한상 차림을 판매하는 한정식 전문점이다. 집밥을 떠올리게 하는 여러 종류의 한상 차림 중에서도 대표 메뉴인 '애기똥풀 한상'은 숯불소갈비살과 돌솥밥, 된장찌개, 버섯탕수, 양초보쌈, 고등어구이와 11가지 반찬이 제공되는 푸짐한 한상 차림이 특징이다. 애기똥풀의 한상차림은 최상급 로컬푸드의 식재료와 102가지 야생 약초로 만든 산야초 효소로 맛을 내고 신안 천일염과 의성 안계쌀, 3년 묵은 재래식 된장으로 정성껏 차려내 풍부한 맛과 향을 느낄 수 있다. 각종 한상은 도시락으로 판매되기도 하니 참고하면 좋다. 근방에 대구 앞산이 자리하고 있어 산행 전후로 들르면 맛있는 한정식을 제대로 만끽할 수 있다.

고령향교

15.1 Km    18534     2023-11-17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향교길 29-18

고령향교는 그 창건 시기와 위치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1413년 고령 지역에 현감을 파견한 것으로 보아 이때 창건된 것으로 보인다. 건립 이후 4차례 정도의 이건을 거쳤다. 임진왜란 때 위패만 주산 아래에 묻었는데 난이 끝난 후에도 오랫동안 복구하지 못했다. 그러다가 1676년에 매몰기지에 중건하였으나 터가 불길하다 하여 1702년에 당시 현감 구문유가 현재의 장소로 이건하였다. 건물터 개척 당시 옥기와, 연화 기와 등이 나왔고 흰 까치가 집 주위에 날아다녔다 하여 길지로 여겼다. 경내에는 대성전. 명륜당 및 동무·서무·빈흥재. 내삼문. 외삼문. 관리사. 협문 등이 있다. 대성전과 명륜당은 1700년대 초 건축의 골격을 유지하고 있고 명륜당은 한말에 학교로 활용하였기 때문에 창호 등이 다소 변형되었다. 1974년에 완전 해체하고 복원한 명륜당은 일제강점기에는 지금의 고령 초등학교 전신인 고령 보통학교와 더불어 학교의 역할을 하였다. 현재는 교육기관으로서의 기능은 상실하고 성현들에 대한 제향 기능만을 담당한다. 제향은 매년 춘추 중월 상정일에 제행한다. 고령향교에서는 문화재청에서 진행하는 향교의 활성화와 유교문화 계승 보급을 위한 향교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예술, 인문철학을 주제로 한 일반인 대상의 인문강좌와 초,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지역 역사, 문화재 스토리텔링 그리고 외국인 교환학생과 다문화가정 자녀를 대상으로 하는 대가야 문화역사체험 투어가 있다.

고령 대가야 카라반

고령 대가야 카라반

15.2 Km    0     2023-11-01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신남로 61

고령 대가야 카라반은 대구에서 차량으로 1시간 이내에 위치한 카라반 전용 캠핑장이다. 4인용으로 넉넉한 카라반이 총 10개 운영되고 있고, 승마체험장이 함께 있는 테마형 캠핑장이다. 카라반마다 바비큐를 즐길 수 있도록 데크에 개별 천막과 테이블이 설치되어 있어 편리하다. 투숙 시에 승마, 국궁, 마차 체험 등이 할인되며, 체험 프로그램을 이용하지 않더라도 넓은 잔디광장을 비롯 수영장, 동물원 등 아이들이 놀기 좋은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어, 가족 단위 캠핑객이 많다.

대덕승마장

대덕승마장

15.2 Km    22431     2023-07-04

대구광역시 달서구 앞산순환로 206
053-656-0467

기존의 일부 부유층들의 전유물로 알려졌던 고급스럽고 낯설던 승마의 개념을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국민 스포츠로서의 자리매김을 위해 교육 및 승마장 시설을 한 차원 높였음에도 불구하고 이용료는 낮추었다. 가족적인 분위기로 누구나 쉽고 편안하게 승마를 즐길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대가야국악당

대가야국악당

15.3 Km    19354     2023-04-07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지산길 7-8

* 국악을 계승하고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대가야국악당 * 고령군 고령읍 지산리에 위치하고 있는 대가야국악당은 우리나라 국악의 전통계승을 위해 설립되었다. 대가야국악당에서는 국악을 계승하기 위해 다양한 문화행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문화행사가 바로 전국우륵가야금 경연대회이다. 고령은 가야금을 만든 우륵을 기리는 우릭기념탑 등 우륵선생을 기리는 문화 및 행사를 많이 개최하고 있다. 대가야국악당은 총 460석의 객석을 보유하고 있으며, 강당, 연습실, 공연장, 전시실 등의 시설을 구비하여 국악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 행사와 지역민에 대한 문화 체험에도 앞장서고 있다. * 고령군과 우륵의 관계 * 우륵은 박연, 왕산악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악성으로 불리우는 사람으로 가야 말기 가실왕의 주문으로 12현의 가야금을 창제했다고 한다. 그는 ‘가야 12곡’을 만들어 인근 가야 동맹국에 퍼뜨렸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현재 남아있는 악보는 없다. 우륵은 가야국이 신라에 멸망한 뒤 충주 부근 탄금대에서 망국의 한을 달래며 살고 있었는데, 신라 진흥왕이 탄금대를 방문해 우륵의 가야금 연주를 들은 것을 계기로 이후 신라에도 가야금을 전파했다고 ‘삼국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우륵이 가야 12곡을 작곡한 것으로 알려진 곳을 학자들은 고령읍 쾌빈리(메나리골)이라는 것이 학계의 주장이며, 이 학설을 기반으로 고령군은에 우륵을 기념하는 탑과 비각을 세우게 된 것이다.

꽃잔디식당

꽃잔디식당

15.3 Km    0     2024-02-21

대구광역시 달성군 달구벌대로 750

꽃잔디식당은 대구광역시 달성군 다사읍 매곡리에 있다. 예스러운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의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오직 아귀찜 요리 하나만 하는 집으로 대표 메뉴는 전통 아귀찜이다. 음식을 주문하면 영양돌솥밥이나 바지락칼국수 중 한 가지를 선택해 맛볼 수 있고 순살 아귀찜도 판다. 대구 지하철 2호선 다사역과 다사 IC에서 가깝다. 인근에는 달성문화센터와 다사 근린공원, 강정보 유원지, 강정보 디아크 광장이 있다.

대가야문화누리

대가야문화누리

15.3 Km    1     2023-12-18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왕릉로 30

대가야문화누리관은 520년간 지속되었던 대가야시대의 궁성을 형상화하여 건립하였으며, 지역의 문화, 체육, 복지 인프라를 연계한 종합문화공간이다. 지하 1층, 지상 3층으로 규모로 지어진 시설에는 공연장, 고령국민체육센터, 고령문화원, 청소년문화의집, 지역자활센터 등이 입점하여 지역주민의 문화생활 및 복지 향상과 행복한 지역을 만드는데 이바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