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클로 대구대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유니클로 대구대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유니클로 대구대천

유니클로 대구대천

13.7 Km    0     2024-03-23

대구광역시 달서구 진천로 113

-

대명유수지

13.8 Km    4     2023-09-21

대구광역시 달서구 대천동

대명유수지는 1992년 성서산업단지 침수피해 방지를 위해 258,000㎡ 규모로 조성된 유수 저류 시설이다. 2011년 8월 환경부지정 멸종위기 2급 맹꽁이 최대 서식처로 발견됨에 따라 국내 최대 맹꽁이 서식처로 알려졌다. 대명유수지는 낙동강, 금호강, 대명천, 진천천이 합류하는 지점에 형성된 달성습지 옆에 위치하고 있어 맹꽁이 이외 삵, 족제비, 황조롱이, 고라니 등 다양한 야생 동·식물이 서식하는 생태자원의 보고이다. 2015년부터 3년간 대명유수지 일원에 맹꽁이 서식 환경 개선 및 전망데크, 생태탐방로, 포토존 등 맹꽁이 생태학습장이 조성되었다. 이 곳은 탐방데크를 중심으로 억새와 갈대가 펼쳐져 있어 가을철 인생샷 및 출사 명소로 많은 방문객이 찾고 있다. 주변 관광지로는 계명대학교성서캠퍼스, 달성습지가 있다.

동제미술관(동제미술전시관)

동제미술관(동제미술전시관)

13.8 Km    1     2023-01-17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헐티로10길 18

동제미술관은 대구 달성군 가창면에 자리 잡고 있다. 미술관에는 널찍한 잔디 광장, 화가의 작업 공간, 카페, 아트숍, 전시 공간 등이 갖춰져 있다. 입장료를 내면 카페에서 파는 모든 음료 중 하나를 선택해 맛볼 수 있다. 미술관은 파동IC와 가깝고, 주변에는 화원자연휴양림이 위치해 있다.

돼지만 본점

돼지만 본점

13.8 Km    0     2024-02-26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화북로 192

돼지만 본점은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에 있다. 깔끔한 외관과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생삼겹살이다. 이 밖에 생목살, 항정살, 갈매기살, 가브리살 등을 맛볼 수 있다. 특히 지방질을 좋아하는 손님을 위해 고지방 마니아 삼겹살이라는 메뉴도 준비되어 있다. 유천 하이패스 IC에서 가깝다. 인근에는 월곡역사공원, 앞산 해넘이 전망대가 있다.

쿄우다이

쿄우다이

13.9 Km    0     2024-01-31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배로46길 72

쿄우다이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상인동에 있다. 일본 감성이 느껴지는 외관과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대표 메뉴는 여러 종류의 초밥 20개를 비롯해 면류, 튀김 등이 나오는 모둠초밥 2인 세트다. 이 밖에 돈가스세트, 돈코츠라멘, 쇼우라멘, 우동, 냉모밀, 규동, 수제등심돈가스 등을 맛볼 수 있다. 초밥은 단품으로도 주문이 가능하다.

홈플러스 상인

13.9 Km    0     2024-03-23

대구광역시 달서구 월배로 183 (상인동)

-

장룡수산

장룡수산

14.0 Km    1     2022-10-26

경상남도 창녕군 토평천길 40

창녕군 고암면에 있는 장룡수산은 민물장어구이 전문점이다. 지용성 비타민과 여름철에 특히 부족하기 쉬운 비타민 A가 풍부한 장어는 단백질 함량이 높고 원기 회복과 성인병 예방에 좋은 보양식으로 한국과 일본에서 인기가 많다. 장룡수산 내부는 넓고 깨끗하며 입식과 좌식 테이블로 이루어져 있다. 좌식 테이블은 테이블 아래로 발을 내릴 수 있어 편하게 식사할 수 있다. 기본 상차림은 쌈 채소와 고추, 마늘, 생강, 소스, 겉절이가 나오며 장어구이 주문 시 민물장어로 만든 어묵도 나오는데 별미다. 구이를 먹은 후 추어탕, 시래기 된장으로 마무리하면 된다. 장룡수산 마지막 주문은 20시 20분까지 가능하다. 근처 경상남도 기념물 제153호 창녕 노변소 묘와 문화재 소곡서당이 가까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임휴사

14.0 Km    26180     2023-03-16

대구광역시 달서구 앞산순환로 12-25

* 태조 왕건이 머물던 곳, 임휴사 *

대구 시민의 휴식처인 앞산에는 예로부터 고려 태조 왕건과 관련된 이야기와 사찰들이 전해오고 있다. 한창 후백제의 견훤과 접전을 벌일 무렵 수세에 몰린 왕건이 이 곳 앞산에 이르러 은적사, 안일사, 임휴사 등지에서 머물면서 마음을 다스리고는 훗날‘고려‘라는 새로운 시대를 열게 된다. 특히‘임시로 쉬어갔던 절’이란 뜻의 임휴사(臨休寺)는 태조 왕건이 계속적인 패배로 지친 심신을 부처님 전에 달래어 심기일전하고 다시 전장에서 승리를 하게된 계기를 마련한 유서 깊은 호국도량이다.

이 후 임휴사는 불조의 혜명으로 법등이 전수되어 1천년 세월을 국가에는 국태 민안을, 민족에게는 자비 화합을 안겨준 지역민의 귀의처로 발돋움했다. 지금은 대구시민의 기도도량이자 휴식공간으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지난 2004년 7월12일 타종교의 광신도로 추정되는 정체불명 괴한이 저지른 계획적인 방화로 인해 요사를 제외한 전각이 모조리 전소되는 어처구니 없는 사건이 발생했다. 법당 내부에 모셔진 불상이나 탱화를 단 1점도 꺼내오지 못할 정도로 순식간에 벌어진 일이었다.

임휴사는 아직 화재를 일으킨 범인을 잡아내지 못한 채 고통을 나날을 보내고 있었다. 그러나 천년을 넘도록 지켜온 법등을 한순간에 소멸시킬 수는 없는 일. 임휴사는 2007년 완공을 목적으로 다시 대웅전 불사를 진행하고 관음기도도량으로서 기도와 수행에 전념하고 있다. 거기다 지역민을 위한 ‘마야유치원’을 운영하며 어린이법회를 함께 이끌고 ‘불교전문교육원’을 개설해 교육과 포교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 또 다음 해인 2005년 부처님오신날에는 경내에서 산사음악회를 개최해 지역주민의 많은 참여와 함께 임휴사가 다시 일어설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기도 했다. 이제 임휴사는 다시는 외부의 불순한 세력에 의해 삼보정재를 훼손하거나 손실을 입는 일이 발생하지 않아야 할 것이며, 그 옛날 태조 왕건의 통일에 대한 의지를 이 곳에서 가다듬었듯이 임휴사도 과거의 불행했던 일을 거울 삼아 불법 홍포의 의지를 다시 한번 드날리기를 염원해 본다.

* 임휴사의 창건배경 및 역사 *

임휴사는 일찍이 신라 말엽인 921년(경명왕 5년)에 중국 당나라에서 불법을 수행하여 크게 선풍을 진작하고 귀국한 영조대사(靈照大師:870-947)가 창건한 이래 서기 1811년(순조 11년)에 무주선사(無住禪師)가 중창하였으며 1930년에 포산화상(苞山和尙)이 3창을 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임휴사(臨休寺)라는 사명(寺名)은 후삼국시대에 백제와 고려의 각축장이 되었던 팔공산 지역에서 고려를 세운 왕건과 후백제의 견훤이 일대 격전을 치른 곳으로 동수대전(棟藪大戰)의 발생에서 찾을 수 있다.

서기 927년 후백제의 견훤이 신라를 침범해 오자 이 소식을 들은 왕건이 신라를 돕고자 경주로 가던 중 동수(동화사 인근지역)에서 견훤을 만나 일대 격전을 벌이게 되었다. 이 싸움에서 왕건은 크게 패하여 생명 조차 위태로운 지경에 이르렀을 때 왕건의 심복인 김락의 호위를 받은 신숭겸이 왕건의 투구와 갑옷으로 위장하고 달아나자 견훤이 이를 진짜 왕건으로 보고 쫓아가 죽이는 바람에 왕건은 무사히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다. 왕건은 그 뒤 자신을 대신하여 전사한 신숭겸과 김락을 위해 지묘사(智妙寺)를 지어 위로하였는데 이 지묘사는 후일 없어지고 말았다. 이 싸움으로 인하여 대구는 왕건에 관련된 지명이 남게되었는데 왕건의 군사가 크게 패하였다는 파군재(破軍齋), 왕건의 탈출을 비추어 주던 새벽달이 빛났다하여 반야월(半夜月), 왕건이 혼자 앉아 쉬었다는 독좌암(獨坐巖) 등을 비롯하여 앞산의 대덕산은 은적사, 안일사와 왕건이 탈출하다가 임시로 군막을 치고 피곤한 몸을 잠시 쉬어 갔다고 하여 임휴사(臨休寺)라는 사명이 만들어 졌다.

버들국수 (농업법인 주식회사 유화 ㈜)

버들국수 (농업법인 주식회사 유화 ㈜)

14.2 Km    0     2024-05-07

경상남도 창녕군 쟁반2길 13

농업법인 주식회사 유화는 송미령 대표자가 버드나무의 옳은 한길을 경영이념으로 사람 몸에 제품으로 이익을 추구하는 것을 설립이념으로 만든 회사이다. 우포늪에 자라는 버드나무의 효능을 일찍 발견하고 버들홍삼조청과 약차(건강차) 개발하여 판매 중이고, 앉은 뱅이 밀로 만든 버들국수를 맛 볼 수 있다.

이방시장

이방시장

14.2 Km    0     2024-06-12

경상남도 창녕군 이방면 옥야길 2-7

1956년부터 이어져온 이방시장은 창녕군 이방면에 위치한 5일장으로 보통 이방장으로 불린다. 평상시에는 주차장으로 사용되다가 장날이면 이방시장으로 변한다. 시장 규모는 크지 않지만, 다양한 채소와 과일, 의류와 먹거리들이 있고 해산물을 판매하는 어물전도 있다. 또, 수구레 원조 국밥집이 있어 수구레 국밥을 먹기 위해 이방시장을 찾는 관광객들도 많다. 가까운 곳에 우포늪이 있어 여행 중 둘러봐도 좋은 시장이다. 특산품으로 마늘, 양파, 단감, 배가 유명하고, 향토 음식으로 수구레 국밥, 한우고기, 메기매운탕, 잉어찜, 붕어찜 등을 즐길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