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4Km 2024-08-23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서면문화로 32
051-714-4457
건강한 외식문화를 지향하는 프리미엄 수제갈비라는 컨셉의 갈비곳간은 최상 품질의 소고기 구이 전문점이다. 모던한 인테리어로 라이트한 회식문화를 원하는 직장인과 가족 또는 연인끼리 외식과 데이트를 하고 싶은 공간이다. 낮에는 가심비 있는 수제덮밥을 한정으로 즐길 수 있고, 저녁에는 웻에이징 안심, 왕양념갈비·왕생갈비 등의 최상의 소고기 구이로 특별한 외식을 선물하는 곳이다. 매장 내부에는 살아있는 생화로 포인트를 줘 매장 내 습도조절, 공기정화, 미세먼지 케어까지 가능하며 단체행사나 모임장소를 위한 홀도 준비되어 있다.
9.4Km 2024-12-20
경상남도 김해시 분성로 221 (외동)
김해 한글박물관은 한글의 역사와 문화를 체험할 수 있는 전시관으로, 한글 창제의 배경과 원리를 다양한 시각 자료와 체험 프로그램을 통해 소개한다. 이곳은 교육적 목적과 한글의 소중함을 알리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학생과 가족 단위 방문객들에게 특히 인기가 많다. 한글과 관련된 유물, 서적, 현대적 활용 사례 등도 전시되어 있어 한글의 발전사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다. 박물관은 전국 최초 공립 한글박물관으로 김해 지역의 문화적 랜드마크로 자리 잡고 있다.
9.4Km 2024-12-13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서면문화로 23-1
051-808-3800
40년 이상 전통의 소고기, 돼지고기 전문점이다. 기본 10가지 정도의 밑반찬과 메인 음식이 준비되어 있는데 밑반찬은 매일 변경된다. 2,3층에는 룸이 준비되어 있어 가족 모임, 단체 모임, 회식 등 다양한 모임을 하기에도 좋다. 한우 꽃등심, 소 생갈비, 생 삼겹살 등의 구이류와 돼지 두루치기, 소고기 낙지 버섯전골 등의 식사류가 준비되어 있다.
9.4Km 2021-03-16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로66번길 8
051-802-6265
25년 이상 영업해 온 매장으로 한방 육수를 사용하여 삼계탕을 만든다. 대표메뉴는 삼계탕이다. 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9.5Km 2024-06-10
경상남도 김해시 가야로405번안길 22-9
송담서원은 임진왜란 당시 김해에서 의병을 일으켜 성을 지키다 전사한 4명의 의병장 김득기, 송빈, 유식, 이대형의 공을 기리는 묘단이다. 조선 선조 25년(1592) 부산에서 동래성을 함락한 왜적이 병력을 이끌고 김해성을 공격해 오자 당시 장군 서례원이 성을 버리고 달아났다. 성이 함락될 위기에 처하니 네 의병장이 각기 의병들을 거느리고 성으로 들어가 적과 죽을힘을 다하여 싸우다 순절했는데, 이것이 임진의병의 시작이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3년 만인 1600년 선조가 이들의 충절을 기리고자 각자 벼슬을 올려주고, 숙종 34년(1708) 지방 사림들의 도움으로 송담사와 송담서원을 세워 위패를 모셨다가 순조 33년(1833) 표충사라 이름하였다. 고종 8년(1871) 단을 설치하여 사충단이라 이름 짓고 비를 세웠으며 매년 음력 4월 20일을 제사를 지내고 있다. 현재 비각 이외에는 모두 새로 지은 건물들로, 비각은 앞면 1칸, 옆면 1칸의 규모로 옆에서 보면, 사람 인(人)자의 선을 그리는 맞배지붕 형태를 띠고 있다.
9.5Km 2023-08-08
조선시대 선조 25년(1592년) 4월에 일어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김해를 지키다 전사한 김득기, 송빈, 유식, 이대형 선생의 공을 기리기 위하여 고종의 명으로 1871년에 건립한 묘단이다.
9.5Km 2025-03-17
경상남도 김해시 가야로405번안길 22-9
조선시대 선조 25년(1592년) 4월에 일어난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김해를 지키다 전사한 김득기, 송빈, 유식, 이대형 선생의 공을 기리기 위하여 고종의 명으로 1871년에 건립한 묘단이다. 처음에는 동상동 873번지에 있었던 것을 김해의 도시계획으로 동상동 161번지 일원에 확장 이전하였으며, 매년 음력 4월 20일 추모제를 지내고 있다. 임진왜란이 끝난 후 1600년(선조 33)에 이들은 모두 가선대부(嘉善大夫) 중에서 김득기와 이대형은 이조참판, 유식과 송빈은 호조참판으로 각각 추증(追贈) 되었다. 이 중 김득기의 묘는 한림면에 있고 이대형의 묘는 상동면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