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뼈다구해장국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최뼈다구해장국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최뼈다구해장국

최뼈다구해장국

11.7 Km    2     2023-01-27

부산광역시 사상구 광장로 22

푸짐한 해장국 맛집으로 소문 난 최뼈다구해장국은 부산 사상구 괘법동에 있다. 내부는 그리 넓지 않지만 음식 나오는 속도가 빨라 테이블 회전도 빠르다. 혼자 가도 괜찮고 여럿이 가도 편안한 식당으로 뼈다귀, 숙주나물, 우거지가 듬뿍 들어간 해장국은 국물에 기름기가 거의 느껴지지 않을 정도로 담백하다. 돼지고기 특유의 냄새가 없어 깔끔하고 깍두기와 배추김치도 맛있어 해장국과 잘 어울린다. 또한 근처에 있는 최뼈다구해장국 2호점은 넓은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어 편하다. 사상역 2번 출구에서 가까워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고 가까운 곳에 삼락생태공원과 사상근린공원 등이 있어 함께 둘러보기 좋다.

부산 진지성

11.7 Km    18684     2023-12-08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 99

임진왜란 이전의 부산전성 지성 터이자 임진왜란 후의 부산진 첨사영터의 성곽은 아주 넓었으나 일제강점기의 전차선로 공사와 매축으로 인해 예전의 모습은 찾아볼 수 없으며, 1974년 7월 8일~1975년 2월 25일까지 시행된 정화복원공사 때 현재의 모습으로 신축하였다. 동문(진동문-鎭東門),서문(금루관-金壘關),장대(진남루-鎭南縷)가 있다. 서문의 왼쪽에 남요인후(南요因喉-이곳은 나라의 목에 해당할 만큼 요충지가 되는 남쪽의 국경이다.)이라 새긴 돌기둥(높이 272cm, 폭 46cm x 94cm)을 세우고, 문의 오른쪽에는 서문쇄약(西門鎖약)-서문은 나라의 자물쇠와 같다)라 새긴 돌기둥(높이 277cm, 폭 62cm x 71cm)을 세웠다. 이 두 우주석은 본래 부산진 첨사영성(釜山眞 僉使營城)의 자리였던 현 성남국민학교 교정에 버려져 있던 것을 1975년 정화공사 때 복원하여 지금의 자리에 옮겨 세운 것이다. 장대(진남루-鎭南樓)의 동쪽에는 충장공 천만리 장군 유적비가 세워져 있다. 그 밖에도 최영장군사당과 최영장군 항제가 있다.

조선통신사 축제

11.7 Km    38487     2024-05-03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 99
051-631-0858

1607년부터 1811년까지 12회에 걸쳐 조선과 일본 사이를 오갔던 조선통신사와 조선통신사의 행렬을 되살려 진행되는 축제로, 당시 조선 통신사의 문화 교류적인 면모를 강조하고, 한국과 일본의 우호를 증진하기 위하여 시작된 축제이다. 10년이 넘게 지속되고 있는 부산의 대표적인 축제이며, 부산문화재단에서 주관하는 축제이다. 주요 프로그램으로는 '조선통신사 행렬', '조선통신사선 뱃길탐방' 등이 있다.

듀코_롯데(백)부산본점_듀퐁

듀코_롯데(백)부산본점_듀퐁

11.7 Km    0     2024-04-23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가야대로 772(부전동)1층

-

부산진성공원

부산진성공원

11.7 Km    24896     2023-12-14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 99

부산 동구 범일동에는 지방기념물인 부산진성이 있다. 흔히 자성대로 부르는 부산진성은 임진왜란 때 왜적이 부산성을 헐고 성의 동남부에 일본식의 성을 쌓아 지휘소로 이용한 곳이다. 왜적이 물러간 뒤에는 명나라의 만세덕군이 진주한 일이 있어 만공대라고도 했었다. 임진왜란 뒤에 다시 수축되어 좌도수군첨절제사의 진영으로 활용되었다. 기록에 의하면 동서의 산을 따라 성벽으로 성곽을 두르고 바닷물을 끌어들여 참호를 20m쯤의 넓이로 만들어 배가 바로 성벽에 닿도록 되어 있었다고 한다. 이 성의 현재 모습은 1974년 7월 8일부터 1975년 2월 25일까지 부산시에서 정화 복원공사를 하여 동문, 서문, 장대를 신축하여 동문을 진동문, 서문을 금루관, 자성대 위의 장대를 진남대라 각각 명명하여 그 편액을 달았다. 이 당시 정화공사로 신축된 건춘문, 금루관, 진남대와 함께 임진왜란 때 왜적이 쌓은 2단의 일본식 성벽이 남아 있다. 그리고 1975년 9월 동문 주변 성곽을 신축하였으며 지금 서문의 금루관은 높다란 다락이 되어 우뚝 서 있고 문의 왼쪽에는 남요인후라 새긴 돌기둥이 서 있으며, 문의 오른쪽에는 서문쇄약이라 새긴 돌기둥이 서 있다.

감만시장

11.8 Km    1     2023-03-02

부산광역시 남구 감만동 171-2

부산 남구 감만동에 위치한 170개 점포로 이루어진 감만동 전통시장. 중형시장이자 상가주택복합형 시장인 이 곳은 평범한 재래시장의 느낌이다. 신선한 농수산물과 의류 등을 판매하며 아침 8시에 개점하여 밤 8시에 폐점한다. 가게마다 쉬는 날이 달라 정확한 정기휴일은 알기 어렵다. 골목 양 옆으로 길게 늘어선 가판대에는 싱싱한 생선과 과일, 채소들이 가득하며, 물건을 구입할 때 담아주는 넉넉한 상인들의 인심은 덤이다.

애플아울렛

애플아울렛

11.8 Km    11947     2023-06-14

부산광역시 사상구 사상로 201
051-559-1500

2003년 오픈한 애플아울렛은 스포츠와 캐주얼, 여성복, 남성복 등 국내의 130여 개의 유명 인기 브랜드를 합리적인 가격에 판매하는 아울렛 매장 형태로 운영하고 있다. 지하철 2호선 사상역에 위치해 있어 유동 인구가 풍부하고 부산 최고 상권인 서면을 연결하는 버스 노선 대부분이 경유, 최고의 입지조건을 자랑하고 있다. 특히 사상터미널을 끼고 있어 부산 시민 외에도 외지인들이 관광 또는 쇼핑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올리브영 부산다대포점

1.2 Km    0     2024-06-11

부산광역시 사하구 다대로 698

-

조선통신사역사관

11.8 Km    20176     2023-08-02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 99

조선에서 일본 막부에 파견한 외교사절을 조선통신사라고 한다. ‘통신(通信)’이란 ‘신의를 나눈다’는 의미이다. 조선통신사를 통한 교류는 신뢰를 기반으로 한 조선과 일본의 평화와 선린우호를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조선통신사역사관은 임진왜란 이후 1607년부터 1811년까지 12차례 일본으로 파견된 통신사에 대하여 누구나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역사교육의 현장이다. 최첨단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전시 콘텐츠, 알찬 프로그램 등으로 역사와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올리브영 부산애플아울렛

올리브영 부산애플아울렛

11.8 Km    0     2024-03-24

부산광역시 사상구 사상로 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