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0Km 2025-03-16
전라남도 목포시 번화로 18
* 구동양척식주식회사목포지점(전라남도 기념물/1999.11.20 지정) * 목포근대역사관 2관은 과거 동양척식주식회사였다. 1920년 6월에 건립되었으며 일제가 토지관리를 빙자하여 수탈을 자행했던 가슴 아픈 역사를 간직한 곳이다. 근대 서양 건축양식으로 지어진 건물로 한국 역사의 자각 의식을 불러일으키는 일제 침략의 실증적 유적이다. 현재는 목포근대역사관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역사에 관한 유익한 전시와 게임 등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다. 국내 최초로 공개하는 일제 침략 사진을 비롯하여 독립을 향한 우리 민족의 치열한 구국 운동의 숨결을 느낄 수 있는 생생한 사진자료들이 전시되고 있다.
5.0Km 2024-12-26
전라남도 목포시 번화로 18 (중앙동2가)
061-270-8321
일제 식민시 수탈의 아픔, 부두 노동운동, 소작쟁의, 의병 항일운동 등 민족 저항의 역사가 살아쉼쉬는 곳, 목포 근대 역사문화공간 일원에서 집적된 문화유산과 함께 100년전 시간여행을 하는 목포 문화유산 야행은 관람객에게 새로운 경험을 선사힌디.
5.0Km 2025-01-21
전라남도 신안군 압해읍
압해대교는 신안 관광의 첫 관문이자 무안반도 내륙과 신안군 압해도를 연결하는 연륙교로 총 길이 3,563m의 다리이다. 2000년 6월 착공하여 2008년 5월 22일 개통되었으며 명절마다 찾는 귀성객의 교통 혼잡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주고 있다. 목포 북항에서 운항하던 여객선이 압해면 송공리 연안항에서 팔금도 고산 선착장과 암태도 오도 선착장 방면으로 운항하게 됨으로써 1시간 10분 이상 단축되었다. 목포에서 일몰 보기 좋은 곳들이 많지만 압해대교는 일몰 명소로 사진 찍기 좋은 장소로 유명하다. 대교 반대편에 유달산이 보이고 불이 켜진 케이블카가 일몰과 멋지게 어우러지는 전경을 감상할 수 있다.
5.0Km 2024-06-03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로 180
오포대는 유달산 입구 이순신 동상 남서쪽에 시민들에게 정오를 알리기 위해 1909년 포대를 설치하였다. 당시의 오포대는 현재 유달산공원의 전망대로 사용되고 있으며, 오포는 주변에 모형으로 복원하여 전시하고 있다. 1913년 신식 대포로 일본 오사카 포병 공장에서 구매하여 대체했고, 그전에 있는 구식 대포는 송도 신사에 보관하던 중 일본 강점기 후기에 오포대의 대포와 함께 일본 정부가 가져갔다고 한다. 당시 오포대 담당 직원이 정오에 맞춰 현재의 이충무공 동상 뒤에 있는 오포대에 올라가서 포탄 없이 포구에 화약과 신문지를 넣고 쏘아 굉음과 함께 목포 상공에 휴지가 흩어지면, 시민들은 ‘오포 텄다. 점심 먹자’라는 신호가 되었다고 한다. 하지만 일제 말기 일본이 전쟁 수행을 위한 공출로 오포를 걷어가 버렸다고 한다.
5.1Km 2025-01-15
전라남도 목포시 만호로 24-4
010-3111-1182
목포에 자리한 선유화길은 오래된 한옥을 현대식으로 개조하여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추구하는 한옥스테이다. 목포여객선터미널과 목포역이 도보 5~10분 거리에 있어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용이하다. 근대역사관, 목포진역사공원, 유달산 등 목포 주요 관광지도 모두 도보로 이용할 수 있어 여행에 편리하다.
5.1Km 2024-05-22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로 165
유달산정문에서 조각공원 쪽으로 약 2㎞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목포시사는 본래 1890년에 하정 여규형 등이 건립한 조선시대 건축물이다. 초기에는 유산정이라 부르며 문인들에게 시문을 가르치고 백일장 등을 주도하던 곳이었다. 이후 1920년에 무정 정만조가 재확장하여 유산사로 개명하고, 1932년에 중수하였으며, 1937년 목포시사를 발족하였다. 목포시사는 40.49m²(12.25평) 크기의 목조 기와로 되어 있다. 측면과 뒷면의 중방은 습기를 방지하기 위하여 벽돌로 쌓았으나, 1979년과 1984년 2회에 걸쳐 벽돌을 제거하고 보수하였다. 시사란 문사들이 서로 시문을 독려하고 자연과 시를 노래했던 풍류의 장소로, 목포시사는 시인들의 단순한 모임을 넘어 망국의 한과 우국충정을 토로하는 유림의 문학 결사 단체였다. 특히 한말의 유학자 정만조는 이곳에 머물며 퇴폐한 유풍을 바로잡고 학풍을 진작시킨 것으로 유명하다. 한시의 명맥을 이어온 우리나라에 하나밖에 없는 시사로 무정문집과 구한말의 전적, 창사이래 개최된 백일장에서의 입선작, 문인들의 원고를 모두 보존하고 있다.
5.1Km 2024-01-18
전라남도 목포시 해안로173번길 28
원조 제일돌곱창은 전라남도 목포시 중동1가에 있는 곱창 전문점으로 1965년부터 외할머니, 어머니, 딸로 3대에 걸쳐 전수되고 있는 맛집이다. 대표 메뉴는 돌곱창전골과 소금구이특모듬, 양념구이특모듬이 있다. 소금구이특모듬에는 곱창, 막창, 대창, 특양이 골고루 들어가 있어 다양한 맛을 즐길 수 있다. 또한, 기름이 많아 굽기 까다로운 곱창과 대창을 대파, 양파, 감자, 버섯과 함께 직접 구워주고 먹기 좋게 잘라줘서 식사에 집중할 수 있다. 염통, 특양, 막창, 곱창, 대창 순으로 먹는 것이 가장 좋으며, 특제 간장 소스에 찍거나 부추, 상추 겉절이에 싸서 먹는다. 간장, 청양고추, 고추냉이, 식초로 구성된 특제 간장 양념은 곱창구이의 느끼함을 잡기에 좋으며 방문객들에게 인기가 좋다. 구이를 주문했다면 1인분도 주문 가능한 곱창전골과 함께 먹으면 궁합이 잘 맞는다.
5.1Km 2021-03-10
전라남도 목포시 유동로 55
061-244-5871
다양한 종류의 아이스크림을 판매하고 있는 카페다. 전라남도 목포시에 있는 카페 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소프트아이스크림이다.
5.1Km 2024-11-14
전라남도 목포시 유달로 203 (죽교동)
목포 유달산 목재문화체험장은 목포의 상징인 유달산에 위치하고 있으며 전라남도에서는 7번째로 개관했다. 목재에 대한 종합적인 지식과 정보, 다양한 체험을 제공하는 시설로 유아, 청소년, 일반인 등 대상별 수준과 능력을 고려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생활에 유용한 목제품 제작을 지원하고 있다. 친환경 소재와 목재 장난감으로 유아 놀이터를 꾸몄으며, 초급 DIY 목공교육과정 및 목공예 기능인 양성 교육을 진행한다. 목재 문화전시실에서는 목재에 대한 정보와 생활 목공예품 전시공간으로 목재에 대한 지식을 배울 수 있으며 유달산에서 버려지는 나무를 말려서 목재체험 재료로 재활용하고 있다. 2021년 조성된 유달산 목재문화체험장은 목공홀, 유아목재놀이터, 갤러리, 목공체험실, 전시실 등 시설을 고루 갖춘 도심 근교형 목재문화체험장으로 접근성이 양호해 남녀노소 누구나 이용할 수 있다.
5.1Km 2021-03-10
전라남도 목포시 해안로165번길 34-1
061-242-8511
현지인이 추천하는 모범음식점이다. 대표메뉴는 쌈밥이다. 전라남도 목포시에 있는 한식 전문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