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성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제주성지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제주성지

제주성지

1.1 Km    21025     2023-12-10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오현길 61

제주성지는 제주목의 치소를 둘러쌓았던 성터로, 오현단 남쪽에 일부가 복원되었고, 곳곳에 잔해가 남아있다. 제주성의 축성 연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탐라국 당시 쌓았던 것을 고려 때 왜구 방어용으로 보수하여 사용했던 것으로 추정되며, 현재는 일부인 남수각 부분이 150여 미터 정도 복원되어 있다. 역사가 깊고 제주도의 중심지역을 지켰던 이곳은 일제강점기인 1925년부터 1928년 사이에 건입동 포구 앞바다를 매립할 때 성곽의 돌을 매립골재로 사용하면서 크게 훼손되었다고 전해진다. 성곽 주위에는 귤과 유자나무가 많이 심어져 있어 가을철 귤이 익을 무렵이면 성 주위는 가을색으로 절정을 이루었다고 한다. 튼튼한 성을 쌓으며 왜침의 [바람]을 잠재우려 했던 선조들의 지혜를 느낄 수 있는 곳으로, 이러한 가치를 인정받아 1971년 8월 26일 제주특별차지도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나인스파빌

나인스파빌

10.8 Km    1940     2023-09-15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하광로 518
064-727-1000

제주국제공항에서 약 9.5키로 시내중심까지 약 6키로 정도 떨어져 있어 접근성이 좋고, 관광지 밀집지역인 서쪽으로 이동하는 평화로에 위치함으로서 차량으로 20~25분 정도 이동하면 주요 인기 관광지에 도달할 수 있다. 나인스파빌은 먼바다가 보이며 지대가 높아 탁트인 시원한 전망과 주변 수목과 돌담으로 어우러져 조용하고, 건물 내/외부가 모던하고 깔끔한 컨셉으로 이루어져 있다.

천왕사(제주)

천왕사(제주)

10.8 Km    24701     2024-05-2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1100로 2528-111 (노형동)

아흔아홉 골의 수려한 풍광 속에 들어앉은 천왕사는 한라산 어승생 동쪽에 수많은 봉우리와 골짜기로 이루어진 아흔아홉 골(구구곡)중 하나인 금봉곡 아래 위치한 사찰이다. 1955년 천왕사 근처 토굴에서 참선수행하던 비룡스님에 의해 수영산 선원이란 명칭으로 처음 창건되었다. 현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3교구로 등록되어 있으며 비록 건립된 지 오래되지 않았으나 1994년 전통 사찰로 지정되었다. 대웅전 바로 뒤로는 용바위라 불리는 커다란 바위가 있고, 마당 왼쪽 자락에 기세 좋게 곧게 뻗은 바위가 울창한 숲과 어우러져 절경을 이룬다. 사찰 옆의 냇물을 따라 올라가면 한라산의 유일한 폭포라는 선녀 폭포가 나오고, 사찰 입구에는 약수터가 있다. 특히 가을에 기암절벽 아래 물드는 단풍이 장관으로 알려져 있다.

제주공룡랜드

제주공룡랜드

10.8 Km    30181     2023-12-1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광령평화2길 1

제주도 문화유산 1주년에 발맞춰 한·중·일 합작으로 공룡을 테마로 한 가족공원인 “제주공룡랜드”를 2007년 8월 14일에 개장하게 되었다. 중국과학원 고척추생물 및 고인류연구소 (IVPP)의 철저한 고증과 일본 DM사의 기술을 바탕으로 현재까지 발견된 공룡 가운데 가장 큰 공룡인 높이 28m의 브라키오사우루스, 육식공룡 티라노사우루스, 사납기로 유명한 벨로시랩터, 3개의 뿔이 달린 초식공룡 트리케라톱스 등 200여 마리의 다양한 작동과 고정 공룡들이 전시되어 있다. 공원 내부에는 공룡들이 알을 낳고 부화하는 과정 등이 첨단 컴퓨터그래픽으로 재현되고 성대 복원으로 공룡의 생생한 소리도 들을 수 있는 공룡동굴생태 체험관과 과거 공룡들이 살던 시대로의 여행을 테마로 한 3D 입체영화관, 기초과학의 발판인 지구 46억 년 전 희귀 화석, 신생대, 중생대, 고생대의 진품화석광물, 운석, 공룡 골격화석들이 자연사 박물관에 일목 요연하게 전시되어 있다.

보덕사(제주)

보덕사(제주)

1.1 Km    21647     2023-12-10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독짓골8길 26

보덕사는 대한불교조계종 제23교구 본사 관음사의 말사로, 1943년 초가에 18평의 법당을 지음으로써 창건되었다. 보덕사 대웅전에는 창건 당시 안봉려관이 해남 대흥사에서 모셔온 17세기의 목조여래좌상이 안치되어 있다. 이 불상은 문화재 자료로 가치를 인정받아 제주특별자치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고 전체 높이가 66cm로 큰 규모에 속한다. 근대 제주불교 중흥기에 선봉 스님이 각 사찰마다 모시고 다니면서 그곳 불사에 힘을 실어주었다는 일화로 유명하다. 보덕사 경내에는 1992년에 석조 지장보살상을 봉안하였는데, 이로써 지장도량으로 거듭나며 중생제도에 앞장서고 있다. 제주 불교 중흥의 맥을 면면히 이어오고 있는 보덕사는 현재에도 소원성취를 기원하는 많은 불자들의 귀의처로 끊임없는 발길이 이어지고 있다.

더스테이센추리호텔

더스테이센추리호텔

10.8 Km    2     2024-01-2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애월읍 일주서로 7113

더스테이센츄리호텔은 제주공항 인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5층 건물의 바다 조망이 있는 호텔이다. 공항에서 애월로 가는 길 중간인 하귀항 앞에 있으며 가성비가 좋은 숙소이다. 주차장은 건물 바로 앞 지상에도 있고 실내 주차장도 있다. 건물 1층에는 치킨 바, 제주 흑돼지 식당이 있다. 로비에는 편의점과 카페, 회의실이 있다. 그 외에도 무료 와이파이, 24시간 리셉션 서비스를 제공한다. 호텔 앞 바다 쪽으로 유명한 카페와 식당이 있으며 동귀항 방파제가 있다. 에머랄드 빛의 바다가 아름다운 애월 해변이 인근에 있고 애월은 바다 조망이 가능한 유명한 카페가 많은 곳이다.

에이바우트커피뷰 하귀포구점

에이바우트커피뷰 하귀포구점

10.9 Km    3     2022-10-0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하귀12길 21-2

에이바우트커피뷰는 하귀 항포 포구에 있다. 포구를 조망하는 오션뷰 카페로 실내 공간뿐 아니라 옥상에 올라가면 시원한 바다 풍경을 볼 수 있다. 대부분의 좌석에 콘센트가 있고 핸드폰 충전을 할 수 있도록 하여 휴가 중 업무가 필요한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다. 넓은 공간과 다양한 좌석, 가성비 카페로 유명하며, 아침 7시 30분부터 오픈하여 간단한 아침 식사를 할 수 있다. 주변 여행지로 알작지해변, 항파두리항몽유적지 등이 있다.

[제주올레 19코스] 조천-김녕 올레

10.9 Km    3409     2023-09-26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조천리 1209-1

바다와 오름, 곶자왈, 마을, 밭 등 제주의 가장 아름다운 모습들을 지루할 틈 없이 펼쳐 보여준다. 밭에서 물빛 고운 바다로, 바다에서 솔향 가득한 숲으로, 숲에서 정겨운 마을로 이어지는 길에는 제주의 진면목이 담겨 있다. 또한 제주 항일운동의 현장인 조천만세동산과 4.3 당시 큰 피해를 입은 북촌리의 너븐숭이 4.3기념관에서 제주 근현대사의 아픈 역사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 사단법인 제주올레>

먼나머루휴양펜션(제주편백한옥펜션 먼나머루)

10.9 Km    1     2020-03-3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남조로 2528
010-9300-3363

제주 편백나무 한옥 펜션 먼나머루는 펜션, 찜질방, 카페를 함께 운영하고 있으며, 편백나무에서 직접 추출한 원액으로 개발한 천연 세안제품을 특허를 받아 판매하고 있다.

제주항일기념관

제주항일기념관

10.9 Km    38426     2023-07-0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조천읍 신북로 303

일제는 1910년 한국을 국권침탈하여 식민통치를 하고 무단정치를 실시하여 언론, 출판, 결사를 비롯한 모든 자유를 박탈하자 우리의 선조들은 이에 항거하여 항일투쟁을 해오다 1919년 3월 1일 유관순 열사의 대한독립만세운동으로 한반도 전역에서 체계적이고 조직적인 항일 만세운동이 펼쳐져 조국 광복의 밑거름이 되었기에 우리나라의 3월은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기미년 3.1 독립만세운동은 제주지역까지 이어져 1919년 3월 21일부터 3월 24일까지 제주도 제주시 조천읍 소재 미밋동산(지금은 만세동산이라 부름)에서 거행되었다. 이러한 선열들의 뜻을 기리고 계승하기 위하여 1993년부터 의거지인 이곳에서 기미 독립운동만세 대행진 행사가 매년 열리고 있는 가운데 지난 1991년 재일동포 김봉각씨의 5억원 기탁으로 3.1독립운동기념탑이 건립된 계기로 조천만세동산 성역화 사업이 추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