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남 윤두서고택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해남 윤두서고택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해남 윤두서고택

해남 윤두서고택

14.4 Km    4     2023-01-25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백포길 122

해남윤두서고택은 조선후기의 화가이자 문인인 공재 윤두서의 고택이다. 고산 윤선도가 큰아들을 분가시키고 살기 위해 풍수지리를 고려하여 이 가옥을 지었으나 바닷바람이 심하여 다른 곳으로 거처를 옮기고, 후에 증손인 윤두서가 이곳에서 살게 되었다고 전해진다. 윤두서는 현재 심사정, 겸재 정선과 함께 조선의 3재로 일컬어지는 선비 화가이다.윤두서고택은 조선 후기의 건축기법을 알 수 있는 유서깊은 전통주택이다. 이 고택이 언제 지어졌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현종 11년(1670)에 지어졌고, 순조 11년(1811)에 중수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처음 건립했을 당시엔 문간채와 사랑채 등 48칸의 규모였으나 지금은 문간채와 사랑채는 없어지고, 안채와 곳간채, 헛간, 사당 등이 남아있다.

완도문화예술의전당

14.5 Km    17968     2024-06-13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개포로159번길 55

완도문화예술의전당은 행사 및 다양한 장르의 공연(뮤지컬, 연극, 연주회 등)을 진행 할 수 있는 공연장(498석), 소규모 행사 및 공연이 가능한 다목적실(130석)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종 문화창작 및 취미활동 공간인 문화사랑방 1개소, 평생학습실 1개소, 장난감도서관에서는 회원에 한해 유아동 장난감을 대여해 주며, 군민광장이 마련되어 있다. 지역 군민들을 위한 공연, 전시 등 문화행사가 열리는 공간으로 활용되며 빙그레 시네마가 있어 최신 상영작을 관람할 수 있다. 문화사랑방과 평생학습실의 경우는 대관형태로 운영되고 있으므로 이용 시 참조하면 된다.

완도문화원

완도문화원

14.6 Km    17332     2023-12-13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개포로159번길 44

완도문화원은 1984년 설립된 곳으로, 바다를 경양하며 살아왔던 향토역사와 새로운 정신문화를 창출하여 21세기 신해양시대를 이끌 수 있도록 모든 동력을 결집하여 노력하는 곳이다. 문화 시대에 군민 누구나 문화를 누리고 즐기며, 문화를 통해 풍요로운 삶을 누리도록 노력하고 있다. 완도문화원의 문화학교 강좌로는 영어회화, 홈 패션, 고고 장구, 미니색소폰, 다육이 키우기 등이 있다. 이 밖에도 완도문화원은 많은 축제와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전남민속예술축제, 해맞이 축제, 고금월송축제, 장보고 축제, 모닥모닥 섬섬 문화가 있는 날 등을 진행하고 있다.

완도 청해진 유적

14.7 Km    35789     2023-10-31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청해진로 1380-138

청해진은 신라 흥덕왕 3년(828) 장보고가 설치한 해군기지이자 무역기지로, 전라남도 완도 앞바다의 작은 섬인 장도에 있다. 장좌리 마을에서 장도까지의 거리는 약 180m쯤 되고 하루 두 차례씩 썰물 때는 바닥이 드러나 걸어갈 수 있었다. 간조시에만 장도 청해진 유적지까지 걸어서 들어갈 수 있었으나, 2009년 장도목교를 설치한 후로는 탐방객들이 목교를 건너 청해진유적지로 자유롭게 도보 출입이 가능하게 되었다. 청해진은 통일신라시대 때 신라와 당, 일본을 잇는 해상무역의 중요한 길목이었다. 청해진이 있었던 장도는 섬 전체에 계단식 성의 흔적이 남아있다. 유적지 내에는 1만 명의 식수정으로 사용하였다는 청해정이 있어 지금도 맑은 물이 솟으며, 토성의 일부와 기와 파편 등도 출토되었다. 앞바다를 제외한 주변 바다는 수심이 얕아 방어용 목책을 박아 외부 접근을 막도록 만들었다. 현대에 들어 장도는 완도 주민이 농사를 짓던 곳인데, 1959년 태풍 사라 때 갯벌이 깎여 목책이 드러나면서 청해진에 대한 본격적인 발굴과 연구가 시작되었다.

4est 수목원

14.8 Km    4     2023-03-29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봉동길 232-118

두륜산 아래 황산리 봉동 골짜기에 자리한 4est 수목원은 국내 최대 수국 정원으로 6만 평의 숲에 1600여 종의 식물이 식재되어 있다. 4est 수목원은 숲이라는 뜻의 forest에 별(Star), 기암괴석(Stone), 이야기(Story), 배울 거리(Study)라는 4개의 St를 즐길 수 있는 수목원이라는 뜻을 담고 있다. 알록달록 수국과 피톤치드 가득한 숲이 어우러져 동화나라처럼 환상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며, 초록으로 눈부신 숲길을 걷고 1600여 종의 식물들이 자라는 수목원을 돌아보면 더위와 일상에 지친 몸과 마음이 맑아진다. 수목원 곳곳에 숨은 조형물들을 찾아보는 재미도 있으며, 곳곳에 마련된 포토존은 인생 샷을 남기기에 좋다.

구수골 봉동계곡

14.8 Km    2     2023-12-29

전라남도 해남군 현산면 황산리

두륜산 자락에 있는 현산면 봉동계곡은 지역민들에게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유원지이며 해남군 구수골에 있는 계곡으로 여름 물놀이 명소로 알려진 곳이다. 이곳은 계곡물을 막아 만든 사방댐을 물놀이 공간으로 활용하고 정자와 평상 등 다양한 쉼터를 제공해 주고 있다. 입장료는 무료이지만 주차비가 있으며 이곳의 시설을 이용할 때 이용료를 부담해야 한다. 하지만 신나는 물놀이 후 편안하게 쉬거나 식사하기 위해서는 부담되지 않는 가격이며 시설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는 주차비 3,000원만 내면 된다. 매년 여름방학 시즌인 7월과 8월에만 한시적으로 운영되며 [바다가 내려다보이는 산 자락길] 코스에 속해 있어서 트레킹을 하거나 등산하다 흐르는 물에 발을 담그며 쉬었다가 가기도 한다. 물놀이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다리에 있는 매표소를 지나 주차하여야 하며 나무 그늘이 있는 쉼터 시설을 선착순으로 이용할 수 있다. 주차장 뒤쪽으로는 탈의실과 화장실, 샤워실, 개수대 등이 갖추어져 있으며 청년회에서 운영하는 곳이라 깨끗하게 관리되고 있다. 계곡의 물줄기를 따라 울창한 산림욕장이 있어 어른들과 아이들 모두 시원한 여름을 나기 좋은 곳이다.

코너레지던스호텔[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코너레지던스호텔[한국관광 품질인증/Korea Quality]

15.0 Km    2     2023-06-01

전라남도 완도군 개포로 179
061-555-0179

전남 완도군에 위치한 코너네지던스호텔은 완도공용버스터미널이 도보 8분, 완도항이 차로 5분 거리에 있어 교통이 편리하다. 객실은 스탠다드, 디럭스, 스위트, 로얄 및 단층과 복층 등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된다. 객실마다 인덕션과 전자레인지가 있어 간단한 요리가 가능하고, 세탁기와 공기청정기 등을 갖춰 편의성을 높였다. 호텔 1층 코너179 카페&디저트가 자리힌다.

어가일식

어가일식

15.0 Km    64765     2023-12-28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해변공원로113번길 6
061-555-0305

완도무역항에 자리잡은 정통일식집 어가는 해안도로를 따라 완도군 수협 가는 길목 청해석유 뒤쪽에 위치하고 있다. 풀코스로 음식이 나오는 어가정식이 대표메뉴이다. 그 외에도 참치, 생선초밥, 생선탕, 생선조림의 다양한 메뉴를 맛볼 수 있다.

완도장 (5, 10일)

완도장 (5, 10일)

15.0 Km    15022     2023-12-14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개포로 34-1
061-550-6173

예로부터 수산업이 발달되어 왔으며 지금은 잡는 어업에서 기르는 어업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특히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곳곳마다 관광 자원과 풍부한 어족 자원이 널려있다. 특히 청정해역에서 생산되는 돔, 광어, 전복, 농어 등의 싱싱함은 전국의 제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김, 미역, 다시마는 성인병 예방과 여성들의 피부 미용에 좋다. 완도장은 매월 5일을 기준으로 5일 단위로 열리며 전통적인 재래시장이다. 풍성한 먹을거리, 갓 집에서 수확한 각종 채소와 싱싱한 해산물이 주류를 이룬다.

대복횟집

대복횟집

15.0 Km    23588     2023-07-26

전라남도 완도군 완도읍 해변공원로 109-1
061-554-3341

수협공판장을 통해 신선한 해산물을 구매하여 손님들에게 제공한다. 활어와 복어, 아구 등으로 각종 회와 탕, 찜을 제공하는 대복횟집은 TV 방영 맛집으로도 유명하며 회를 맛보기 전에 나오는 스끼다시의 종류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