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지항로표지관리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산지항로표지관리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산지항로표지관리소

산지항로표지관리소

15.1Km    2025-04-18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사라봉동길 108-1 (건입동)

제주항을 바라보는 사라봉 정상에는 해양수산부 제주해양수산관리단 산지항로표지관리사무소에서 무인으로 운영하는 산지 등대가 있다. 산지 등대는 제주항 및 부근 해역을 항해하는 선박의 안전 운항을 위하여 1916년 10월 무인 등대를 설치하여 84년간 운영하였으나, 노후되어 1999년 12월 폐지하고, 역사적 가치를 인정받아 원형 형태로 영구 보존하게 된 등대이다. 1917년 유인등대로 변경하여 운영하다가, 1999년 12월 등대 옆에 모양이 비슷한 등대를 새로 세워 무인으로 운영하고 있다. 산지항로표지관리소로 올라가는 담벼락에는 우도등대, 마라도등대, 영도등대 등 우리나라의 아름다운 등대 16경에 대한 전경과 설명문이 비치되어 있어 등대의 역사를 알 수 있도록 운영되고 있다.

동우네

15.1Km    2024-12-1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연수로3길 23
064-755-7482

대부분의 식자재를 제주산으로 구입하고 가격이 저렴해 ​​​​​​​주변 학생들도 많이 이용하는 곳이다. 즉석 김밥 전문점으로, 다양한 종류의 김밥이 준비되어 있다.

정의현성

정의현성

15.1Km    2024-10-16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정의현로 104

서귀포시 표선면에 있는 조선 시대의 성곽이다. 본래 이 성은 지금의 성산읍 고성리에 있었지만, 우도와 가까워서 새벽과 밤에 북과 나발 소리가 들리고 여러 번 태풍으로 흉년이 들었을 뿐만 아니라 왜적이 침범했기 때문에 세종 5년(1423) 9월에 안무사 정간이 진사리로 이전하여 축성했다. 당시 성의 둘레는 2,520척, 높이 13척이었다. 동, 서, 남에 각각 문이 있었으며, 문 위에는 초루가 있었다. 정의현성 안에는 110호에 달하는 가옥이 있고 성 밖으로도 많은 가옥이 있었으며 관아 문밖에 12개의 돌하르방을 세워 성안으로 출입하는 사람들을 감시하고 성을 지키는 수문장 역할을 했다. 1986년부터 정의현의 읍성 복원과 보수를 시작했다. 복원 과정에서 정의현감이 업무를 보던 일관헌은 1975년 옛 건물을 헐어내고 새롭게 증축해 제주도 유형문화재 제7호로 지정되었다. 또한 성읍민속마을 주변에 왜구의 침입으로부터 현청 등을 보호하는 성도 복원되었다.

하노이안브라더스

15.2Km    2024-01-0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천수동로 1 (건입동)

하노이안브라더스는 한국인의 입맛에 맞는 베트남 현지식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베트남 현지에서 공수한 인테리어 소품들로 마치 베트남의 온 듯한 분위기가 눈을 사로잡으며 반세오, 분짜, 쌀국수 등 현지 맛 그대로를 느끼게 해주는 식당이다.

별방진

별방진

15.2Km    2025-03-20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3354

별방성은 1973년 4월 13일에 제주도 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되고 있다. 별방성에 대해 '신증동국여지승람' 제주목 관방조에는 ‘별방성은 돌로 쌓았는데 둘레가 2,390자이고 높이는 7자이다. 중종 5년(1510)에 장림 목사가 이 땅이 우도(牛島)로 왜선이 가까이 댈 수 있는 곳이라 하여 성을 쌓고 김녕방호소를 이곳으로 옮기어 별방(別防)이라 이름하였다.’라고 하였고, 김상헌의 '남사록'에는 ‘별방성은 동·서·남에 세문이 있고 성 안에는 우물이 있으나 맛이 짜다. 지명은 옛날에 하도의탄리라 하였다.’라고 하였으며 ‘탐라지'에는 ‘북성에 대변청이 있고 중앙에는 객사(客舍), 별창(別倉), 군기고(軍器庫)가 있다.’라고 하였다. 박천형의 서계(書啓) 내용에는 ‘동쪽과 북쪽이 바다에 임하였고 성 안은 화북이나 조천에 비해 조금 넓으며 동·서·남에 세문과 성안에 두 우물이 있으나 포구의 공간이 몹시 좁고 뾰족 나온 돌모서리가 창 같이 날카로워 배를 정박할 수가 없다. 횃불을 비치해 경보하는 것이 좋을 듯하며 성을 설치하여 방어하는 데에는 적합한 곳이 아닌 듯하다.’라고 하였다. 헌종 14년(1848)에 장인식 목사가 이를 중수하였다. ◎ 한류의 매력을 만나는 여행 정보 - <부라보콘CF> 조선시대의 성곽에 ‘부’씨로 구성된 밴드와 함께 부승관이 올랐다. 제주를 개국했다는 고 씨, 양 씨, 부 씨 세 성씨 중 하나인 부 씨이다. 별방진이 위치한 제주도 구좌읍 하도리는 부 씨의 집성촌이다. 승관의 고향 제주에서도 의미 있는 지역이다. 별방진은 유채꽃 명소로, 이른 봄 노란 유채꽃과 어우러지는 검은 돌의 성곽이 매력적이다.

고서방 짬뽕

15.2Km    2024-01-2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인다5길 (11-5)

고서방 짬뽕은 제주 현지의 신선한 해산물을 재료로 한 짬뽕을 판매하는 중식당이다. 해산물이 가득 담긴 다양한 종류의 짬뽕을 기호에 따라 선택하여 맛볼 수 있다.

윤스타피자앤파스타

윤스타피자앤파스타

15.3Km    2024-02-23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문주란로1길 74-20

윤스타피자앤파스타는 제주도에서 개그맨 윤석주씨가 직접 운영하는 화덕피자집이다. 300도의 뜨거운 화덕 안에서 2~3분 만에 빠르게 굽기 때문에 겉은 바삭하고 속은 쫄깃한 식감이다. 100% 자연산 치즈와 올리브오일, 신선한 채소 등 엄선된 재료만을 사용한다. 윤스타사랑해요는 싱싱한 토마토와 루꼴라, 그리고 윤스타만의 달콤한 소스가 곁들여진 이곳의 시그니처 메뉴이다. 또 제주 고사리로 만든 고사리오일파스타도 인기가 많은 메뉴 중 하나이다.

허디거디 이도점

15.3Km    2024-01-0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신설로11길 2-8

허디거디는 제주공항 근처에 위치한 파스타 맛집으로 유명하다. 매장 내부는 블랙과 화이트 인테리어로 모던하고 깔끔한 분위기이며 매장 내부가 넓어 쾌적하다. 매장에는 반려동물 동반이 가능하다. 파스타, 스테이크, 필라프, 피자 등 맛있는 이탈리아 요리를 부담 없는 가격에 맛볼 수 있는 가성비 맛집이다. 대표 메뉴는 해산물이 듬뿍 들어간 크림파스타와 특제 소스가 매력적인 목살 스테이크가 있다. 세트 메뉴로 다양한 메뉴를 가성비 있게 즐길 수 있어 좋다.

초가헌

초가헌

15.3Km    2024-04-17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중산간동로 4628

초가헌은 성읍민속마을에 위치한 소담한 초가집 컨셉의 카페이다. 제주 전통가옥을 카페로 개조했으며, 검은 돌담과 빈티지한 소품, 나무 질감이 잘 어우러진 인테리어로 되어 있고, 카페의 큰 창문으로는 햇살이 따뜻하게 들어온다. 기름떡은 제주도에서 명절날 또는 특별한 날에만 먹을 수 있는 찹쌀로 만든 고소하고 달달한 제주 전통 떡이다. 직접 만든 100% 찹쌀 반죽을 기름에 튀기듯이 구워 달콤한 설탕을 솔솔 뿌려서 먹는다.

어브라운브리즈

어브라운브리즈

15.3Km    2024-12-1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박성내동길 49-1

어브라운브리즈는 제주 탐라중학교 근처에 있다. 제주시민들 사이에서 베라체 카페로 통하며 크림색과 우드톤이 어우러진 깔끔한 분위기의 도민 맛집이다. 크림 커피와 매장에서 직접 구운 치즈케이크, 르뱅쿠키 등이 유명한 디저트 카페로 인기 메뉴는 얼그레이 바스크 치즈케이크이며 직접 만드는 초콜릿 소스를 쓴다. 두툼한 클래식 프렌치토스트는 브런치로 먹기 좋으며 홀케이크와 쿠키 단체 주문도 받고 있다. 주변 여행지로 제주민속자연사박물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