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빅볼랜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제주빅볼랜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제주빅볼랜드

제주빅볼랜드

11.3 Km    3783     2023-08-02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송당리

빅볼이란 3.2m의 커다란 원형 플라스틱 공안에 1.8m의 또 다른 공이 들어 있어 그 안으로 사람이 들어가 언덕이나 비탈길을 구르며 내려오는 신종 레포츠이다. 1996년 뉴질랜드에서 개발된 뒤 오스트레일리아, 영국, 독일, 한국 등으로 확산되어 현재 세계 20여 개국에 보급되어 있다. 특별한 강습 없이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레포츠이다.

우도해녀식당

우도해녀식당

11.3 Km    5     2021-03-1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우도해안길 440
010-9090-3509

우도해녀가 잡은 싱싱한 해산물을 이용해 요리하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보말칼국수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복자씨연탄구이

복자씨연탄구이

11.3 Km    0     2023-10-16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해맞이해안로 2764

복자씨 연탄구이는 탁 트인 제주 바다를 감상하며 제주 근고기를 맛볼 수 있는 식당이다. 대표 메뉴인 흑돼지 근고기는 목살과 오겹살을 섞어 600g 기준으로 제공되며 직원들이 연탄불에 직접 구워주니 어떻게 구우면 맛있을지 고민할 필요가 없다. 육즙 가득 쫀득쫀득 탱탱하게 구워진 고기를 다 먹을 즈음 입가심으로 먹을 수 있는 김치찌개에도 돼지고기가 듬뿍 들어간다. 새콤하고 시원한 열무김치 국수는 입안의 기름기를 산뜻하게 씻어준다. 2층의 고객 전용 무료카페에서는 식사 후 커피 한잔 마시기에도 좋고 웨이팅이 있을 때 편하게 앉아서 기다리기에도 좋은 공간이다.

우도(해양도립공원)

우도(해양도립공원)

11.4 Km    71692     2023-08-24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삼양고수물길 1

제주도 동쪽 끝, 성산포에서 북동쪽으로 약 3.8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 섬 속의 섬 우도는 그 모습이 마치 소가 누워 있거나 머리를 내민 모양과 같다고 해서 ‘우도’라는 이름이 붙었다. 구좌읍 종달리 바닷가에서 볼 때, 소머리부터 꼬리까지 길게 이어져 있는 섬의 독특한 형상이 한눈에 우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섬의 길이는 3.8km에 둘레는 17km이며, 면적은 605ha 정도이다. 우도에 사람이 살기 시작한 것은 약 150년 전인 조선 숙종 23년(1679)에 국유 목장이 설치된 뒤부터였다. 당시 국마(國馬)를 관리하고 사육하기 위해 육지 사람들의 왕래가 시작되었고, 이후 헌종 10년(1844)에 김석린 진사 일행이 입도(入島) 하여 정착했다. 수려한 자연경관과 청정해역을 보전하고, 해양관광을 활성화하기 위해 2001년 1월 1일 섬 내 2개 항구(우도항 및 하우목동항)주변과 우도 해상 일대 25,863㎢를 우도해양 군립 공원으로 지정하였다. 더군다나 일출봉 근처의 성산포항에서 뱃길로 약 15분밖에 걸리지 않을 만큼 가깝고 배에 차도 싣고 갈 수가 있어서 교통이 매우 편리하다. 그러므로 제주를 찾는 관광객이라면 꼭 한번 들러볼 만한 관광명소이다. 우도 주민들은 어업과 농업에 종사하며 살고 있다. 완만한 경사의 옥토, 풍부한 어장, 우도팔경 등 천혜의 자연조건을 갖춘 관광지이다. 게다가 제주 해녀와 돌담길, 돌무덤 등 제주도만의 독특한 전통문화와 자연환경을 체험할 수 있어, 마치 제주도를 축소시켜 놓은 듯한 인상을 풍긴다. 특히, 자연 절경 외에도 바다낚시, 자전거 하이킹, 버스 관광, 잠수함과 유람선을 통한 바다 관광 등 즐길 거리가 많아서 여행에 재미를 더해준다.

자연식당

자연식당

11.5 Km    1     2021-03-11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우도해안길 602
064-784-9911

살아있는 해산물과 방부제가 없는 면을 사용하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문어라면이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답다니탑망대

11.5 Km    0     2023-12-19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우도면 우도해안길 602

우도 해안 도로를 따라 돌다 보면 유난히 돌탑을 많이 만나게 된다. 특히, 바위 크기로 쌓아 올린 탑 모양이 무척 이색적인데, 이런 돌탑 중에서도 망루처럼 쌓아 올린 답다니탑망대라고 불리는 곳이 있다. 제주 4.3 사건 당시 제주도 본섬과 바다의 상황들을 알아보고자 쌓아 올린 초소의 역할을 했다. 그 이전에는 1895년까지 불을 지펴 소식을 전하는 봉수대로 썼다고 한다. 답다니탑망대 옆에는 득생곶등대라는 망루 등대가 있는데, 우도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먼바다와 해변을 배경으로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쉼터가 되어주고 있다.

오조해녀의집

오조해녀의집

11.5 Km    20393     2023-05-26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한도로 141-13
064-784-0893

성산 일출봉에서 제주 방향으로 방조제를 건너면 등대를 닮은 하얀 건물이 보이는데 이곳이 오조리 어촌계에서 직영하는 해녀식당 오조리 해녀의 집이다. 이곳 메뉴는 전복, 소라, 해삼 등의 해산물 이름만이 적혀있다. 싱싱한 재료의 맛을 온전히 맛볼 수 있는 회나 구이가 주가 되고 그 중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역시 전복죽이다.

오조마을

11.5 Km    19651     2023-12-04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오조로 85

오조마을은 성산일출봉에 해가 뜨면 가장 먼저 빛을 받는다는 뜻에서 지명을 유래했다. 사시사철 해상 유람선 관광과 낚시가 가능하고, 1996년도 해양수산부에서 지원한 어촌종합개발사업으로 민박 시설과 식당들을 갖췄다. 가족 단위 관광지로 적합하며, 해녀들이 직접 잡은 싱싱한 수산물을 맛볼 수 있다. 어둠이 걷히면서 초록빛 들판과 알록달록한 원색 지붕, 낮은 돌담이 모습을 드러내어 정겨운 풍경 속에서 조용히 산책하기 좋다. 264,464m²(8만 평)의 축제식 오조양어장에서는 뱀장어, 숭어, 우럭, 넙치 등이 자연 서식하고, 양어장 북쪽에는 푸른 대나무와 울창한 소나무가 있는 식산봉이 자리 잡고 있다. 바다를 가로지며 걸을 수 있는 올레2코스 산책로를 따라 제주의 아름다운 자연 풍경을 한눈에 담을 수 있고, 중간에 식산봉으로 빠져 오름을 오르면 우도까지 조망할 수 있다.

백약이오름

백약이오름

11.5 Km    2     2024-04-24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표선면 성읍리 산1

백약이오름은 서귀포시 표선면에 위치한 오름으로, 예로부터 약초가 많이 자생하고 있다고 하여 백약이(百藥岳) 오름이라 불리고 있다. 둥글넓적한 분화구(굼부리) 형태를 띠고 있으며, 안에는 층층이꽃, 향유, 쑥, 방아풀, 꿀풀, 쇠무릎 등 약초가 자생하고 있다. 성읍목장 안을 지나 길을 따라 들어오면 목부들의 쉼터인 독립 가옥에 이르게 되는데, 그 집 너머의 오름이 백약이오름이다. 안쪽에 위치한 방목 소들의 음수대 옆으로 30분 정도 오르면 산정부에 도달할 수 있으며, 원형 경기장을 연상케 하는 움푹 파인 굼부리가 눈앞에 나타난다. 정상에서는 트랙모양의 산정부를 따라 주변의 다양한 오름들을 조망할 수 있는데 동쪽에 좌보미와 그 앞에 암설류의 언덕들, 동북쪽으로 동거미오름 그 옆으로 이어진 문석이오름, 그 뒤편에서 위용을 자랑하는 높은 오름, 북쪽으로 넓게 패인 굼부리인 아부오름, 서쪽에 민오름, 비치미, 남서쪽에 개오름, 남쪽에 멀리 보이는 영주산 등을 감상할 수 있다.

카페공드리

카페공드리

11.5 Km    2     2024-03-05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수시로10번길 3

카페공드리는 성산읍 수산초등학교 근처 책방무사와 나란히 있다. 수익의 일부를 나눔 실천하는 ‘놀라운 가게 245호’로 ‘공들인 기부’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제주 농민들의 농작물을 활용한 메뉴를 제공하며 대표적으로 구좌 당근을 100% 착즙 한 당근주스, 당근케이크와 청귤차, 한라봉에이드 등이 있다. 오래된 건물의 뻥 뚫린 구멍을 통해서는 돌담과 귤나무, 평화로운 시골 풍경을 볼 수 있다. 카페공드리는 베트남 어린이 교육사업인 ‘굿모닝베트남’ 사업을 꾸준히 후원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