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벤트마켓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코벤트마켓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코벤트마켓

코벤트마켓

11.4 Km    3     2023-02-06

광주광역시 서구 마륵로 67

코벤트마켓은 신선함과 자연주의를 바탕으로 낮에는 시골풍의 따뜻한 브런치를, 밤에는 사계절이 담긴 음식을 제공하는 Natural Bistro이다. 농장과 바다에서 공수해 온 신선한 재료들은 정교하게 디자인되어 플레이팅 되며, 많은 테이스팅을 거쳐 완성된 커피와 음료는 음식의 풍미를 한껏 더 한다. 이 집의 시그니처 메뉴 중 코벤트 가든 샐러드를 찾는 손님들이 특히 많다. 신선한 재료를 사용하는 만큼 고객들에게 좋은 평을 받고 있다. 반려동물 동반도 가능하다. ※ 반려동물 동반 가능 (단, 개목줄 착용, 배설물 처리를 위한 비닐봉지 등을 구비한 이용객에 한하여 허용)

나주목사고을시장

11.4 Km    4390     2024-06-12

전라남도 나주시 청동길 14
061-334-8249

나주 지역은 영산강을 품고 있는 평야 지대로 농산물은 물론이고, 수산물이 풍부해 시장이 형성되기에 적합한 곳이었다. 영산강의 풍부한 수량을 관개용수로 삼아 영산강 유역의 땅을 기름지게 했고, 이렇게 생산된 농산물을 바탕으로 영산강의 물길을 이용해 활발하게 상업 활동을 펼칠 수 있었다. 이런 배경에서 나주는 인접한 무안과 함께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시장이 개설되었다. 풍부한 물산과 지리적 이점으로 18세기에 15개의 시장이 있었지만 19세기에는 잦은 농민운동과 자연재해로 인해 7개로 줄어들었다. 일제강점기에 들어서 부상한 시장은 영산강의 수로 교통과 호남선의 이점을 살린 영산포장이었다. 이후 영산강 상류의 댐 건설로 수로 교통의 이점을 잃었고, 행정구역 개편으로 인해 나주읍이 상권의 중심지가 되면서 장세가 약화되었다. 나주 시내에는 나주 읍내장의 명맥을 이은 성북시장과 옛 장터에 개설된 상설시장 금계매일시장이 있었는데, 도시의 복원 계획에 따라 두 시장이 통합되어 2012년에 나주목사고을시장으로 변모했다. 나주목사고을시장은 2013년에 문화관광형 시장으로 선정되었고 토요문화장터, 토요야시장 등을 통해 성공적인 전통시장으로 인정받고 있다.

초밥이다

초밥이다

11.4 Km    1     2023-01-20

광주광역시 서구 상무화원로 36
062-449-1392

신선한 재료만 취급하며 주문과 동시에 조리하여 재료 본연의 맛을 즐길 수 있다. 위생과 청결을 항시 신경쓰고 있는 깨끗한 초밥전문점이다.

송정마을카페 이공

송정마을카페 이공

11.4 Km    2     2022-04-07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도로 257-1

이공은 '이로운 공간'의 줄임말이다. 지구와 나에게 이로운 공간을 만들겠다는 의미다. 그 이름답게 광주 최초로 텀블러 대여 시스템을 도입한 이곳은 친환경 카페이자 제로웨이스트숍, 그리고 비건 식당을 겸한다. 매장 내에서는 다회용 컵과 스테인리스 및 유리 빨대를 사용하고, 포장 시에는 도서관에서 책을 빌리듯 텀블러를 대여해준다. 페트병 뚜껑, 신발 끈, 유리병, 우유 팩 회수 등 적극적인 환경운동도 펼친다. 이곳에 모인 페트병 뚜껑은 치약 튜브로, 작은 실리콘 제품들은 스테인리스 도시락의 밴드로 재사용 하는 등 버려지는 쓰레기를 줄이는 데 동참하고 있다. 또 세제 리필 스테이션을 운영해 세탁세제와 주방세제, 섬유유연제 등을 필요한 만큼만 소분하여 구매할 수 있다. 금요일과 토요일엔 지역 농산물을 이용한 비건 메뉴도 선보인다.

(주)우노

(주)우노

11.4 Km    0     2024-06-21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511(우산동)

-

영벽정

영벽정

11.5 Km    22566     2023-04-22

전라남도 화순군 능주면 학포로 1922-53

영벽정이란 계절따라 변모되는 연주산의 경치를 맑은 지석강물에 투영되어 운치있게 바라볼 수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으로 연주산 아래 지석강의 상류 영벽강변에 있다. 주변 경관이 아름다운 경승지에 있기 때문에 행락객들이 널리 이용하고 있다. 2층 팔작지붕에 기와를 얹은 건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누각형이다. 건립 연대는 확실치 않으나 양팽손 등이 쓴 제영으로 보아 조선 명종때나 선조때(16세기 후반)인 것 같다. 건립자는 능 주목(군), 즉 관청이 건립의 주체였었다고 생각된다. 인조의 모후인 인헌왕후의 고향이라 하여 목사골이 되고 목사 정윤이 아전들의 휴식처로 정자를 개수하였다고 한다. 후일 고종 9년(1872)에 화재로 인해 소실됨에 따라 다음 해인 1873년 계유에 능주목사인 한치조가 중건하였고, 1920년 군민의 출연으로 중수하였다.정자 안에는 9개의 현판이 있다. 기단위에 주춧돌을 넣고 원형기둥으로 세웠다. 이 기둥 위에 마루를 깔아 중층 누각형 정자를 만들었다. 마루의 사방에는 계자 난간을 돌려 장식하였고 처마밑에는 활주를 세웠다. 누 위의 기둥머리에는 익공형식의 공포를 하였고 천정은 연등천정이나 중앙부는 우물천장을 설치하였다. 지붕을 3겹으로 한 것은 아주 보기드문 예로 주목된다.

나주장(성북장) (4, 9일)

11.5 Km    64     2024-04-24

전라남도 나주시 성북동
061-330-8465

광주에서 시외버스로 나주공용터미널에 내리면 바로 도로변에서부터 5일 시장이 형성되고 있으며, 바로 앞에는 원예협동조합 공판장이 있어 과일이 주를 이루고 있다. 매월 4, 9, 14, 19, 24, 29일이면 5일 시장이 형성되어 장옥은 41동 261간의 점 포가 있으며 점포사용인원은 112명 정도이며 주로 어물, 식료품, 잡화, 채소,의 류가 소매되고 있으며 개설일자는 1966년도에 5일시장이 개장되었다.

홍아네

홍아네

11.5 Km    3     2022-11-23

광주광역시 서구 마륵복개로150번길 7

광주광역시 치평동에 있는 한정식 전문점이다. 한옥 건물로 된 외관부터 실내까지, 한옥 마을에 온 것 같은 착각을 일으키게 할 만큼 인테리어부터 소품 하나하나까지 디테일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철 식재료를 사용하는 계절 음식만을 선보이기 때문에, 메뉴가 매일 변경된다. 삼합, 얼큰한 생태탕, 조기 매운탕, 매생이, 굴비정식, 전어, 산낙지 등의 메인 요리와 쌈 채소, 나물, 코다리조림, 김구이, 묵은김치 등의 기본 반찬들 모두 별미다. 주차 공간도 넓어 주차 걱정 없이 편하게 방문할 수 있다. 5.18 기념공원, 상무시민공원 등이 주변에 있어 연계 관광을 즐기기 수월하다.

서강사

서강사

11.5 Km    16027     2024-01-30

광주광역시 남구 치마봉1길 16-1

서강사는 조선 전기 파평윤씨 고려 태사공 윤신달을 주벽으로 하고 윤관, 윤언이, 윤위, 윤돈, 윤보 등 6위를 배향한 사우이다. 윤신달은 고려 초의 공신으로 태조 왕건을 도와 삼한공신이 되었으며, 파평윤씨의 시조로 되어 있다. 윤관은 고려시대 명장으로 여진을 정벌하는 전쟁에서 동북에 9성을 쌓아 승리한 업적을 남겼으며, 고려 예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윤언이는 고려 초 문신으로 윤관의 아들이며 고려 예종대에 정치적으로 활약한 바가 있다. 파평윤씨는 고려 이후 수십 파로 분파되었으나 판도공파와 소정공파에서 많은 인물이 배출되었다. 건물은 화강석 기단 위에 정평주초를 놓고 원주기둥을 세웠으며, 정면 3칸 측면 1칸의 골기와 팔작지붕이다. 내부는 우물천장으로 2고주 5량집이다. 전면에는 단청이 비교적 잘 남아 있고, 대문은 평삼문으로 되어 있다. 건물 주변으로 담장이 둘러져 있다. 서강사는 입구에 서강사 표지석이 있으며 우물이 있다. 강당의 역할을 하는 경모재를 지나 서강사로 진입할 수 있다. 경모재는 건물 중앙에 현판이 걸려져 있으며 서강사 묘정비가 세워져 있다. 제향일은 음력 3월 18일이다.

시골집국밥

시골집국밥

11.5 Km    19286     2023-08-14

광주광역시 서구 운천로 159
062-373-8614

대로에 위치해 있지만 황토 벽, 기와 창호지, 농기구 등으로 음식점 안팎을 장식한 시골집 국밥은 호남대 입구역에서 금호지구 방면 운천저수지 옆 길모퉁이에 자리 잡고 있다. 주메뉴인 곱창전골은 간단한 국밥 종류와 함께 인기 있는 메뉴이다. 살이 부드러워 쫄깃하고 담백한 맛이 느껴지는 곱창전골은 돼지곱창에 양념을 얹고 쑥갓, 팽이버섯, 표고버섯, 대파, 통깨가 푸짐하게 곁들여졌는데 국물 맛이 진하고 얼큰하고 반찬으로 나오는 배추김치, 파김치, 깍두기를 척척 걸쳐 곱창과 함께 먹으면 시원하고 담백한 맛이 느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