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가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명가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명가혜

10.2Km    2024-11-27

전라남도 담양군 담양읍 내다길 83-1

차로 가는 바른길이라는 의미의 명가혜[茗可蹊]는 한옥에서 즐기는 전통찻집이자 국근섭 씨와 김가혜 씨의 문화예술공간으로 민박을 할 수 있는 남도풍류체험(다도, 제다체험, 전통찻집, 한옥민박, 판소리, 대나무숲길체험) 공간이다. 세심하게 인테리어 되어 있지는 않지만 무심한 듯 정갈한 실내공간이 편안하게 다가온다. 세계 농업 유산 삼다리 대나무 숲에 명가혜가 있으며 유기농 대나무 밭을 직접 재배하며 우리나라의 전통문화와 차 문화를 널리 알리는 공간이다. 대숲의 차나무에서 채취한 차는 차 중에서도 으뜸으로, 대나무 이슬을 먹고 자란 야생녹차를 전통방식으로 제다한 수제 명차라고 하여 죽로차라고 한다. 국 씨 부부는 이곳에 다원을 조성하여 명가혜 죽로차를 만들기 시작했으며 특허받은 죽신차(죽신황금차)를 개발하였다. 명가혜에서는 민박도 운영하는데 낮에는 대숲을 걷기도 하고 마당에 누워 하늘멍을 때릴 수도 있다. 또한, 밤이면 국 씨 부부가 준비한 다도와 판소리와 춤을 체험할 수 있다. 집을 둘러싼 대나무에서 불어오는 청량한 바람소리와 마당 한켠에 나란히 놓여있는 항아리 장독대의 풍경을 바라보며 툇마루에서 즐기는 죽로차는 휴식 그 자체이다.

대궐식당

10.3Km    2025-01-02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37
063-538-9488

내장산 주변 산에서 자생하는 산나물을 이용해 맛을 내는 대궐식당은 올해로 40년째 운영해오고 있는 식당으로, 모든 반찬 재료를 주변에서 조달하여 만든다. 음식의 맛을 책임지고 있는 주방장이 메주를 담그고 간장, 된장, 고추장 등 기본양념을 만들고 있다. 대궐식당이 40년을 지켜온 맛의 비법이다. 한 번에 300명까지 수용이 가능하여 단체손님들도 얼마든지 예약이 가능하다. 요리는 내장산산채정식, 내장산산채비빔밥이 별미이며, 특히 산채정식은 정읍시에서 전주대학교와 관학협력으로 표준산채정식요리를 만들어 내장산을 방문하는 사람들에게 내놓도록 한 음식으로 내장산의 향수가 묻어난다. 밑반찬은 40가지가 한 상 차려지며, 나물 반찬은 계절에 따라 종류를 달리한다.

신세계회관 (구. 한일회관)

신세계회관 (구. 한일회관)

10.3Km    2024-12-19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41-9
063-538-3515

신세계회관은 산채정식, 갈비탕으로 유명한 집이다. 1960년에 개업하여 주인이 직접 요리를 해왔다. 직접 농사지은 채소와 내장산에서 손수 캔 나물들, 손수 담근 장류로 무려 40종류의 상차림을 마련하는데, 반찬이 너무 많아서 ‘그릇이 포개져 나오는 집’으로 유명하다. 산생나물, 더덕구이, 홍어찜 등이 상에 오르는 산채정식을 비롯하여 산채돌솥비빔밥, 산채비빔밥 등이 있다. 이외에도 버섯탕, 해물파전, 도토리묵도 있다.

명인관

10.3Km    2025-03-13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41-13
063-538-8981

산나물, 고사리나물, 취나물, 뽕잎, 더덕 등 자연이 선물한 풍부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전라도 향토음식 산채정식이 있다. 명인관 산채비빔밥의 특징은 산채 정식에 표고버섯 매운탕이 추가되어 있다는 것이다. 소고기를 양념장에 잘 버무려 준 후 냄비 안에 각종 재료와 담아놓은 후 표고버섯을 비롯한 각종 버섯들을 담고, 다시다 멸치로 끓인 육수를 부어 재료가 익을 때까지 끓이면 표고버섯 탕이 완성된다. 전라도 버섯 불고기는 각종 채소, 버섯과 함께 고기를 버무린 후 과일을 갈아 만든 특제 불고기 양념을 넣고 주물주물 버무린다. 이때 고기를 연하게 하기위해 키위를 넣는다. 특제 양념을 더한 뒤 뚝배기 양념에 재워둔 고기를 넣고 끓이면 전라도 버섯 불고기가 완성된다.

정원한정식

10.3Km    2025-03-06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25
063-538-1232

청결하고 야단스럽지 않은 분위기에 정갈하고 깔끔한 음식맛이 어우러진 곳으로 내장산 일대에서 나오는 자연 산나물과 채소류를 주재료로 사용하여 만든 산채한정식이 대표메뉴인 곳이다. 돌솥산채비빔밥은 내장산을 찾는 외지인이 꼭 한번 맛볼 만한 음식이다. 취나물, 신선초, 당귀, 씀바귀, 더덕잎 등 푸짐한 산나물과 맛깔스런 찌개는 각종 공해에 시달리는 도시인들에게 새로운 미각을 느끼게 해준다.

한국관

한국관

10.4Km    2024-09-13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20
063-538-7790

한국관은 전라북도 정읍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갈하고 토속적인 맛의 산채정식을 내는 곳이다. 특히 등산을 하고 내려가는 사람들이 많이 찾고 있다. 산채정식과 불고기 초회를 맛볼 수 있으며 고소한 도토리묵이나 파전 또한 인기 메뉴이다. 메뉴 주문 시 김치와 나물, 고구마 맛탕 등 다양한 밑반찬이 준비되어 푸짐하다. 매장 내부에 단체석이 존재하여 단체로 이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전라회관

10.4Km    2024-12-17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18
063-538-3239

맛의 고장 정읍에 다양한 먹거리가 많지만 내장산에 산채정식은 당연 으뜸으로 꼽힌다. 내장산 일대에서 채취되는 각종 산나물을 선별 구입하여 신선한 재료로 만들어진다. 산채정식과 함께 나오는 구수한 된장찌개와 더덕구이, 새송이구이는 독특한 맛과 향이 일품이다. 그 외에 메뉴로는 해물파전, 불고기, 제육볶음 등 다양한 한식메뉴가 준비되어 있어 취향껏 메뉴선택이 가능하다.

담양호

10.4Km    2025-03-16

전라남도 담양군 금성면 금성산성길

담양호는 영산강 유역 종합개발 1단계 사업으로 완성된 4개 호수 가운데 하나로, 1976년에 완공되었다. 제방 높이 48m, 길이 306m, 저수량 7,760.8만 톤의 거대한 인공 호수이다. 추월산과 금성산을 옆에 거느리고 있어 경치가 좋고 물이 맑을 뿐 아니라 빙어, 메기, 가물치, 잉어, 향어 등이 많이 서식하고 있다. 담양호를 중심으로 추월산 관광단지와 가마골 청소년야영장, 금성산성 등이 감싸고 있어 담양 제1의 관광지이다. 또한 산허리를 뚫은 터널을 통하는 산간 호반도로는 드라이브 코스로도 각광받고 있어 주변 모두가 도시민의 쉼터로 사랑받고 있다. 모터보트와 수상 방갈로 등이 있었으나 상수원보호지구로 지정되어 폐쇄되었다.

추령천

추령천

10.4Km    2025-03-18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복흥면 석보리

추령천은 순창군과 내장산, 추령 등에서 발원하여 섬진강으로 유입하는 하천으로, 내장산 동쪽의 추령봉을 끼고 흐른다 해서 추령천이란 이름이 붙었다. 전북 천리길 중 순창 [선비의 길]의 경우 길의 대부분이 추령천을 따라 걷는 길이어서 추령천의 아름다운 풍경을 함께 즐길 수 있다. 전북 천리길은 14개 시군에 걸쳐 44개 코스로 구성된 길로, 전라북도의 우수한 역사와 문화 그리고 천혜의 자연환경을 품은 곳을 알리고자 만들어진 길이다. 선비의 길은 조선 중기 대표 성리학자인 하서 김인후 선생이 제자를 양성했던 곳인 훈몽재, 초대 대법원장을 지낸 김병로 선생의 생가 등 다양한 문화 자원을 만날 수 있는 역사 문화 탐방길이다.

프린스식당

10.4Km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15-8
063-538-8075

프린스식당은 프린스모텔과 함께 있는 한정식 식당이다. 메뉴는 산채비빔밥, 더덕구이를 한정식으로 주문할 수도 있으며 따로 시킬 수도 있다. 또한 콩나물과 시래기를 넣은 해장국과 버섯전골이 있다. 이외에도 조기매운탕, 홍어탕, 홍어회, 닭볶음탕, 해물파전, 도토리묵 등 종류가 다양하다. 특히 전주산채비빔밥은 산지에서 직접 채취한 산나물을 즉석에서 무쳐 조리하기 때문에 오염되지 않은 신선한 각종 산나물과 버섯류를 먹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