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전통주 체험을 할 수 있는 곳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서울에서 전통주 체험을 할 수 있는 곳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서울에서 전통주 체험을 할 수 있는 곳

서울에서 전통주 체험을 할 수 있는 곳

10.2 Km    6516     2023-08-08

전통주 연구의 산실 대중화 운동의 중심이라 할 수 있는 한국전통주 연구소는 자연에서 얻어지는 천연 재료만으로 자연발효법의 기술을 이용해 양주기술을 전수하는 기관이다. 이곳의 전시 및 체험을 중심으로 서울 자하문 일대의 거리를 여행하자.

클래식고택

클래식고택

10.2 Km    2     2024-03-24

서울특별시 종로구 필운대로5가길 11-4 (누하동)
010-4025-0820, 0507-1369-1955

서울 서촌에 위치한 클래식고택은 영화 [건축학개론]의 촬영지이자 독채 한옥스테이다. 넉넉한 사이즈의 안방, 더블 사이즈 매트리스가 깔린 북카페 다락, 슈퍼싱글 소파 베드가 있는 건넌방은 최대 5인까지 이용이 가능하다. 피아노가 놓인 대청마루에서는 고즈넉한 명상을 즐길 수 있고, 야외 욕조에서는 아기자기한 마당을 바라보며 자쿠지를 즐길 수 있으며, 주방의 넓직한 아일랜드 식탁에서는 따스한 담소를 나누며 도심 속 온전한 쉼을 누릴 수 있다.

갤러리카페 3안

갤러리카페 3안

10.2 Km    1701     2023-09-11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137-7
02-720-2722

삼청동에 자리 잡은 갤러리 카페 3안은 현대와 고전적인 감성을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1920년 당시에 지었던 목재와 현대 건축 간의 조화를 느낄 수 있다. 갤러리와 카페의 조화 속에서 사람에 의해 문화가 만들어지고 사람을 통해 소통되어 일상생활에서 문화생활을 즐길 수 있도록 공간을 제공하고자 한다. 개성 있고 특색 있는 현대 미술과 신진 작가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으며 스페셜티 원두를 기본으로 두 가지의 맛을 선택할 수 있고 디저트와 음료도 수제로 제조하고 있다.

갤러리3안

갤러리3안

10.2 Km    1439     2023-02-24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 137-7

삼청동에 개관한 갤러리 3안은 회화, 영상, 조각, 설치 외 다양한 예술 매체를 다루고 있으며 구애받지 않는 실험 정신을 가진 아티스트들의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기존의 모던한 일률적 전시 공간에서 벗어난 목재와 현대 건축간의 조화를 느낄 수 있는 전시 공간으로서 사람간의 소통으로 문화생활을 즐기면서 새로운 예술 창출의 장이 되고자 한다.

위례중앙광장

위례중앙광장

10.2 Km    0     2023-12-13

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위례광장로 104

위례 중앙광장은 경기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에 있는 광장이다. 위례신도시 중심의 랜드마크로 자리 잡아 만남의 장소와 공원으로 이용되어 사람들이 많이 찾는 중심상가 번화가라 할 수 있다. 사람들이 쉬어 갈 수 있는 의자와 벤치, 야외공연장과 잔디밭이 있다. 시계탑, 바닥분수와 "WIRYE" 빨간색 조형물이 포토존으로도 좋은 장소이다. 주변에 상가들이 많이 있어 주말에 사람들이 많이 찾는 장소이다. 야외 공연장에 축제가 열리면 많은 사람이 방문하는 장소이기도 하다. 수정구청에서는 위례 중앙광장에서 시민 참여 마당으로 예술공연 플랫폼 하시-락(樂)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8개의 하시-락(樂)중 하나이며 전기시설 사용도 가능하다.

여인숙 깔마

여인숙 깔마

10.2 Km    2     2024-03-29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7길 68-3 (누하동)
010-7100-7872

서울의 작은 동네 서촌에 위치한 여인숙 깔마는 적벽돌색 외관과 입구의 식물들이 인상적인 숙소다. 모던한 인테리어의 내부 공간은 차분함을 제공하고, 개별 공간을 가려주는 가리개에서 호스트의 배려가 엿보인다. 숙소 바래 아래층에 천연발효종 식사빵 맛집 '마사마드레'가 있고, 인근에 산책로, 갤러리, 편집샵 등이 있으며, 경복궁, 광화문, 인황상, 인사동, 북촌과도 가까워 여행을 즐기기에 손색없다.

한국전통주연구소

한국전통주연구소

10.2 Km    9978     2023-12-07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62

한국전통주연구소는 우리 전통주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정신을 공유함으로써, 우리나라 전통주의 대중화는 물론이고 세계화를 이룰 수 있도록 연구하는 곳이다. 수천 년의 역사와 전통성, 고유성, 차별성을 목표로 한 전통주와 그에 따른 양주 기술을 배우고 익힐 수 있는 국내 최초의 교육훈련기관으로서 전통주 연구의 산실이다. 쌀과 전통 누룩, 물, 꽃과 약재 등 자연에서 얻어지는 재료로만 술을 빚고, 인공 감미료를 비롯해 어떤 식품첨가물도 사용하지 않는 자연 발효법의 양주 기술을 교육하고 있으며 전통주 연구 30년의 기술 축적에 따른 최고의 강사진과 교육시스템을 갖추고 있다. 동동주, 막걸리를 비롯한 죽과 떡 등 다양한 방법의 청주 빚기, 꽃으로 빚는 가향주, 전통 소주 제조와 활용법 등 다양하고 차별화된 양주 기술 교육을 실시하고 있으며 전통 방식으로 빚은 우리 술의 부드러운 맛과 아름다운 향기를 경험할 수 있다.

황학정

황학정

10.2 Km    20911     2023-03-31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9길 15-32

황학정은 원래 광무 2년(1898) 고종의 어명으로 경희궁(慶熙宮) 회상전(會祥殿) 북쪽 담장 가까이 세웠던 궁술 연습을 위한 사정(射亭)이었다. 1922년 일제가 경성중학교를 짓기 위해 경희궁을 헐면서 경희궁 내 건물들이 일반에게 불하될 때 이를 받아 사직공원 북쪽인 등과정(登科亭) 옛터인 현 위치에 이건하였다. 황학정이 있는 사직동의 등과정 자리는 한말까지 궁술 연습장으로 유명했던 곳이다. 등과정은 경복궁 서편 인왕산 기슭 옥동(玉洞)에 있던 등용정(登龍亭)·삼청동의 운용정(雲龍亭)·사직동의 대송정(大松亭, 太極亭)·누상동의 풍소정(風嘯亭, 白虎亭)과 함께 인왕산 아래 서촌(西村) 오사정(五射亭)이라고 불렸다. 오사정을 비롯한 서울에 있던 이름 있는 활터는 일제 때에 전통 무술을 금지하면서 점점 사라졌다. 황학정의 활터는 전국에서 유명하였으며 광복 후에 계속 사용되었으나 6·25전쟁으로 건물도 파손되고 활쏘기도 중단되었다가 다시 중수되어 활터로 사용되고 있다. 과녁은 전방 약 145m 지점에 있으며, 1977년 일부 보수공사를 하였다. 황학정은 인왕산 동쪽 기슭 언덕 위에 동남향을 하고 자리잡았다. 정면에서 보아 4칸 중에서 동쪽 1칸은 서쪽의 3칸보다 한 단 높게 누마루를 꾸몄고, 동쪽 끝 초석은 장초석으로 처리되었다.

건물 정면 서쪽에서 2번 째 칸 되는 추녀 밑에 '황학정' 현판이 걸려 있다. 북쪽 끝 1칸 양통은 온돌이며 나머지는 모두 우물마루를 깔았다. 주간 거리는 건물 정면의 서쪽에서 오른쪽으로 2,763mm, 3,051mm, 2,820mm, 2,793mm 이며, 측면은 정면에서 뒤로 2,787mm, 2,820mm 이다. 초석의 높이는 290mm, 장초석의 높이는 970mm이고, 대들보까지 기둥의 높이는 2,670mm 이다. 건물은 외벌 장대석 기단 위에 사각기둥을 세우고, 정면과 동쪽 측면 기둥에는 칠언 절구의 주련(柱聯)을 걸었다. 정면 외부 기둥 사이에는 사분합문을 달았으며, 내부는 우물마루와 연등천장으로 되었다. 건물은 판대공으로 종도리를 받친 무고주(無高柱) 5량가이며, 굴도리를 사용하였다. 정자로서는 비교적 규모가 큰 건물이나 간결하고 소박하게 구조로 조영되었다. 건물 서남쪽 뒤로는 샘이 있고 그 뒤 바위에 황학정 팔경을 노래한 시를 음각하였으며, 건물 오른쪽인 동북쪽으로는 사모지붕의 한옥 한천각(閒天閣)이 있고, 그 서쪽 뒤로는 철근 콘크리트로 지은 사우회관(射友會館)이 있다.

CJ아지트광흥창

CJ아지트광흥창

10.2 Km    3     2024-01-17

서울특별시 마포구 창전로 14 (신정동)

CJ아지트 광흥창은 2009년 개관이래 홍대 라이브 클럽데이, 튠업 스테이지 기획 공연 등 다양한 창작자들을 지원하고 많은 무대를 제공하였다. 이곳에는 음악 공연장, 녹음 스튜디오(튠업 스튜디오)와 아티스트 라운지가 있어 뮤지션들이 수준 높은 음악콘텐츠를 창작할 수 있고 관객들은 새로운 공연을 마음껏 즐길 수 있다. 공연장은 스탠딩 250석을 수용할 수 있는 블랙박스 형태로 설계되었고 빈 공간에 자유롭게 무대와 객석을 설치할 수 있어서 음악 공연뿐만 아니라 다채로운 연출과 타 장르와의 콜라보레이션 등 다양한 시도가 가능하다. 튠업 스튜디오는 국내에서 손꼽히는 높은 층고로 깊은 울림의 사운드를 녹음할 수 있는 공간이다. 건물 2층의 아티스트 라운지는 공연장과 스튜디오를 사용하는 뮤지션들이 각종 인터뷰, 미팅, 커뮤니티모임에 활용할 수 있는 공간이다.

까델루뽀

까델루뽀

10.2 Km    17210     2023-07-25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6길 5-5
02-734-5233

까델루뽀는 종로구 효자동에 위치한 이탈리아 레스토랑이다. 까델루뽀는 이탈리아 레스토랑이지만, 음식점은 한옥으로 되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사람의 고정관념을 깨듯 동서양의 조화가 잘 이루어진다. 동양의 온화함과 서양의 세련된 분위기를 동시에 느끼고 싶으면 까델루뽀를 방문해 보는 것도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