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비치안경 방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다비치안경 방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다비치안경 방배

다비치안경 방배

10.1 Km    0     2024-03-24

서울특별시 서초구 방배로20길 4(방배동)

-

노들나루공원

10.1 Km    1     2023-05-03

서울특별시 동작구 노량진로 247

서울 동작구 노량진에 있는 노들나루공원은 노량진 배수지공원이라 불리다가 지금은 노들나루공원으로 명칭이 바뀐 근린공원이다. 바닥분수와 야외무대, 여러 가지 운동 시설이 갖춰져 있으며, 푸른 잔디와 함께 장미꽃 광장도 조성되어 있고, 여러 개의 산책코스도 마련되어 있다. 6.25 전쟁 초기, 서울이 함락된 직후 북한군의 한강 도하를 6일간이나 저지시킨 한강 방어선 전투의 전사자 명비를 볼 수 있다. 공원과 붙어 있는 풋살장, 족구장은 서울특별시 공공서비스예약(yeyak.seoul.go.kr)에서 예약 후, 사용할 수 있다. 여의도 불꽃축제 기간에 불꽃놀이를 감상할 수 있는 명소이기도 하다. 지하철 9호선 노들역 2번 출구와 연결되어 있다.

오렌즈 중앙대

오렌즈 중앙대

10.1 Km    0     2024-03-24

서울특별시 동작구 흑석로 87-1, 1층(흑석동)

-

강동아트센터

강동아트센터

10.1 Km    19142     2023-03-28

서울특별시 강동구 동남로 870

강동아트센터는 강동구 명일근린공원 내에 위치한 전문 공연장으로 자연공원과 문화공간이 경계없이 조우하는 사용자 중심의 편안한 구조의 공연장이다. 객석수 850석 규모의 대극장(한강)은 오페라, 발레, 뮤지컬, 콘서트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위한 최첨단 시설을 갖추고 있다. 전위적이고 창조적인 공연이 가능한 250석 규모의 소극장(드림)은 첨단 메커니즘을 갖추고 있으며, 연출자의 의도에 따라 극장의 운영형태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실험적인 극장이다. 또한, 전시를 위한 아트갤러리와 창작 공간 및 교육 프로그램을 위한 3곳의 스튜디오를 갖추고 있다.

* 개관일 2011년 9월 1일

라이카시네마

10.2 Km    2     2024-01-09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로8길 18 (연희동)

연희동에 자리 잡고 있는 4층의 모던한 노출 콘크리트 건물의 라이카시네마는 소형 예술 영화관이다. 영화관 이름은 최초로 우주로 나간 개, 스페이스 독(space dog) 라이카의 이름을 기리기 위해 지어졌다. 주황색 입간판의 입구가 있는 1층에는 티켓박스가 있고 지하 1층에는 40석의 상영관, 2층에는 커피숍 모그, 3~4층은 스페이스독 스튜디오, 옥상에는 누구나 이용 가능한 루프탑 가든으로 구성되어 있다. 영화 상영관은 지하 1층 1개로 시간마다 다른 영화를 상영한다. 또한, 상영관을 대관하여 원하는 날짜에 원하는 영화를 프라이빗하게 관람할 수 있다. 라이카시네마는 온전히 영화에 몰입되는 입체적인 사운드와 편안하고 쾌적한 프리미엄급 좌석으로 영화에 몰입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이곳에서는 매달 기획하여 상영하는 단편 기획전이 있다.

학도암(서울)

학도암(서울)

10.2 Km    22704     2023-04-23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계로14다길 89

서울 근교에 자리한 사찰 가운데 학이 날아와 놀았다는 사찰은 아마도 학도암 뿐일 것이다. 그만큼 주변의 경치가 학이 와서 놀만큼 빼어나게 아름다웠다는 의미이다.지금도 학도암 주변은 이름에 걸맞게 경치가 좋다. 한여름에는 푸른 숲과 어울려 맑은 계곡물이 흐르고, 그 속에서 천진한 어린이들이 뛰어논다. 겨울이면 나뭇가지 위로 눈이 덮여 설국이 연출되기도 한다. 산중에 자리한 사찰치고 그러한 풍경을 가지지 않은 곳이 어디있겠냐 싶지만 학도암은 불암산의 감추어진 비경이 아닐 수 없다.

학도암의 상징은 암자 뒤쪽 커다란 바위 면에 새겨진 높이 13.4m 에 이르는 거대한 마애관음보살좌상이다. 이 마애관음보살좌상은 1870년(고종 7) 명성황후가 발원하여 조성했다고 하는 것으로 자비로운 미소로 중생을 굽어 살피고 있어 학도암 뿐만 아니라 노원구의 명물이기도 하다. 바위에 새겨진 마애불은 전국적으로 많이 남아있지만 관음보살을 새긴 것은 많지가 않아 손에 꼽을 정도이다. 그중 학도암 마애관음보살좌상은 가장 크고 선명하게 남아있어 중요한 문화재로 여기고 있다.이처럼 학도암은 학이 날아와 놀만큼 아름다운 경치를 주변에 두고 전국에서 가장 큰 마애관음보살상 아래에서 향화(香花)를 올리고 있는 소중한 도량이다.

* 창건배경 및 역사

학도암은 1624년(인조 2) 무공화상(無空和尙)이 불암산에 있던 옛 암자를 지금의 자리로 옮겨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이 시기의 사정을 적은 기록이 없어 옛 암자라고 한 것이 어디에 있었으며, 이름이 무엇이었는지는 알 수가 없다. 1927년 편찬된 『봉선본말사지(奉先本末寺誌)』「학도암(鶴到庵)」조에 의하면 창건이후 250여년의 역사는 공백으로 남아있고, 1878년(고종 15)에 가서야 벽운화상(碧雲和尙)이 재창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현재 학도암 주차장 아래 자연암벽에 선각(線刻)으로 조성되어 있는 2기의 부도가 있어 1878년 벽운화상이 재창한 이전의 역사를 말해준다. 이 부도는 왼쪽부터 “청신녀월영영주지탑(淸信女月影靈珠之塔)”“환□당선사취근지탑(幻□堂禪師就根之塔)이다. 이 가운데“청신녀월영영주지탑(淸信女月影靈珠之塔)”은“가경이십사년기묘십월(嘉慶二十四年己卯十月)”이라는 명문이 함께 기록되어 있어 1819년(순조 19)에 조성된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환□당선사취근지탑(幻□堂禪師就根之塔)도 19세기 초기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이 된다.

또한 사찰의 뒤쪽 암벽에 선각된 마애관음보살좌상을 1870년(고종 7) 명성황후가 발원하여 조성했다고 한다. 이로 볼 때 1819년 무렵과 1870년 무렵에도 사찰은 법등을 이어오고 있었으며, 1875년에 이르러 벽운화상이 중창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이후에는 1878년 한씨(韓氏) 일가의 시주로 마애관음좌상을 보수하였고, 다시 1885년(고종 22) 벽운화상이 화승(畵僧) 경선화상(慶船和尙)을 불러와 불상 1구를 개금하고 불화 6점을 그려 봉안하였다. 이 시기 불사에 관한 내용은 〈천보산학도암개금탱화시주록기(天寶山鶴到庵改金幀畵施主錄記)〉로 기록되어 『봉선본말사지(奉先本末寺誌)』에 전하고 있다.

1922년에는 성담(聖曇)화상이 주지로 머물며 개인소유로 넘어간 사찰 소유의 산림(山林) 10여 정보를 매입하여 사찰의 경계를 확장하였다. 그 후 1966년에 이르러 김명호 주지가 퇴락한 법당을 중건하였으며, 1970년에 영산회상도를 봉안하였다. 1972년에는 삼성각에 칠성탱과 산신탱을 봉안하였다. 2000년에는 한사람이 겨우 출입할 수 있을 정도였던 자연 동굴을 넓혀 안에 석조약사여래좌상과 일광보살좌상, 월광보살좌상을 봉안하고 약사전이라 부르고 있다. 그리고 2005년에는 무이(無二) 주지스님이 법당 오른쪽 공터에 430cm 높이의 석조지장보살좌상을 봉안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강동북페스티벌

강동북페스티벌

10.2 Km    21827     2024-05-03

서울특별시 강동구 동남로 870 강동아트센터
천호(총괄) 02-488-7223, 성내 02-471-0044, 해공 02-478-9656, 강일 02-427-4004, 암사 02-429-0476, 둔촌 02-489-6557

제14회 강동북페스티벌'은 강동문화재단이 주관하고 강동구립도서관(성내, 암사, 해공, 강일, 천호, 둔촌)이 기획, 진행하는 서울 강동구의 대표 문화축제이다. 올해 축제의 주제는 '책GPT(Gangdong·People·Technology)'로 점차 발달해가는 인공지능 시대에 사람과 사람, 그리고 사람과 책의 소통을 생각해보는 행사가 될 예정이다.

연희동칼국수 본점

연희동칼국수 본점

10.2 Km    2     2024-02-16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희맛로 37

가좌역 4번 출구에서 차로 5분 거리에 있는 연희동 칼국수 전문점이다. 대표 메뉴는 진한 사골 육수로 만든 칼국수이다. 육수가 좋아 그냥 하얀 국물로 먹어도 충분히 맛있다는 평가다. 수육도 함께 주문하여 먹을 수 있다. 밑반찬으로는 겉절이와 백김치가 나온다. 건물 전체를 사용하여 많은 인원을 수용할 수 있다. 주차장이 넓고 발렛도 무료라서 차량을 가지고 방문하기 편리하다. 근처에 카페가 많아서 식사 후 가까운 곳에서 디저트를 즐길 수 있다.

데님호텔

10.2 Km    3     2024-01-23

서울특별시 강남구 논현로 66 (개포동)

호텔데님은 개포동에 위치한 호텔로 편안하고 안락한 분위기의 객실을 제공하고 있다. 객실은 디럭스 트윈, 비즈니스 더블, 디럭스 더블 등이 있으며 객실에서는 무료 무선 인터넷 및 콘시어지 서비스 등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외에도 편의 시설로는 비즈니스 센터가 있고 로비의 무료 신문, 드라이클리닝, 세탁 서비스 등이 있어 편안하게 숙박할 수 있다. 주변 관광지로는 양재시민공원, 양재꽃시장, AT 센터 등이 소재하고 있어 출장과 간단한 여행에 최적의 숙소이다.

옥돌현옥

옥돌현옥

10.2 Km    0     2024-03-12

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로36길 26-1

옥돌현옥은 서울특별시 송파구 가락동에 있는 이북 음식 전문점이다. 지하철을 이용한다면 3호선과 5호선 오금역 6번 출구와 가깝다. 주차는 식당 부근 공영주차장을 이용하는 것이 편하다. 매장 안 인테리어는 이북 음식을 취급하는 식당답지 않게 조명과 테이블을 바로크 양식으로 꾸며 젊은 층도 많이 찾는다. 대표 메뉴는 평양냉면과 어복쟁반이다. 손만두는 2개, 4개, 8개 단위로 판매하고 있어 사이드 메뉴로 주문하기 좋다. 이밖에 돼지 곰탕, 소고기국밥, 가자미식해, 소고기 수육과 돼지고기 수육이 있다. 식사와 함께 와인을 즐길 수 있으며 콜키지 서비스도 가능하다. 식당 인근에 오금공원, 성내천 물빛광장, 올림픽공원이 있어 연계 관광을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