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덕사회체육센터(실내수영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고덕사회체육센터(실내수영장)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고덕사회체육센터(실내수영장)

고덕사회체육센터(실내수영장)

10.1 Km    32295     2023-12-04

서울특별시 강동구 구천면로93길 12

고덕사회체육센터는 1988년 개장하여 지역사회 주민들의 정서함양과 건강증진에 기여, 보다 나은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운영하고 있으며 장애인의 재활 및 비장애인과의 통합체육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고덕사회체육센터의 수영장은 지상 1층에 있으며, 주요 수영 프로그램으로는 어린이 수영교실, 아쿠아로빅 교실, 자유수영 교실 등이 있다. 강습을 듣기 위해서는 고덕사회체육센터의 회원가입을 해야 하며, 자유수영은 회원가입을 필요로 하지는 않으나 자유수영 시간이 센터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어 확인이 필요하다.

돌다리집

돌다리집

10.1 Km    0     2024-02-21

경기도 구리시 경춘로248번길 17 성지빌딩

돌다리집은 경기도 구리시에서 50년 전통의 연탄 초벌구이 맛집으로 TV 프로그램에 여러 차례 소개되었다. 가게 한쪽에 연탄이 세워져 있고 그 옆으로 연탄 초벌구이 모습도 볼 수 있다. 초벌삼겹살과 초벌불고기, 고추장불고기, 파불고기 등의 다양한 초벌구이 고기를 맛볼 수 있다.

퀴버 서울숲

퀴버 서울숲

1.0 Km    3     2024-04-25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로5길 3 성수1가제2동 공공복합청사

퀴버 서울숲은 통유리와 높은 천장으로 개방감이 좋은 다이닝 공간이다. 퀴버만의 시그니처 메뉴는 수비드 목살로 만든 퀴버 스테이크, 퀴버만의 라구소스와 버섯, 부드러운 밀떡으로 재해석한 라구떡볶이 등이 있다. 또, 고소한 피스타치오가 올라간 새우 크림리조또, 구운 관자를 올린 풍미 가득한 오일파스타 등도 인기가 많은 메뉴이다.

올리브영 대흥역

올리브영 대흥역

10.1 Km    0     2024-03-24

서울특별시 마포구 백범로 91

-

김옥길기념관

김옥길기념관

10.1 Km    1     2023-02-13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대동문길 47-6

서울 서대문구 대신동에 있는 전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김옥길(1990년 작고) 여사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기념관이다.
김옥길 여사의 동생인 연세대 명예교수 김동길 박사가 건축가 김인로 씨에게 의뢰해 김옥길 여사의 생가 자리에 1999년 4월 건립됐다. 대지면적 371.9㎡, 건축면적 62.64㎡, 연면적 212.69㎡ 규모의 2층 건물로 지하에는 공연장 및 전시 공간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1~2층은 카페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운영하지 않는다.
1998년 한국건축문화대상을 받은 건축물로 연세대 주변 문화인들을 비롯한 방문객들에게 사랑받는 곳이다.

참누렁소가든

참누렁소가든

10.1 Km    20276     2023-04-23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로63길 13
02-979-6400

허영만 화백의 만화 식객 중 쇠고기전쟁편에 나온 곳으로 대부분의 정보를 이 곳에서 얻었다고 한다. 1등급의 고품질 한우만을 고집하며, 건물의 지하에 전문적인 육가공실을 두고 직접 발골, 정형, 숙성 등의 공정을 하므로, 365일 숙성된 1등급 한우를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이곳에서 가장 인기 있는 메뉴는 꽃등심. 하얀 마블링이 꽃이라 불릴만 한데 숯불에 구우면 육즙이 살아있고, 육질이 부드러워 남녀노소 누구나 좋아하는 음식이다. 또 제비추리, 살치살, 토시살, 안창살을 한데 모은 특수육모둠도 이 곳 참누렁소의 대표적인 메뉴이다. 건물의 1층은 이런 고기들을 따로 팔기도하며, 돈다발이라는 이름의 돼지고기와 식사메뉴를 운영하고 있다. 2층에는 작은 개별 룸도 있으므로 소규모 모임을 하기에 적당하고, 어르신을 모시고 가기에 좋은 집이다.

봉원사(서울)

봉원사(서울)

10.1 Km    27139     2023-10-06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봉원사길 120

신라 제 51대 진성여왕 3년(889년) 도선국사가 현 연세대 터에 창건하고, 반야사라 하였다.제21대 영조 24년(1748년) 찬즙, 중암 두 스님에 의해 지금의 터전으로 이전하였고,영조는 친필로 봉원사라 현액하였으며, 신도들 사이에는 이 때부터 새로 지은 절이라 하여 "새절"이라 부르게 되었다. 제26대 고종 21년(1884년) 발생한 갑신정변의 주축을 이룬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 등 개화파 인사의 정신적 지도자였던 이동인 스님이 5년간 주석하였던 갑신정변의 요람지이기도 했다. 1911년 주지 보담스님의 중수와 사지의 확보로 가람의 면모를 새롭게 하였다. 1945년 주지 기월스님, 화주 운파스님과 대종의 원력으로 광복기념관을 건립하였다. 1950년 9월 28일 서울 수복 당시 병화로 광복기념관이 소진되었고, 이때 영조의 친필 현판 등 사보와 이동인스님 및 개화파인사들의 유물이 함께 소실되었다.

1966년 주지 영월스님, 화주 운파스님과 대중의 원력으로 소실된 염불당을 중건하였는데 이 건물은 대원군의 별처였던 공덕동 아소정을 옮긴 것이다.현재 봉원사는 한국불교의 전통 종단인 태고종의 총본산으로서 전법수행의 맥을 이어가고 있는 바 대중은 60여 스님, 신도는 10만을 헤아리며 박송암 스님(2000년 2월 입적), 이만봉스님이 주석하며 후학을 지도하고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옥천범음대학이 있고, 신행단체로는 관음회, 화엄법회, 청년회, 학생회, 어린이 인경회 등 법회가 개최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도 교도소, 소년원, 양로원, 고아원,군부대 등을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교화활동을 펼치고 있어 태고종 총 본산으로서 그 소임을 다하고 있다.

* 영산재(靈山齋)

봉원사에서는 대한민국 국가무형문화재인 영산재 보존회 주최로 세계평화 및 남북통일을 기원하기 위하여 영산재를 봉행하고 있다.영산재란,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하시는 도량을 시공을 초월하여 본 도량으로 오롯이 옮기고 영산회상의 제불보살님께 공양을 올리는 의식이다. 그리하여 살아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이 다 함께 진리를 깨달아 이고득락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영산재는 공연이 아닌 장엄한 불교의식임을 인식해야 한다. 즉, 삶과 죽음으로 갈라진 우리 모두가 불법 가운데 하나가 되어 다시 만날 것을 기원하며, 부처님 전(前)에 행하는 최대 최고의 장엄한 불교 의식이다.

북한산국립공원(서울)

북한산국립공원(서울)

10.1 Km    104267     2023-09-19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국문로 262

북한산은 1983년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총면적(도봉산 포함)은 80.669㎢다. 북한산의 정상은 백운대(835.6m)·인수봉(810.5m)·만경대(799.5m)로 조선시대에는 삼각산(三角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이는 최고봉 백운대(白雲臺)와 그 동쪽의 인수봉(仁壽峰), 남쪽의 만경대(萬景臺, 일명 국망봉)의 세 봉우리가 삼각형의 모양을 이루고 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삼봉산(三峰山, 세봉오리로 이루어진 산), 화산(華山, 꽃이 만발하는 산) 또는 부아악(負兒岳, 어린아이를 등에 업고 있는 모습) 등 역사적으로 여러 가지 이름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북한산으로 불리게 된 것은 조선 숙종 때 북한산성을 축성한 뒤부터라고 추정된다. ※ 백운대는 암릉구간이 많아 등산화 착용을 권장함.

복돈이 부추삼겹살

10.1 Km    3     2023-01-13

서울특별시 관악구 남현1길 68-14 남현빌딩

냉동삼겹살의 성지라고 불리는 식당인 복돈이 부추삼겹살은 부추와 같이 먹는것이 포인트인 식당이다. 특히 맛집으로 알려져 줄서는것은 기본이다. 싱싱함이 돋보이는 생삼겹살과 감칠맛을 업 시켜주는 부추무침의 조합이 환상적이다. 또한 이집은 된장찌개가 기본으로 나온다. 마무리로 먹는 볶음밥까지 맛있는 식당이다.

평창동 북악정

평창동 북악정

10.1 Km    24932     2024-06-12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창36길 6
02-394-2340

도심 속 푸른 자연을 만날 수 있는 곳이다. 30년 넘는 노하우가 고루 밴 양념갈비의 맛은 계절별로 바뀌는 푸짐한 찬과 어우러져 오감을 즐겁게 한다. 담소를 즐길 수 있는 라운지를 무료로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