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천각모텔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강천각모텔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강천각모텔

14.0 Km    22828     2024-01-30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팔덕면 강천산길 85
063-652-9930

전북 순창군 팔덕면의 대표 강천산은 호남의 소금강이라고 불릴 정도로 도처에 기봉이 솟아 있고 크고 작은 수많은 바위 사이의 폭포가 절경을 이룬다. 또 깊은 계곡과 울창한 숲은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고이 간직한 곳이다. 유서 깊은 강천사와 삼인대, 강천산 5층 석탑, 금성산성 등 문화 유적이 산재하고 여기저기 비경이 숨겨져 있다. 그곳에 식당과 같이 운영하는 강천각모텔이 있다. 온돌룸과 더블룸이 준비되어 있고 1층 식당이 있어 단체 여행객에게 편리함을 줄 수 있는 곳이다. 주변 관광지로는 식영정, 소쇄원, 강천산, 강천사, 강천산 서원, 허브 관광 농원, 구림장(3,8일) 등이 있어 관광 후 강천각모텔에서 숙박하기 용이하다.

강천각식당

14.0 Km    4833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팔덕면 강천산길 85
063-652-9920

전북 순창군에 위치한 강천각식당은 된장백반, 청국장백반, 산채비빔밥, 추어탕 등 다양한 메뉴를 선보이고 있다.

구장군폭포

구장군폭포

14.0 Km    17195     2024-01-19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팔덕면 청계리

구장군 폭포는 강천산 군립 공원 내 강천사에서 서남쪽으로 약 1.2㎞, 강천산 현수교에서 약 800m 상류에 있는 높이 120m의 웅장한 인공 폭포이다. 바위 사이로 두 줄기의 폭포가 흘러내리는 3단 폭포이며, 아래에는 소가 형성되어 있다. 전해지는 전설에 의하면 마한시대 9명의 장수가 전투해 패하자 이곳에서 자결을 시도하다 다시 결의를 다지고 전장에 나가 대승을 거두었다는 설이 전해진다.

병풍폭포

14.0 Km    28083     2024-01-24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팔덕면 강천산길 113

2003년 강천산군립공원에 있는 병풍바위에 조성된 인공 폭포로, 병풍폭포는 병풍바위에서 유래한 이름이다. 병풍바위의 전설에 의하면 강천사(剛泉寺)를 찾아가는 사람이 병풍바위 밑을 지날 때, 전생에 죄를 지은 사람은 바위가 자기에게로 넘어질 것 같은 생각이 들어, 지은 죄를 뉘우치고 사죄하는 마음이 든다는 이야기가 전해오며, 병풍바위 밑을 지나온 사람은 죄지은 사람도 깨끗해진다는 것이다. 병풍폭포는 높이 약 40m, 폭 약 15m, 낙수량이 분당 5톤에 이른다. 병풍폭포는 관리 사무소에서 약 100m 상류 쪽에 위치한 폭포이며 관리 사무소를 지나 약 100m 지점에 있는 강천산군립공원 내 6개의 폭포 중 첫 번째 폭포로, 이 지점에서부터 맨발로 걷는 코스가 시작된다.

낙덕정

14.1 Km    15534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북픙면 상송리

명종 즉위년(1545)에 을사사화가 일어나자 학자인 하서 김인후가 관직을 그만두고 세상을 피해 숨어 살던 곳이다. 김인후는 낙덕암 주위의 산세를 유난히 좋아했던 것으로 전하며, 자연을 즐기는 한편 후세들에게 성리학을 가르쳤다. 고종 4년(1900)에는 훗날 이곳에서 훌륭한 인재가 나올 것이라는 김노수의 예언을 따라 낙덕암 위에 정자를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석산리 마애여래좌상

석산리 마애여래좌상

14.1 Km    1541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적성면 석산리

석산리 마애여래좌상은 순창 구미마을에서 섬진강을 건너 불암산 중턱 바위에 새겨진 불상이다. 이 바위의 높이는 약 3m 정도 되며, 불상의 높이는 2.6m로 성인 남성보다 좀 더 큰 체구를 가지고 있다. 전체적으로 신체에 비하여 얼굴이 큰 편이며 앉아있는 모습으로 조각되어 좌상이라 한다. 얼굴은 정사각형에 가까운 편으로 눈은 마모되어 분명치 않으나 가늘게 뜨고 있는 듯하며 큼직한 코, 두툼한 입술과 이마 선을 따라 붉은색의 칠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신체는 얼굴에 비하여 작게 표현되었는데 어깨가 좁고 위축되어 있다. 오른쪽 어깨에는 아무것도 걸치지 않았으며 왼쪽 어깨에는 대의 자락이 걸쳐있다. 오른손은 결가부좌한 다리 아래로 내려가 있고, 왼손은 손바닥을 위로 하여 양 무릎 위에 살짝 올려놓았다. 제작 시기는 고려시대인 11~12세기경으로 추정된다. 2003년에는 가치를 인정받아 전라북도 문화재자료로 지정되었다. 주변에는 섬진강 외에 구암정, 용궐산자연휴양림 등이 있어 연계하여 관광할 수 있다.

명인관

14.3 Km    12953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41-13
063-538-8981

산나물, 고사리나물, 취나물, 뽕잎, 더덕 등 자연이 선물한 풍부한 재료로 만들어지는 전라도 향토음식 산채정식이 있다. 명인관 산채비빔밥의 특징은 산채 정식에 표고버섯 매운탕이 추가되어 있다는 것이다. 소고기를 양념장에 잘 버무려 준 후 냄비 안에 각종 재료와 담아놓은 후 표고버섯을 비롯한 각종 버섯들을 담고, 다시다 멸치로 끓인 육수를 부어 재료가 익을 때까지 끓이면 표고버섯 탕이 완성된다. 전라도 버섯 불고기는 각종 채소, 버섯과 함께 고기를 버무린 후 과일을 갈아 만든 특제 불고기 양념을 넣고 주물주물 버무린다. 이때 고기를 연하게 하기위해 키위를 넣는다. 특제 양념을 더한 뒤 뚝배기 양념에 재워둔 고기를 넣고 끓이면 전라도 버섯 불고기가 완성된다.

장미가든

장미가든

14.3 Km    4028     2023-07-27

전라남도 담양군 용면 추월산로 1284
061-381-2006

전골 메기찜 대한명인의 집, 담양군 모범음식점으로 선정된 장미가든은 시래기를 가득 넣은 고소한 메기찜으로 유명하다. 양념이 잘 배어있고 매콤하면서 부드러우면서도 민물고기 특유의 냄새가 나지 않는 생선살이 일품이다. 국물이나 시래기가 부족하면 리필할 수 있다. 빙어철이 되면 회, 무침, 튀김 등의 음식도 맛볼 수 있다. 메뉴는 메기찜, 붕어찜, 메기탕, 빠가탕이 주 메뉴이며 백숙, 닭도리탕도 맛볼 수 있다.

신세계회관 (구. 한일회관)

신세계회관 (구. 한일회관)

14.3 Km    13616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41-9
063-538-3515

신세계회관은 산채정식, 갈비탕으로 유명한 집이다. 1960년에 개업하여 주인이 직접 요리를 해왔다. 직접 농사지은 채소와 내장산에서 손수 캔 나물들, 손수 담근 장류로 무려 40종류의 상차림을 마련하는데, 반찬이 너무 많아서 “그릇이 포개져 나오는 집”으로 유명하다. 산생나물, 더덕구이, 홍어찜 등이 상에 오르는 산채정식을 비롯하여 산채돌솥비빔밥, 산채비빔밥 등이 있다. 이외에도 버섯탕, 해물파전, 도토리묵도 있다.

대궐식당

14.4 Km    4254     2024-01-18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내장산로 937
063-538-9488

대궐식당은 전북 정읍시 내장산로에 위치한 산채요리 전문점으로 40년 넘게 운영하고 있는 음식점이다. 내장산 골짜기에는 사람의 손을 타지 않은 갖가지 청정 산채가 많고 정읍 사람들은 내장산 곳곳에서 자라는 산채를 즐겨 먹는다고 한다. 대궐식당의 대표 메뉴인 산채비빔밥 또한 고사리, 취나물, 도라지, 더덕, 버섯 외 10가지의 산나물 등 내장산에서 자생하는 각종 산채를 이용하여 만든다. 신선한 재료로 더욱 맛이 좋고 믿고 방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