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2Km 2024-02-19
서울특별시 강남구 삼성로81길 30
피양콩할마니는 2호선, 수인분당선 선릉역 1번 출구 인근에 있다. 이곳은 평양 출신의 할머니가 수십 년간 운영해 온 비지 전문점으로 두부를 빼지 않은 되비지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맷돌로 직접 간 국내산 콩만을 사용하며, 모든 조미료를 넣지 않은 건강식을 선보인다. 콩비지와 피양 만두가 이곳의 대표 메뉴지만, 할머니가 옛날 방식을 고수하며 만들어내는 비지전골 또한 이 집의 역사를 느낄 수 있는 특별한 메뉴다. 음식을 주문하면 기본 찬으로 콩과 비지와 어울리는 양념게장, 두부조림, 김치, 깻잎, 연근 등이 나온다. 미쉐린 가이드 서울 2023에 랭크되었다.
14.2Km 2024-05-14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장안로 463
미스터 토일렛 심재덕은 세계화장실협회 창립을 기념하고자 30여 년간 살던 집을 허물고 변기 모양의 집을 지었고 그 이름을 바로 해우재라고 하였다. 해우재는 [근심을 푸는 집]이라는 뜻으로 사찰에서 화장실을 일컫는 해우소에서 비롯되었다. 2007년 건축가 고기웅의 설계를 토대로 공사하여 그해 완공하였으며, 변기 모양의 집 [해우재]는 2007년 기네스북 한국기록원으로부터 [가장 큰 화장실 조형물]이라는 기록을 인정받으며, 국내외 주요 언론으로부터 주목받아왔다. 미스터토일렛 심재덕 사후 유족이 그의 뜻을 받들어 수원시에 기증하였고, 수원시는 그 뜻을 기리기 위해 리모델링을 거쳐 수원시 화장실문화 전시관 해우재로 재탄생시켰다. 박물관 앞쪽에는 재미있는 변기 관련 조형물들이 있고, 해우재 어린이 체험관을 통해서 아이들과 함께 화장실 예절을 경험할 수 있다.
14.2Km 2024-07-31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영화동
조선 태종 때 도호부로 승격된 수원은 한성 4진의 하나였다. 한양을 중심으로 동서남북 방향인 광주, 강화, 수원, 개성에 진을 설치하여 수도 한양을 보위케 한 것이다. 그 수원 땅을 지키고 있는 화성은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되면서 역사적 가치를 높이고 있다. 또한 다양한 상설 공연을 진행하고, 매년 가을이면 수원 화성문화제를 개최하여 수원 화성을 알리고 있다. 팔달산(143m)을 중심으로 쌓은 화성(사적)은 총길이가 5,700m에 달한다. 화성은 단순한 하나의 ‘성’이 아니다. 역사적 의미와 함께 건축학적으로도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화성의 축성은 정조의 한과 효심에서 비롯됐다. 1762년 영조 38년 윤 5월 21일 사도세자는 당쟁으로 인하여 한여름 뒤주 속에 갇혀 8일 만에 죽었다. 사도세자의 아들 정조는 당시 11세였다. 할아버지 영조의 뒤를 이은 정조는 즉위 13년 만에 부친의 고혼을 위로하기 위해 묘를 양주 배봉산(지금의 서울시 전농동)에서 수원 화산으로 옮기고 수원을 자신이 이상으로 꿈꾸는 신도시로 건설하고자 정조 18년 정월부터 20년 9월까지에 걸쳐 성곽을 축성하였다. 화성은 조선 성곽 제도의 최고 완성형이다. 한국성곽 발달사에서도 가장 중요한 비중을 차지한다. 이 성은 석성과 토성의 장점만을 살려 축성됐다. 화성 축성에 매달린 선조들은 한국성곽의 약점을 보완하기 위해 중국과 서양의 축성술을 본뜨기도 했다. 이 성에 관련된 사항은 ‘화성 성역의궤’에 자세히 기록돼 있다. 화성의 건축과 관련하여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 바로 다산 정약용이다. 당시 30세였던 다산은 왕실 서고 규장각에 비치된 첨단 서적들을 섭렵하고 중국에서 들여온 『고금도서 집성』 5,000권을 참조해 새로운 성곽을 설계했다. 정약용은 거중기를 고안하기도 했다. 기록에 의하면 이 성에는 성문을 비롯, 48개의 시설물이 있었지만 현재 복원된 것을 포함해 41개의 시설물이 남아 있다. 보물 팔달문을 비롯해 팔달산을 둘러싼 시설 가운데 가장 높은 서장대, 화포를 감춰두고 적군에게 총을 쏘도록 축조된 남포루, 선조들의 정취가 가득한 방화수류정 등 200년 전 건물엔 조선의 문화 향기가 가득하다. 화성은 1997년 12월 4일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열린 유네스코(UNESCO)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창덕궁과 함께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됐다.
14.2Km 2025-04-09
서울특별시 송파구 위례성대로12길 6 (방이동)
02-415-7131
방이동 먹자골목 내에 위치한 우리강산은 참숯으로 구워 낸 고깃집으로 유명한 곳이다. 코스메뉴부터 단품메뉴까지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다. 코스메뉴는 총 5가지로, 모든 고기는 국내산 한우 1++만이 제공된다. 모든 코스메뉴에는 꽃등심이 제공되며, A코스는 꽃등심 스페셜, B코스는 한우양념, C코스는 안심살, 패밀리코스는 안심이 함께 제공된다. VIP코스는 국내산 한우 1++ 특수 부위로만 구성되어 있다. 이외에도 국내산 돼지양념갈비, 돼지생목살 등의 메뉴도 있으며, 곰탕, 수제갈비탕 , 육회비빔밥 등 식사메뉴도 준비되어 있다.
14.2Km 2021-03-15
서울특별시 송파구 백제고분로7길 28
02-420-7155
삼겹살을 무한리필로 먹을 수 있는 곳이다. 대표메뉴는 무한리필이다.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14.2Km 2025-04-25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남한산성로 43
메밀로43은 경기도 광주 남한산성 근처 중부농협 창고 옆에 위치한 메밀막국수 전문점이다. 내부는 깔끔하게 테이블로 되어 있으며 입구에 대기표 발급기에서 번호표를 받은 후 입장해야 한다. 메밀전, 수육, 막국수를 모두 맛볼 수 있는 세트 메뉴인 막국수 정식이 이 식당의 인기 메뉴이다. 방앗간에서 직접 짜온 들기름과 비법 맛간장을 사용하며 신선한 도드람 한돈 1등급 암퇘지만을 사용하여 수육을 만든다.
14.2Km 2024-02-16
서울특별시 강남구 역삼로65길 31
강남에서 일명 뽕족이라고 불리는 족발집이다. 매장이 주택 단지 내에 있어 주차장이 협소하다. 1층에 본관이 있고, 지하 1층 별관은 배달 전문 매장으로 구분되어 있다. 본관에 홀은 넓은 편이어서 동시 370석 수용이 가능하다. 모둠족발, 뽕족발, 양념족발을 맛볼 수 있으며 반찬은 셀프 코너에서 리필이 가능하다. 사이드 메뉴는 쟁반막국수, 참치김치찌개, 계란찜, 누룽지가 있다.
14.2Km 2025-03-19
서울특별시 송파구 올림픽로 44
송파문화원은 송파 문화의 품격과 가치를 높이고 역사적 보존 가치가 있는 유물 등에 대한 연구를 통해 과거와 현재, 미래를 이어가는 징검다리의 역할을 수행하는 곳이다. 지역 문화 예술의 수준 향상을 위해 송파구와 공동으로 한성백제문화제, 벚꽃축제, 낙엽축제, 송파문화예술축제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매년 개최함으로써 구민들에게 볼거리와 즐길 거리의 제공은 물론 소통과 화합의 통로를 마련해 오고 있다. 주민들의 문화 욕구 충족을 위한 160여 개의 문화예술 교양강좌와 우리역사바로알기 사업의 일환으로 지역 역사 기행 및 서울 5대 궁궐 투어를 운영하여 오고 있다. 매년 향토 사료집과 송파문화 책자를 발간하여 지역문화의 역사적 가치를 높이는 한편, 구민들의 문화 역량 강화를 위해 서화, 문인, 미술, 사진 등 각종 협회와도 유기적인 협조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14.2Km 2024-02-02
서울특별시 서초구 효령로 260 서초빌딩
하오차이는 서울특별시 서초동에 있는 중식당이다. 지하철 3호선 남부터미널역 5번 출구에서 가깝다. 주차는 매장 앞에 할 수 있고 발레파킹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대표메뉴는 나무망치로 내리쳐서 먹는 망치 탕수육이다. 식당 내부 1층은 주로 4인석 위주의 테이블이 있고 2층은 단체석이 있어 가족모임이나 회식이 가능하다. 코스를 주문하면 다양한 요리를 맛볼 수 있다. 이 외에 다양한 중식 요리가 준비되어 있다.
14.2Km 2025-01-06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78길 26
함경도 출신인 어머니의 손맛을 이어가고자 2007년에 영업을 시작한 북한 음식 전문 식당이다. 강남구 대치동 포스코 사옥 뒤편에 있으며, 대표 메뉴는 가릿국밥과 함흥냉면으로, '가릿'은 함경도 사투리로 '갈비'를 뜻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