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7Km 2025-07-18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오포로 49
부잣집설렁탕은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에 위치한 설렁탕 전문점이다. 사골 육수를 전통 가마솥 방식으로 3일에 걸쳐 끓여 내기 때문에 잡내가 없고 국물 맛이 깊다. 인공 조미료를 전혀 사용하지 않아 건강하게 먹을 수 있으며, 제주 무를 이용하여 깍두기와 김치를 직접 담근다.
8.8Km 2025-04-29
경기도 광주시 창뜰아랫길 31 (능평동)
경기도 광주 오포에 위치한, 가족끼리 럭셔리한 식사를 할 때 이용할 수 있는 시푸드(sea food) 전문 음식점이다. 입구 수족관에 있는 가재, 대게, 랍스터가 손님을 맞이한다. 상차림에 회, 돈가스, 샐러드, 감자요리, 꽃게 튀김, 고구마 튀김 등이 나온다. 와인 전문점처럼 많은 종류의 와인이 있어 식사에 알맞게 와인을 선택하여 즐길 수 있다.
8.8Km 2025-09-04
경기도 광주시 퇴촌면 가새골길 85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은 1998년 8월 14일 광주시 나눔의 집에 개관한 세계 최초의 전쟁 성노예 주제의 인권박물관이다. 일본군의 전쟁범죄행위를 고발하고, 피해자 할머니들의 명예회복을 위하여, 그리고 후손들에게 역사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기 위하여 세워졌다. 제1역사관은 지상 2층~지하 1층, 제2역사관은 지상 2층의 규모로 일반시민과 뜻있는 일본인들의 성금을 모아 건립되었다. 제1역사관은 총 5개의 전시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각 역사의 장, 증언의 장, 체험의 장, 기록의 장, 고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3전시공간인 체험의 장에서는 당시 피해자의 방이 재현되어 있고 그곳에서 쓰인 물건들도 함께 전시되어 있다. 화면으로 만나는 피해자 할머니의 증언은 당시 아픔을 전해준다. 제4전시공간인 기록의 장에서는 김학순 할머니의 1991년 육성 증언을 들을 수 있다. 이 증언을 시작으로 일본군 성노예제를 세상에 알리기 위해 많은 피해자들이 세상에 외치기 시작했다. 제2역사관은 피해자 할머니들의 유품전시관과 그림전시관으로 구분되어 있다. 피해 할머니들을 기억하기 위한 유품 전시장과 나눔의 집에서 보유하고 있는 할머니들의 그림 300여 점 중 20여 점을 선정하여 전시한 그림 전시장을 둘러볼 수 있다. 또한 피해 할머니들을 기억하고 추모할 수 있는 추모관과 피해 할머니들의 넋을 기리는 추모공원이 조성되어 있다. 추모공원에는 살아생전 고향땅을 밟아보지 못하고 돌아가신 할머니들의 넋이 노랑나비가 되어 귀향한 듯, 노란 포스트잇을 채운 추모의 글들이 벽면을 가득 채우고 있다. 야외 전시공간에는 일본군 성노예 피해자를 상징하는 최초의 소녀상 ‘못 다핀 꽃’이 돌아가신 피해자 할머니들의 흉상이 전시되어 있다. 한편, 나눔의 집은 태평양전쟁 말기, 일제에 의해 성적인 희생을 강요당했던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들이 모여 살고 있는 곳이다. 1992년 10월 서울특별시 마포구 서교동에 처음으로 개소하였으며, 1995년 12월 현재의 위치로 이전하여 생활관과 역사관, 법당, 수련관 등의 노인주거 복지시설을 신축하였다.
8.8Km 2024-10-14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새마을로 255
031-606-9955
‘분당 그린피아골프’는 경기도 분당에 위치하여 서울 강남으로부터 승용차로 30분이내에 도달할 수 있으며 자연을 최대한 살린 아름다운 조경과 깨끗하고 맑은 공기속에서 현대인의 건강을 지켜줄 수 있는 레저스포츠의 장으로서 역할을 담당하고자 한다. 비거리 350야드, 대규모 102타석의 골프연습장과 호텔급 수준의 시설을 갖추고 있는 분당 그린피아골프는 초보와 상급자 모두 만족할 수 있는 골프클럽을 만들고자 노력하고 있다.
8.9Km 2025-04-28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불당길 13
카페 화통은 경기도 광주시 불당길에 있는 인문 명리학 카페이다. 주차는 카페 화통 전용 주차장 또는 건너편 불당리 공영주차장을 이용하면 된다. 대로변에서 단층 건물로 보이지만 2층이고 뒤쪽으로 오면 계곡이 흐르고 야외 좌석이 있는 1층이 있다. 내부는 크진 않지만 깔끔하고 다양한 크기의 테이블이 여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이 카페는 백향차, 오감차, 대추차 등의 수제 화통 오행차와 커피, 허브티, 에이드 등의 다양한 음료가 있고 오행 찹쌀 파이, 가래떡구이 등의 디저트도 맛볼 수 있다. 인문 명리학 상담은 예약제로 운영 중이며 카페에는 반려동물을 동반할 수 있다. ※반려동물 동반 가능
8.9Km 2025-04-28
경기도 광주시 머루숯길 54 (신현동)
오로스커피로스터스는 매장에서 직접 로스팅한 커피와 직접 만들고 굽는 수제 디저트를 만드는 카페이다. 콜롬비아 스윗 넥타 핑크버번, 파푸아뉴기니 바로이다 등의 원두를 선택하여 먹을 수 있는 브루잉커피와 스페니쉬라떼, 오로스라떼, 아인슈페너, 크림라떼, 미숫가루라떼 등 이곳만의 인기메뉴들을 맛볼 수 있다. 또, 매장에서 직접 만드는 스콘, 쿠키, 케이크, 베이글 등의 디저트도 함께 판매하고 있다.
8.9Km 2025-04-25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불당길 49
포석정은 남한산성에 있는 토종닭과 오리요리 전문점이다. 대형 한옥 건물로 매장 앞에 넓은 주차장이 있어 편하게 주차할 수 있다. 외관은 전통적인 기와집에 소나무와 장독대 등으로 꾸몄으며, 내부는 깔끔하고 넓은 좌식 테이블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개별 룸이 많아 다양한 모임을 즐기기 좋다. 늘 사람이 많아 예약이 필수다. 반려동물을 동반할 수 있는 식당이다. 조리 시간이 긴 음식을 주문하거나 반려동물을 동반할 때는 인터넷으로 예약하면 편하게 이용할 수 있다. ※ 반려동물 동반가능
8.9Km 2025-04-29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불당길 22-29
경기도 광주에 있는 두부 전문 음식점이다. 20년 이상 숙성시킨 천연간수로 두부를 만든다. 두부와 함께 나오는 볶음김치는 땅속에서 6개월 이상 숙성시킨 김치로, 양념을 씻어내고 고춧가루와 들기름 등을 넣고 볶은 것이다. 식사하면서 창문으로 계곡을 볼 수 있다. 입구에 생콩을 갈아 만든 천연 두유 시식 코너가 있다. 식사하고 나오는 길에 계산대에서 두부와 천연 두유를 구매할 수 있다.
8.9Km 2025-07-03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읍 충렬로 9-19
충렬서원은 선조 9년(1576)에 지방 유림들이 뜻을 모아 정몽주[鄭夢周, 1337~1392]와 조광조[趙光祖, 1482~1520]의 학문과 덕행, 충성스러운 절개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충렬사[忠烈祠]에서 시작되었다. 충렬사는 정몽주와 조광조의 묘소 중간 지역인 죽전에 창건하였다. 임진왜란 때 화재로 소실된 후 선조 38년(1605) 경기도관찰사 이정구, 용인현감 정종선 등이 정몽주의 묘가 있는 모현읍에 옮겨 중건을 시작하였다. 1608년에 사당 3칸, 동재와 서재 각 2칸, 문루 3칸 규모로 완성하고 문루 위에는 강당을 지었다. 이 때 조광조의 위패는 새로 창건된 심곡서원으로 옮겨졌다. 광해군 즉위년(1608년)에 충렬서원으로 사액(임금이 사당, 서원 등에 이름을 지어서 새긴 현판을 내리는 일)되었고, 이후 정몽주의 손자 정보와 병자호란 때의 충신인 이시직을 추가로 모셨다. 고종 8년(1871)에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다가 1911년 사당이 중건되었고, 1956년에 강당을 복원하였으며 1972년 전체를 보완·신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사당 중앙에는 정몽주의 위패와 영정을 봉안하고, 좌·우 위에 정보와 이시직의 위패를 봉안하였다. (출처 : 국가유산청 홈페이지)
8.9Km 2025-03-14
경기도 광주시 남한산성면 불당길 62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한 리숨두부는 매장 바로 옆 계곡이 위치하여 자연을 만끽하며 식사를 할 수 있는 곳이다. 이곳은 두부 전문점으로 두부버섯전골, 검은콩국수가 주메뉴이다. 또한 리숨두부짬뽕, 숨두부, 시래기비지탕, 두부구이, 육전 등 다양한 메뉴를 즐길 수 있다. 케이지 및 애견유모차 동반 고객에 한해 애견 동반이 가능하며, 자리 예약과 인원 예약 등은 불가하고 현장에 온 순서대로 입장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