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1Km 2025-04-28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읍 도척로 58
최미자소머리국밥은 소머리국밥 전문점이다. 1981년 소머리국밥 단일 메뉴로 시작한 이 식당은 2000년 경기도 으뜸이로 선정되었다. 한우와 국내산 육우, 젖소를 혼합하여 푹 고아 낸 사골 육수에 소머리 고기가 듬뿍 들어가 푸짐하게 손님상에 제공하고 있다. 메뉴는 소머리국밥과 수육 두 가지 메뉴뿐이지만, 식사 시간이면 항상 대기가 있는 곳이다. 계산대에서 인원수를 말하고 대기 번호가 적힌 국자를 받아 기다리면 호명해 준다. 최미자소머리국밥은 재료 소진 시 영업시간을 조기 마감한다.
19.2Km 2025-04-28
경기도 광주시 도척윗로 35
태화산명가는 경기도 광주시 곤지암 도자공원 근처에 있는 숯불 닭갈비 전문점이다. 단독 건물로 매장 앞에 주차할 수 있다. 넓고 깔끔한 매장 안에는 테이블이 많이 있고 여유롭게 배치되어 있다. 이곳은 농림축산식품부 제공 안심식당으로 숯불닭갈비와 비빔막국수 전문점이다. HACCP 인증 냉장 닭을 사용하여 초벌 되어 나오는 닭갈비는 소금구이와 양념구이가 있고 직원이 직접 구워줘서 편하게 식사할 수 있다. 비빔막국수는 조미료가 첨가되지 않은 이곳만의 비법 양념과 함께 나온다. 이 밖에 냉모밀, 메밀전병, 사골메밀만둣국이 있다. 정갈하고 깔끔한 기본 반찬이 제공되고 추가 반찬은 매장 한쪽에 준비된 셀프 바를 이용하면 된다. 닭갈비를 추가하거나 포장을 원한다면 초벌 시간을 감안해서 미리 주문해야 한다.
19.3Km 2024-10-04
경기도 여주시 영릉로 125
세종국악당은 여주시에 있는 시립공연장으로 1990년에 건립되었다. 여주시민들의 문화예술 활동을 지원하고 증진하고자 여주시가 건립한 국악당은 지하 1층, 지상 1층 규모로 세워졌다. 좌석 수 388석의 공연장과 연습실을 보유하고 있는 국악당은 각종 문화 예술 활동의 거점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예술공연 등이 진행되고 있다. 특수 조명시설과 무대막, 영사 스크린, 피아노, 무대 음향 시설 등 공연에 필요한 부대시설이 잘 갖춰져 있어, 음악회와 공연, 연극, 전시, 강연 등 여주시민들이 수준 높은 문화예술공연을 즐길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대관 신청은 시설 확인 후 방문 신청 또는 이메일 접수를 통해 신청하면 된다. 주변에는 여주향교, 조선효종영릉재실, 여주 도예단지 등의 관광명소가 있으며, 이천쌀문화축제도 즐길 수 있다.
19.3Km 2025-03-20
경기도 여주시 능서면
영릉[寧陵]은 조선 제17대 효종대왕과 인선왕후 장씨의 능이며, 재실[齋室]은 제관[祭官]의 휴식, 제수장만 및 제기 보관 등의 제사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능의 부속건물이다. 효종대왕릉은 1659년 경기도 양주군 건원릉의 서쪽에 자리를 잡은 후 능호를 익릉[翼陵]으로 하였다가 영릉으로 고치고, 능을 조성할 때 능 앞에 재실을 건립하였다. 이후 1673년 석물에 틈이 생겨 현 위치로 옮겨오면서 재실도 함께 옮겨왔다. 현재 남아있는 조선 왕릉의 재실은 일제강점기와 6·25전쟁을 거치면서 대부분 멸실되어 원형이 훼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곳 영릉 재실은 조선 왕릉 재실의 기본형태가 가장 잘 남아있고, 공간구성과 배치가 뛰어나 대표적인 조선시대 재실건축으로 학술적·역사적 가치가 높이 평가된다. (출처 : 국가유산청 홈페이지)
19.3Km 2025-01-10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성당길 10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에 자리 잡은 매산마을은 서울과 경상도를 잇는 교통의 요지로 한때 관문 역할을 했던 곳이다. 이러한 마을의 이야기를 정겨운 그림과 글로 담아낸 담장 벽화는 매괴 성당으로 가는 길을 따라 이어져 있다. 벽화를 그린 주인공은 근처에서 궤짝 카페를 운영하는 화가와 그의 딸이다. 이들은 오래되고 낡은 마을 담벼락에 아랫마을과 안골, 윗동네 점말에 전해지는 다양한 이야기들을 소재로 그림을 그렸다. 옛 양수기에서 마을 아이들이 신나게 물놀이를 했던 모습이나 밤마다 도깨비들의 장난으로 괴이한 일들이 벌어졌다는 안골 골짜기, 마을 사람들이 옻이 오르면 목욕을 해서 깨끗하게 나았다는 옻샘 등 평범한 우리네 추억들이 보는 이들의 마음까지 따스하게 물들인다.
19.3Km 2025-03-06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성당길 10
감곡본당은 1896년 설립되어 100년이 넘는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곳이다. 초대 본당 임가밀로 신부는 파리 외방전교회 소속으로 1894년 첫 본당으로 유서 깊은 교우촌, 신학당이 있었던 여주 부엉골에 부임하게 된다. 본당 이전을 생각하던 중 사목 방문차 여주를 지나 장호원에 이르러 산밑에 대궐 같은 집을 보고 이곳이 본당 사목지로서 가장 적합하다는 것을 직감하게 된다. 그 즉시 임가밀로 신부는 “성모님 만일 저 대궐 같은 집과 산을 저의 소유로 주신다면 저는 당신의 비천한 종이 되겠습니다. 그리고 그 주보가 매괴 성모님이 되실 것입니다.”라고 기도 하였으며, 부엉골로 돌아가서 매괴 성모님께 끊임없이 청하였다. 당시 대궐 같은 집은 명성황후의 육촌 오빠인 민응식의 집이었고 1882년 임오군란 때 명성황후가 피신 왔던 곳이기도 하다. 1896년 5월 성모성월에 그 모든 집터와 산을 매입, 매괴성월인 10월 7일 본당을 설립하기에 이른다. 결국 임가밀로 신부가 처음에 기도한 대로 감곡본당을 성모님께 봉헌하여 이곳이 감곡매괴성모순례지성당이 된 것이다.
19.3Km 2025-03-25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성당길 10
매괴박물관은 감곡성당 안에 위치해 있으며, 100여 년의 유구한 역사를 자랑하는 성당으로 문화재로 지정된 대성당을 비롯하여 중부 지방 최초의 석조건물인 사제관과 많은 역사적인 서적 및 귀중한 가톨릭 유물등이 있으나 이곳저곳에 방치하여 오던 중 100주년을 맞아 역사적인 유물을 정리하여 후세에게 물려주고 또한 감곡성당을 방문하는 모든 이에게 보여주는 교육의 장으로 이용되고 있다.
19.3Km 2025-04-08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장감로132번길 22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에 있는 재래시장이다. 조선시대 충주목 거곡면 지역의 왕장리는 오늘날 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 왕장리가 된다. 청미천을 경계로 충청북도 음성군 쪽을 음성장호원, 경기도 이천시 쪽을 이천 장호원이라고 부르고 있다. 과거에는 장이 열리는 지역 명칭의 특성상 감곡장을 왕장장이라 칭하기도 하였다.
19.3Km 2024-12-27
경기도 안성시 고삼면 삼은길 40
경기도 안성시 고삼면에 위치한 고삼저수지에 인접한 2층 카페로 넓은 호수를 조망할 수 있는 호수 뷰 카페이다. 건물과 호수 사이의 벤치, 나무, 파라솔 등이 SNS 사진 찍기에 알맞다. 핑크물리가 꽃을 피우는 시기면 핑크빛 모습과 호수가 잘 어울린다. 내부에 들어서면 황토집 건물 외관과는 다른 북유럽의 거실 같은 분위기다. 집주인이 키우는 사모예드 종의 반려견이 애교를 부린다. 노을이 지는 저녁에 호수로 너머로 지는 노을이 멋있는 카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