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Km 2024-06-28
충청북도 음성군 대동로537번길 102
EQ바스 LAVACRO cafe 라바크로카페는 충청북도 음성군 대소면 부윤리에 있다. 우리나라의 유일한 욕실 산업의 메카 BATH EXPO 테마파크의 10개 동 가운데 10동에 있는 카페다.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외관과 고급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아메리카노다. 이 밖에 피자, 스파게티, 파니니 프레쉬, 살라메 브레이드 브로첸 등을 맛볼 수 있다. 금왕꽃동네IC에서 가깝고, 인근에 백야자연휴양림, 음성 흥미진진한 팩토리 투어센터, 무극전적국민관광지 등이 있다.
11.3Km 2024-11-21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진상미로665번길 95-14
성호호수 연꽃단지 부근에 위치한 와우목장은 낙농체험과 카페를 이용할 수 있는 체험 목장이다. 1972년부터 친환경 순환 낙농으로 경기도 친환경 우수 목장상을 수상하고, 친환경 농산물 인증-무항생제 축산물, HACCP 인증서를 보유하고 있는 와우목장은 아이들에게 자연과 우유의 소중함을 알려주고자 철저한 방역을 기반으로 목장을 오픈하고 와우밀크스쿨체험을 진행하고 있다. 예약제 원칙으로 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개인과 단체로 구분하여 체험예약을 받고 있다. 젖짜소(젖짜기 체험장), 젖주소(우유주기 체험장), 풀주소(풀주기 체험장), 유제품체험장(쿠킹클래스), 포토존, 카페 등의 체험 및 휴게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목장은 청결히 관리되어 냄새가 거의 나지 않을 정도로 쾌적하다. 체험 프로그램은 1일 2부제로 오전과 오후 타임으로 나뉘어 운영하며, 어미소 젖짜기, 송아지 우유주기, 건초 주기 등의 교감 체험과 스트링치즈 만들기, 아이스크림 만들기 등의 쿠킹 체험이 있고 우유120ml가 제공된다. 체험 후에는 와우밀크스쿨 수료증도 발급받을 수 있다. 또 2층 규모의 건물과 야외테라스를 갖춘 애견 동반 카페인 와우목장 카페에서는 체험 전후로 차와 음료, 목장에서 생산한 요거트와 치즈 등 유제품을 먹으며 휴식을 취할 수 있다.
11.4Km 2024-06-03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텃골길 105
쌍미륵사는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국사봉 산 중턱에 고즈넉하고 아담하게 자리하고 있는 사찰이다. 그곳에 들어서면 절 입구에 갓을 쓴 미륵불 2구가 오는 이들을 반기고 있다. 절 입구 정면에 있는 요사채 뒤편의 2층 석축 위에 10m 간격으로 나란히 세워져 있는데 이 2구의 미륵불을 기슬리 석불입상이라고 하며 남자 미륵불이라 불리는 키 5.4m의 미륵과 여자 미륵불이라 불리는 5m 높이의 미륵이 나란히 함께 서 있기 때문에 쌍미륵불이라고도 불린다. 기슬리 석불입상은 커다란 돌기둥에 불상 2구가 같은 형식으로 조각되어 남북으로 놓여 있다. 높이가 약 5.7m로 매우 길어 보이는 느낌을 준다. 이 두 석불은 모두 민머리로 그 위에 지혜를 상징하는 상투 모양의 육계가 튀어나와 있으며 얇은 자연석을 둥글게 가공하여 갓으로 사용하였다. 사각형의 비대한 얼굴에 가는 눈, 삼각형의 짧은 코, 두터운 입, 짧은 귀 등 윤곽이 뚜렷하고, 목에는 번뇌와 업, 고난을 상징하는 삼도가 선명하다. 법의는 두 어깨를 가린 통견으로 원통형의 신체를 감싸고 있다. 손 모양은 중생의 모든 불안을 없애주고 소원을 들어준다는 자세를 하고 있다. 이 석불입상은 고려 시대의 전형적인 지방 양식으로 안성지역에는 이러한 석불입상이 다수 남아있다. 석불입상 옆으로는 쌍미륵사의 용화전이 조용히 자리하고 있고 경내에 각기 다른 모습과 표정의 오백 나한들이 있는 오백 나한전과 흐뭇한 표정을 짓고 있는 산신을 모신 산신각이 있다.
11.4Km 2025-03-16
충청북도 음성군 생극면 팔성길 90-16
지천서원은 생극평야를 바라보며 ‘부마팔현지(扶馬八賢址)’라 지칭되는 곳에 위치하고 있다. 조선 종 때 이조 참판을 지낸 십청헌 김세필이 벼슬에서 물러나 팔성산 아래 초옥을 짓고 산수를 벗 삼아 여생을 보내며 후학을 교육하였는데 이것이 지천서원의 시초이다. 지천서원은 운곡서원과 함께 이지방 유림의 대표적 전당이 되어 왔다. 이 서원은 대원군 당시 서원철폐령으로 폐원되었다가 1893년 단을 만들고 1906년 재건되었으며, 1963년 중수하였다. 팔성산을 배경으로 남동향을 하고 있는 이 서원은 배치기법상 산중턱의 높은 경사면을 이용하여 3단으로 정지하고 있으며, 정지된 그 첫째 단에는 강당인 공자당(工字堂)이 위치하고, 그 좌측으로 정지된 둘째 단에는 솟을삼문을 배치하였다. 또 이 삼문을 지나면 높게 축조된 기단상에 사당을 배치하고 있는데, 이는 사당을 중심으로 강당이 우측에 위치하고 있는 좌묘우당식의 배치법을 따르고 있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1칸 반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으로 앞의 1칸은 툇간이다. 공자당(工字堂)은 정면 4칸, 측면 1칸 반, 앞의 1칸은 툇간인 팔작지붕의 목조기와집으로 ‘모현당(慕賢堂)’이라는 편액이 걸려있고, 마루방 천장 벽에는 중수기가 걸려 있다. 솟을삼문은 정면 3칸, 측면 1칸 맞배지붕의 목조기와집으로 ‘경모문(景慕門)’이라는 편액이 걸려 있으며, 삼문 옆에는 ‘지천당묘정비(知川堂廟庭碑)’가 있다. 지천서원 입구에 홍살문(紅箭門)과 하마비(下馬碑)가 있으며, 홍살문 서쪽 편으로 광해군 13년(1621년)에 세운 ‘현감김공의청백선정비(縣監金公疑淸白善政碑)’가 있다.
11.4Km 2024-12-03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백암면 삼백로
죽주는 고려 시대 죽산 지역의 지명으로 교통의 요지였을 뿐만 아니라 삼국시대부터 전략적 요충지였다. 죽주산성은 신라 때 내성을 쌓고, 고려 때 외성을 쌓았다고 하는데 세 겹의 석성이 지금도 남아있고 보전 상태가 매우 좋다. 죽주산성의 북포루는 드라마가 촬영될 정도로 탁 트인 전망과 초원이 절경인 곳이다. 죽주산성을 내려오면 매산리로 접어드는데 매산리는 과거 죽산 지역으로 다양한 고려문화재 자원이 남아있어 고려문화의 향기를 진하게 느껴 볼 수 있다.
11.6Km 2024-08-07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화산동길 18
할머니집은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계리에 자리 잡고 있다. 대표 메뉴는 직접 담근 보리쌀 고추장에 포슬포슬한 수미감자, 신선 오리 목살을 함께 넣고 충청도 스타일로 짜글짜글 끓여먹는 오리 목살 감자 짜글이다. 이 밖에 보리쌀 고추장으로 신선한 오리를 양념해 철판에 구워 먹는 보리쌀 고추장 오리 주물럭도 별미다. 재료 소진 시 일찍 문을 닫을 수 있다.
11.6Km 2025-04-24
경기도 안성시 삼죽면 텃골길 80-100
국사암은 안성 삼죽면 국사봉에 자리한 사찰이다. 안성은 미륵(중생을 구제할 미래의 부처) 불이 많아 미륵의 고장으로도 불린다. 이는 미륵부처를 주불로 숭상하는 법상종의 중심지였기 때문이다. 현재 등록된 미륵만 18기에 이른다. 칠현산과 마주하고 있는 삼죽면 국사봉 궁예미륵은 ‘국사암 석조여래입상’이라고도 불리며 궁예가 좌우로 문관과 무관을 거느린 형상을 하고 있다. 이는 궁예가 안성 죽산 일대에서 후고구려를 건국하면서 스스로를 미륵이라고 했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되었다. 석조여래입장의 크기는 약 3m로 머리에는 3단의 원형으로 만든 보개(불상의 머리 위를 가리는 장식)가 올려져 있다. 불상의 얼굴은 타원형으로 귀는 크게 만들어 어깨까지 늘어져 있다.
11.7Km 2025-01-21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 진안로 165-16
캠핑코리아는 경기도 안성시 금광면에 자리 잡고 있다. 장비 없이 떠날 수 있는 곳으로 캠핑장에서 모든 캠핑 장비 대여가 가능하다. 취사가 가능하며 개별 바비큐도 이용할 수 있다. 계곡을 끼고 있어 여름철 물놀이를 하기에도 좋다. 애견 동반이 가능한 글램핑장이라 반려견과의 여행 장소로 적합한 곳이다. 오후 11시부터는 매너타임으로 이때에는 소음에 유의해야 한다.
11.8Km 2024-02-22
경기도 안성시 삼흥로 148
더뷰는 금광호수가 보이는 다이닝카페로, 1층은 식사를, 2층과 테라스는 카페로 이용할 수 있다. 내부 통유리창 너머로 금광호수가 넓게 펼쳐진 모습이 보인다. 스테이크부터 샐러드, 리조또, 파스타, 화덕피자까지 다양한 메뉴가 준비되어 있다.
11.9Km 2024-08-07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신척서길 27-3
짬뽕 대장은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에 자리 잡고 있다. 대표 메뉴는 차돌박이와 해물이 어우러진 대장 짬뽕이다. 이 밖에 왕갈비 짬뽕, 해물짬뽕, 짜장면, 간짜장, 볶음밥, 군만두, 유린기, 양장피, 탕수육 등을 맛볼 수 있는 곳이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고, 예약도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