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백가든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송백가든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송백가든

송백가든

17.1 Km    18108     2023-10-26

충청북도 진천군 이월면 진안로 362-6
043-536-2233

이월 저수지를 끼고 안성 방향으로 가다 보면 천룡 골프장 앞에 위치한 송백가든을 찾을 수 있다. 전원 카페를 연상하게 하는 예쁘고 현대적인 느낌의 하얀색 외관의 식당 건물이다. 진천군 쌀밥 집과 충북 모범업소로 지정된 음식점이다. 능이백숙, 청국장, 간장게장정식 등의 한식 메뉴를 판매하고 있다.

백마권역마을

백마권역마을

17.2 Km    4397     2023-04-03

충청북도 괴산군 사리면 사리로 517

백마권역마을은 백마산과 백마저수지의 정기가 서린 마을. '물'과 '생명'의 소중함을 일깨워주는 각종 체험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숙박, 물놀이, 생태체험, 먹거리체험 등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며 단체 체험행사 외에도 매년 1월 정기적으로 『백마권역 겨울놀이축제』를 개최하여 교류의 장을 마련하고 있다. 백마권역은 도시민의 건전한 여가생활 창출과 지역사회의 활력증진을 위하여 활동을 하는 곳이다. 청정지역 괴산의 싱그러운 정취와 백마산과 백마저수자의 힘찬 기운, 백마권역의 생동감있는 체험현장을 만나보시기 바란다.

안성죽산리당간지주

17.3 Km    17827     2023-10-31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당간지주는 부처와 보살의 공덕과 위신을 기리는 장엄용 불교 용구인 당(일종의 깃발)을 달기 위한 당간을 고정해 주는 두 개의 지주대를 말한다. 주로 절의 입구에 세워져 있다. 안성죽산리당간지주는 보물로 지정된 안성 봉업사지 5층 석탑 앞 약 30m 떨어진 자리에 있으며 높이 4.7m, 가로 0.76m, 세로 0.5m이다. 전체적으로 거칠게 다듬어 정연하지는 못하다.하지만 규모가 상당히 크고, 봉업사를 크게 중창할 때 함께 제작한 것으로 보여, 고려 초기에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 당간지주는 기단부를 확인할 수는 없지만 고려 시대 들어와 세련되고 장식적인 외관보다는 안정적이고 기능에 충실한 당간지주를 건립하는 변화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

17.3 Km    19330     2024-06-14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148-5

안성 봉업사지 오층석탑은 안성시 죽산면 봉업사 터에 있는 고려시대에 조성된 석조 불탑이다. 봉업사는 남한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고려 태조의 진전사원 (왕이나 왕비를 위한 사당)으로 우리나라에서 단일 유적으로는 가장 많은 유물이 출토된 곳이다. 봉업사란 말 그대로 나라를 창업하면서 받들던 절이란 뜻이며, 고려 창업을 기념한 국사찰이었으며 왕건의 영정이 봉안되어 고려가 망하기 전 475년 동안 고려 왕실에서 한 해도 빠짐없이 선왕에 대한 예를 올렸던 기록이 있다. 석탑은 단층 기단 위에 5층의 탑신부가 형성되고, 정상에 상륜부를 장식한 일반형 석탑이다. 기단은 하나로 짠 두툼한 널돌 위에 올려 완성하였는데, 석재가 두툼한 탓에 전체적으로 둔중한 느낌을 준다. 기단 위 탑신은 1층 몸돌만 4장으로 이루어졌고 나머지는 한 돌로 구성했다. 각 층의 네 모서리에는 폭이 좁은 기둥을 새겼다. 탑의 전체적인 체감도 적당하지 못하고, 각 부의 조각도 형식에 그치고 있다. 신라의 양식을 계승하고 있는 까닭에 석재의 조합 방식은 우수하지만 기단에 새긴 조각이 형식화되는 점 등에서 약화되고 둔중해진 고려석탑 특유의 모습이 나타난다.

진천 이시발 신도비

17.3 Km    17470     2023-12-07

충청북도 진천군 초평면 용정리

신도비란 임금이나 고관의 평생 업적을 기록하여 그의 무덤 남동쪽에 세워두는 것으로, 진천 이시발 신도비는 조선 중기의 문신인 이시발 선생의 행적을 기리고 있다. 진천군 용정리 마을 한쪽에 자리하고 있으며 보호각을 세워 그 안에 비석을 두었다. 이시발은 조선 선조, 광해군, 인조 등 3대 왕을 잘 섬기면서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고 지방민들을 평온히 하였다. 그의 공을 찬양하여 효종 9년에 세워졌으며 비문은 송시열이 지은 것이다. 이시발은 선조 22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에 등용되고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 박춘무와 함께 공을 세웠으며 선조 29년 10월에는 이몽학의 난을 평정하였다. 또한 함경 감사로서 북변을 방어하기 위해 포대와 성곽을 보수하였고, 이괄의 난 때에는 체찰부사로서 난을 수습하는 데 공을 세웠으며, 남한산성의 역사를 감독하다가 순직하였다. 그가 죽은 후 그의 부친의 묘를 초평면 용정리로 이장하였는데 자손이 늘어나면서 자연히 그의 일족에게 초평 이씨라는 호칭이 붙게 되었다.

안성 봉업사지

17.3 Km    17736     2024-04-30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

비봉산 자락의 죽산면 죽산리에 있는 봉업사지는 1966년 경지정리 작업을 하다가 출토된 향완과 반자에서 이곳이 봉업사였음을 말해주는 명문이 발견되어 비로소 봉업사지로 알려지게 되었다. 이 절의 명칭이 중요한 이유는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 말하는 [고려 태조의 진영을 모셨던 비봉산 아래의 봉업사]가 바로 이곳임을 밝혀주는 것으로, 사찰의 중요성이 증명되는 일이기 때문이다. 태조의 진영을 모셨다는 것은 이곳이 진전 사원이었다는 의미인데 진전 사원이란 왕실의 의지에 따라 죽은 왕의 진영을 모시고 위업을 기리며 명복을 비는 사찰로 태조의 진전 사원은 전국의 이름난 사찰(개성의 봉은사, 논산 개태사 등)에 두었다. 지금은 그 터만 남아있어 황량하지만 봉업사가 결코 만만한 사찰이 아님을 밝혀주는 것이다. 봉업사지 5층 석탑은 고려 시대 초기 탑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경기도 내의 탑들 중에 가장 조형미가 뛰어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특히 1968년 복원공사 때는 사리 장치와 유물이 발견되었다. 사지의 석불입상은 죽주산성 아래 쓰러져 있던 것을 봉업사지로 옮겨와 세웠다고 하는데 고려 초기에 유행했던 지방 불상 양식의 특징을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자료로 몸체를 약간 뒤로 젖히고 가슴을 내밀어 꼿꼿하게 서 있는 모습이 매우 당당하다. 봉업사지 삼층석탑은 밭 한가운데 서 있는데 기단 면석 아래는 땅에 묻혀 온전한 모습을 알기 어렵고, 혜소 국사와 연관이 있다고 전하나 확실하지는 않다. 마을 사람들은 석불과 삼층석탑을 기자 신앙의 대상으로 삼았던 같고 가까운 곳의 태평미륵과 함께 곳곳이 기자 신앙의 흔적인 것으로 추측된다. 2023년 7월까지도 봉업사지는 사적 지정을 위한 문화재 조사가 한창 진행되고 있다.

증평 광덕사

증평 광덕사

17.3 Km    28221     2023-12-07

충청북도 증평군 도안면 상그린로 239

광덕사는 법화종 소속의 사찰이며 보광산이라는 야산에 있다. 사찰의 전면에는 넓은 들판이 만들어져 있는데 이곳에서는 오래된 기와 편 등이 발견된다고 한다. 이곳에 있는 석불은 오래전부터 영험하다는 소문이 있어 주위 마을들이 찾아와 예불을 드렸다고 한다. 그때 이곳을 미륵당이라고 부르고 사명은 천광사라고 했다고 전한다. 현재의 광덕사는 1949년에 만들어졌으며 이후 사찰은 동네의 명칭을 따라 광덕사라고 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 사찰의 역사는 그리 오래되지 않았으나 석불입상은 고려 시대에 만들어진 것으로 이곳에 계속 자리를 잡고 있었다. 한자리에서 천여 년을 비바람과 더불어 지키고 있다. 이 불상은 현재 충청북도 시도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그 조각이 매우 힘 있고 웅건하며 그 세부 조각은 섬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고려 시대에 이곳에 사찰이 조영되었다면 매우 거대한 사찰이었음이 분명하다고 할 수 있다. 현재는 석불만이 그 당시의 사찰을 얘기해 주고 있다.

비채커피

비채커피

17.4 Km    0     2023-12-13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솔고개로 737

비채 커피는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신효리에 위치한 카페이다. 대표 메뉴는 에스프레소이고 아메리카노, 카페라테, 카푸치노 등이 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가지기 좋고, 예약도 가능하다. 반려동물과 동반 입장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와우목장

와우목장

17.4 Km    1     2023-12-11

경기도 이천시 설성면 진상미로665번길 95-14

성호호수 연꽃단지 부근에 위치한 와우목장은 낙농체험과 카페를 이용할 수 있는 체험 목장이다. 1972년부터 친환경 순환 낙농으로 경기도 친환경 우수 목장상을 수상하고, 친환경 농산물 인증-무항생제 축산물, HACCP 인증서를 보유하고 있는 와우목장은 아이들에게 자연과 우유의 소중함을 알려주고자 철저한 방역을 기반으로 목장을 오픈하고 와우밀크스쿨체험을 진행하고 있다. 예약제 원칙으로 자체 홈페이지를 통해 개인과 단체로 구분하여 체험예약을 받고 있다. 젖짜소(젖짜기 체험장), 젖주소(우유주기 체험장), 풀주소(풀주기 체험장), 유제품체험장(쿠킹클래스), 포토존, 카페 등의 체험 및 휴게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목장은 청결히 관리되어 냄새가 거의 나지 않을 정도로 쾌적하다. 체험 프로그램은 1일 2부제로 오전과 오후 타임으로 나뉘어 운영하며, 어미소 젖짜기, 송아지 우유주기, 건초 주기 등의 교감 체험과 스트링치즈 만들기, 아이스크림 만들기 등의 쿠킹 체험이 있고 우유120ml가 제공된다. 체험 후에는 와우밀크스쿨 수료증도 발급받을 수 있다. 또 2층 규모의 건물과 야외테라스를 갖춘 애견 동반 카페인 와우목장 카페에서는 체험 전후로 차와 음료, 목장에서 생산한 요거트와 치즈 등 유제품을 먹으며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청평가든

청평가든

17.4 Km    1     2024-01-26

충청북도 충주시 솔고개로 739

청평가든은 충청북도 충주시 노은면 신효리에 있다. 토속적인 느낌의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더덕과 돼지고기가 어우러진 더덕 고추장 불고기다. 이 밖에 제주흑돼지 오겹살, 생삼겹살, 한우 등심, 해장국, 설렁탕, 냉면 등도 맛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