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암사(김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청암사(김천)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청암사(김천)

19.2 Km    42450     2023-11-03

경상북도 김천시 증산면 평촌2길 335-48

청암사는 불영산에 자리 잡고 있으며 대한불교조계종 제8교구 직지사의 말사로 신라 헌안왕 3년(859) 도선국사가 건립한 고찰이다. 사적에 따르면 조선 인조 25년(1647) 화재로 전소되었으나 벽암 각성스님이 이 소식을 듣고 허정 혜원스님으로 하여금 재건토록 하였으며, 이에 혜원스님이 심혈을 기울여 청암사를 중창하였다. 그 후 숙종의 정비 인현왕후가 서인으로 있을 때 청암사 극락전에서 특별기도를 올린 인연으로 왕실과 밀접한 관계를 맺게 되었고, 불영산의 적송산림이 국가보호림으로 지정되어 궁에서 무기 등이 하사되었으며 조선시대 말까지 상궁들이 신앙생활을 하던 곳으로 유명하다. 고종 9년(1905) 주지 대운당스님이 잠결에 빨간 주머니를 얻는 꿈을 꾼 후 한양에 가니, 어느 노보살님이 자신이 죽은 후에 염불을 부탁하며 대시주를 하였다. 이로 인해 대운당스님은 쇠락한 극락전을 중건했다. 현재 대웅전과 육화전·진영각·정법루·일주문·사천왕문·비각·객사 등이 있으며, 경상북도 문화재자료로 대웅전과 다층석탑이 지정되었다. 석탑은 본래 4층이나 5층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는데, 1층에 불상이 양각되어 있다. 청암사는 1660년경 모운진언조사에 의해 설립된 청암사승가대학을 운영하였으며 400여년의 전통을 이어 1987년 비구니승가대학을 설립하였다. 천혜의 자연 환경 속 불법울 수행하고, 자급자족하는 생활을 실천하며 한국 불교를 이끌어 갈 주역을 배출하고 있다. 또한 시민대상의 템플스테이를 운영한다. 예불, 108배, 사찰일상, 태극권, 사찰음식, 다도, 걷기명상, 범종체험, 법고체험 등으로 구성된 수행을 동반한 체험 프로그램이다. 주변에는 2015년 김천시가 조성한 인현황후 둘레길이 있다. 인현왕후가 3년간 머물며 산책하던 길을 따라 청암사에서 수도암까지 8.1km로 약 2시간 30분 소요되며 사찰 방문과 더불어 조용한 숲길을 산책하기를 권한다.

거창스포츠파크

19.2 Km    6641     2023-02-17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심소정길 39-36

거창스포츠파크는 23만㎡의 부지에 조성된 복합문화공간이다. 체육시설 뿐만 아니라 잘 꾸며진 도심 속 공원에서 조각품을 감상할 수 있는 문화시설도 갖춰져 있어 가족단위 나들이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야외학습장으로 인기가 높다. 주경기장인 종합운동장은 공인 제2종 육상경기장으로 1만 1천여명을 수용할 수 있고, 체육관, 수영장, 탁구장, 테니스장, 게이트볼장, 궁도장, 골프연습장, 족구장, 인라인장, 사격장, 농구장 등 다양한 체육시설을 갖추고 있다. 거창스포츠파크는 매력있는 미래가치 창조로 거창 군민들의 자긍심 향상과 생활속에 녹아있는 친숙한 시설로 나날이 그 가치가 입증되고 있다. 또한 체육 동호인들로부터 주목받는 전국적인 체육시설로도 자리매김해 나가고 있다.

거창 둔마리 벽화 고분

19.3 Km    18785     2024-05-03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대촌1길

금귀봉(827m)의 동남쪽으로 뻗어있는 산등성이에 자리 잡고 있는 무덤으로 이 일대는 석장골 또는 재궁골이라 불리던 곳이다. 고분의 모양은 능선 상의 좁은 평지 위에 방형으로 지대석을 설치하고 그 위에 호석을 올려놓고 봉토를 쌓은 방형호석 형태이다. 석축의 동쪽, 서쪽에 2구의 석인이 있는데 동쪽 석인은 높이 232㎝로 두관)을 착용한 문인석으로 이목구비가 뚜렷한 형상이다. 서쪽의 석인은 가슴 윗부분이 절단되고 하반신만 남아 있으나 동편과 비슷한 형태로 보인다. 근처에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일반인들의 무덤들이 여기저기 흩어져 있으며, 둔마리고분은 발견 당시에는 파괴가 심하였으나 지금은 원래의 모습대로 복원되었다. 무덤 내부 구조는 상자형 쌍돌덧널로 먼저 땅을 판 후 판석으로 벽을 두르고 그 안에 덧널을 설치한 굴식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으로 서쪽에 있던 덧널에는 나무로 만든 널이 1개가 들어 있었으며 동쪽 돌덧널은 비어 있었다고 한다. 양쪽 돌덧널 모두 벽면에 회칠을 하고 흑·녹·갈색으로 인물을 그린 벽화가 있고, 동쪽 돌덧널의 동쪽 벽에는 선녀 6명의 모습이 그려져 있으며, 북쪽 벽에 글자가 희미하게 나타나 있다. 서쪽 돌덧널의 서쪽 벽에는 여자 2명, 남자 1명의 얼굴이 그려져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벽화의 내용은 악기 연주 그림으로 붓의 움직임이 자유롭고 생기가 있으며, 불교의 사상이 중심이 되면서 도교의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 개성 근처의 법당방에서 발견된 벽화와 함께 몇 안 되는 가치 있는 고려 벽화무덤으로, 둔마리 고분 벽화는 피장자의 신분 등을 알 수 없는 점이 아쉬우나 그 당시 회화사 및 복식연구에 귀중한 유적으로 1971년 발견되어 그 이듬해 발굴조사되어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봉천식당

19.3 Km    13230     2023-07-27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강남로 114
055-944-5316

봉천식당의 메인 메뉴는 두 가지로 두루치기와 돼지불고기다. 메뉴의 가격은 주인이 장사하는 동안 한 번도 올리지 않았다. 그래서인지 주변 상인들에게 인기가 좋다. 주변볼거리로는 거창박물관, 거창사건추모공원, 거열산성, 양평리 석조여래입상, 가조온천 등이 있다.

거창추어탕

19.3 Km    14256     2023-01-13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강남로 114
055-943-0302

경상도 거창식만의 특별한 노하우로 만든 전문 추어탕집이다. 거창식 추어탕은 시원하고 담백한 맛을 자랑한다. 여러 방송국에도 유명 맛집으로 소개되었고, 또한 전국화된 남원추어탕에 도전장을 내고 경상도 추어탕만의 맛을 전국에 소개하고 있다.

항아리왕갈비

19.4 Km    14036     2023-09-06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강변로 285
055-944-0043

항아리 왕갈비는 돼지갈비전문 음식점이다. 갈비에 들어가는 양념은 생과일과 천연재료만을 사용하고 있으며, 갈비는 기본적으로 3일간 저온숙성시킨 돼지갈비만을 사용한다. 항아리 왕갈비 앞에는 스포츠 파크가 있으며, 덤으로 경치 좋은 풍경을 구경할 수 있다. 주변 관광지로는 거열산성 군립 공원, 수승대 국민관광지, 덕천서원, 수승대 국민관광지, 건계정 등이 있다.

금호추어탕

19.4 Km    13716     2023-09-06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강남로1길 196-10
055-944-8005

금호 추어탕은 이식 승인을 받은 국내산 미꾸라지와 민물고기만을 사용해 음식을 만드는 추어탕 전문음식점이다. 추어탕뿐만 아니라 일반 식재료도 모두 국내산을 사용한다. 국산콩으로 메주를 떠 직접 만든 집간장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천연조미료를 사용한다. 서민들이 즐겨먹는 음식이라 반찬 또한 향토음식에 맞춰 토속적이며, 고향의 맛을 느낄 수 있는 정겨운 7가지 찬들로 구성하였다. 금호 추어탕 근처의 볼거리로는 거열산성 군립 공원, 수승대 국민관광지, 덕천서원, 수승대 국민관광지, 건계정 등이 있다.

서상장 (4, 9일)

서상장 (4, 9일)

19.4 Km    9908     2023-12-14

경상남도 함양군 서상면 서상로 266
055-960-6595

서상은 전라북도 장수군과 인접하고 있어 시장일에는 전라도에서 많은 장꾼과 사람들이 육십령 고개를 통해 서로 어울리고 있다. 시장에서 구매할 수 있는 품목은 농산물과 잡화류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서상에서 유명한 송이버섯과 청정 쌀, 씨 없는 곶감 등의 지역 특산물도 구매할 수 있다.

대가집

대가집

19.4 Km    1     2024-02-21

경상남도 함양군 칠형정뒷길 24

가게 앞 넓은 주차장을 구비한 대가집은 함양 서상면에 있다. 대가집은 왕갈비탕 맛집으로 알려져 있다. 큰 갈비뼈가 그릇에 꽉 차는 갈비탕은 당면, 파가 들어있고 직원분이 갈비와 뼈를 분리하여 먹기 좋게 썰어준다. 부족한 국물은 리필해 주기도 하고 테이블에 있는 양념장을 풀어서 먹으면 더 맛있게 먹을 수 있다. 매콤한 양념의 돼지쪽갈비찜도 이 집 인기 메뉴이다. 돼지갈비 위에 아삭한 콩나물이 함께 나와 같이 먹으면 별미이다. 다 먹은 후 양념에 볶음밥을 비벼 먹을 수 있다. 또 식당 입구에 구이용 한우가 따로 마련되어 직접 눈으로 본 후 자리로 가지고 와서 구워 먹을 수 있다. 식사 후 천연기념물 제154호로 지정된 상림공원도 함께 방문해 보길 추천한다. ※반려동물 동반 불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