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m 9687 2023-01-19
충청북도 충주시 연원5길 26
043-854-0049
도예공방 필은 1995년 3월 오픈한 충주시내에서는 유일한 도자기 전문공방이다.도자기 인형을 전문으로 제작하고, 택견도자기 인형을 비롯한 다양한 인형을 제작하여 납품 및 판매한다.
10.1 Km 1 2022-11-14
충청북도 충주시 미라실로 603
카이로스오토야영장(카이로스 캠핑장)은 충북 충주시 동량면 지동리에 자리 잡았다. 충주시청을 기점으로 15km가량 떨어졌다. 자동차를 타고 호반로와 미라실로를 번갈아 달리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20분 안팎이다. 2인 전용 캠핑장이며, 전 구역이 노키즈존이다. 캠핑장에는 파쇄석으로 이뤄진 오토캠핑 사이트 29면이 마련돼 있다. 사이트 크기는 가로 7m 세로 6m다. 일부 사이트에서는 충주호를 조망할 수 있고, 관리실 꼭대기 전망대에 가면 충주호를 배경으로 멋진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주변에는 충주호관광선 충주나루가 있다. ※ 반려견 동반 불가능
10.2 Km 0 2022-09-21
충청북도 충주시 원앙길 17
정담칼국수는 충청북도 충주시 중앙탑면 용전리에 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양껏 넣은 동죽과 탱탱한 면발이 어우러진 동죽 칼국수다. 이 밖에 매콤하고 새콤한 맛이 일품인 오징어초무침을 비롯해 해물파전, 동죽탕, 납작만두 등도 맛볼 수 있다. 중앙탑(하이패스)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중앙탑 사적 공원, 충주식물원, 킹스데일 GC가 있다.
10.4 Km 27831 2022-09-08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미라실로 662
043-851-2951
충주댐 왼쪽을 막아서 있는 산이 주봉산이다. 충주호 물길에 둘러싸여 작은 반도를 형성하고 있는 산이기도 하다. 주봉산을 중심에 두고 충주댐 반대편 주봉산 자락과 충주호변은 청정지역으로 소문 나 있다. 이곳 주봉산 등산로 초입에 주봉산 펜션이 있다. 나무로 지어진 펜션은 계곡을 따라 길게 배치되어 있어 주변 경관과 무척이나 잘 어울린다. 주봉산자락을 타고 내리는 계곡이 펜션 바로 앞을 흐른다. 계곡이 작음에도 항시 물이 흘러 계곡 욕을 즐기기에도 모자람이 없다. 객실마다 계곡 쪽으로 커다란 테라스가 나 있는데, 테라스에 나서면 계곡 건너 충주호의 풍경까지 한눈에 들어온다.
1.1 Km 6048 2022-06-27
충청북도 충주시 무학1길 15
무학시장은 충청북도 충주시 문화동과 봉방동 일원에 있는 상가건물형 재래시장으로 1970년대 초반 무허가 노점상이 활성화되자 충주시는 노점 상인들의 생존권을 보장하기 위해 1978년 현재의 충주무학시장 터에 72칸의 점포를 열고 영업을 개시하도록 허가한데서 시작하였다. 충주공설시장과 충주천(忠州川)을 사이에 두고 형성된 충주무학시장은 충주자유시장과 충주공설시장의 팽창에 의해 자연스럽게 시장으로서의 기능을 갖춰가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1 Km 0 2022-05-19
충청북도 충주시 충인6길 16
2005년 전통시장 특례법에 따라 자유·공설·충인 3개 시장이 자유시장으로 통합돼 오늘에 이르고 있다. 위치하는 동네 이름이 충인동인 까닭에 지역민들은 ‘충인시장’이라고 부르고 있다. 상인회에 등록된 회원 수는 360명이지만, 등록되지 않은 업소까지 합치면 500곳에 이른다. 인접한 무학시장까지 합치면 업소 숫자는 800곳으로 불어나고, 매 5일, 10일 장이 설 때 들어서는 좌판까지 합치면 상인 숫자가 1,300여 개 이르는 대형 재래시장이다. 특화시장이라기보다는 전통시장으로 의식주와 관련된 업종이 주를 이루고 있다. 현재는 먹 거리, 입을 거리 관련 업소가 많다. 한때 포목과 한복이 유명했지만, 요즈음은 순대·만두·감자떡 등 먹거리가 주종을 이룬다. 이들 먹거리는 입소문이 나면서 전국 각처로 택배 판매가 늘고 있다. 2000년대 들어 대형 마트 두 곳이 충주에 들어오면서 상권이 침체되는 듯했지만, 최근 들어 부활의 조짐을 보이고 있다.
10.7 Km 33550 2022-06-22
충청북도 충주시 살미면 중원대로 2220
※ 개인 사유지로 관람이 불가할 수 있음
최함월 고택(최응성의 생가)은 충청북도 충주시에 위치한 조선시대 고가로 충북유형문화재 제87호로 지정되었다. 조선 숙종 때 문장가인 최응성의 생가이며 원래 살미면 무릉리에 있었으나 충주댐 건설로 수몰 위기에 놓이게 되자 지금의 용천리로 이전을 하게 되었다. 건물 배치는 기억자형의 안채를 중심으로 전면에 일자형의 행랑채가 있고, 좌측으로는 함월이 서재로 사용하던 염선재가 있으며 우측으로는 기억자형의 창고가 사괴석 담장으로 일곽을 만들어 함께 배치되어 있다. 황토와 막돌로 쌓은 담벼락을 따라 안으로 들어서면 본채 건물을 만나게 된다. 고택 앞에는 작은 연못이 만들어져 있어 상류층 양반가의 전형을 보여 주고 있다. 연못가에 위치한 조그만 정자 함월정과 가운데의 화단은 중후한 멋을 풍기는 고택과 잘 어울린다. 또 연꽃과 수련 등의 수생식물들이 있어 감상하는 재미가 있다. 건물 뒤쪽 사당은 울창한 숲에 있어 조용함과 엄숙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고 본채 건물은 자연석으로 만든 기단 위에 건물을 지어 안정감이 넘친다. 본채 앞의 마당에는 수십년을 사용해온 우물이 여태까지 물을 쏟아내고 있으며 작은 생활박물관에 온듯한 느낌이 들 정도로 많은 농기구들이 놓여 있다. 또한, 최함월 고택의 돌담을 따라 야산과 밭이 이어져 있어 정겨운 시골모습을 하고 있다. 고풍스러움을 뽐내고 있는 이곳은 고택을 연구하는 학자들에게 중요한 자료로 인정 받고 있는 고택으로 중부권의 고택 연구자료로서도 중요한 위치에 있다.
10.7 Km 5226 2023-03-02
충청북도 충주시 중원대로 2220
010-5485-7744
충주에 위치한 야생화와고택나들이는 조선 후기의 학자 최응성 고택으로, 무려 350여 년의 시간을 지닌 충주의 유형문화재 한옥이다. 방이 두 개씩 있는 사랑채와 안채는 독채로 대여하고, 행랑채와 별채는 큰 방과 작은 방이 있는데 따로 예약을 받는다. 집 전체를 대여하기도 한다. 취사시설은 따로 없다. 정자에 앉아 한옥의 정취를 느낄 수 있다 . 야생화 체험, 인절미․연잎밥 등 전통음식 만들기, 전통놀이 체험 등을 제공한다.
10.8 Km 0 2023-01-09
충청북도 충주시 동량면 미라실로 691
대호레져 글램핑 펜션은 충북 충주시 동량면에 있다. 충주시청을 기점으로 20㎞가량 떨어졌으며, 자동차를 타고 국원대로, 충주호수로, 호반로를 차례로 거치면 닿는다. 도착까지 걸리는 시간은 30분 안팎이다. 이곳은 충주호의 수려한 풍광을 한눈에 담을 수 있다. 캠핑장 어느 사이트에 머물든 눈앞으로 펼쳐지는 풍경에 감탄사가 절로 나온다. 캠핑장에는 일반 야영장 10면, 글램핑 6개 동이 있다. 잔디로 이뤄진 일반 야영장 크기는 가로 5m 세로 4m다. 개인 트레일러와 개인 카라반 동반 입장이 가능하다. 글램핑 객실 내부에는 침대, 개수대, 화장실, 샤워장 등 일상생활이 가능할 정도의 시설을 구비돼 있다. 평일, 주말, 구분하지 않고 사계절 내내 운영한다.
캠핑장이 위치한 충주호를 비롯해 충주 계명산 자연휴양림, 탄금대 등 주변에 관광지가 많다. 인근에 음식점도 있다.
10.9 Km 3216 2023-01-05
충청북도 충주시 엄정면 동계길 29-1
중원 문화의 발상지 충주는 수운(水運)교통은 물론, 육로 교통에 있어서도 우리나라 동서남북을 연결하는 요충지였으며, 그 중 수운의 중심에는 '목계나루'가 있었다. 목계나루는 이런 과거 목계의 문화정신을 계승 발전시켜 나가자는 취지로 설립된 복합 문화공간으로, 강배 체험관과 주막, 저잣거리, 수상 체험 시설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배 체험관에서는 그 옛날 목계나루를 가득 메우던 배를 모티브로 강배들을 실제로 보고 느낄 수 있는 공간이 조성되어 있으며, 소원 종이배 만들기 등의 체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전통을 즐기는 놀이마당인 저잣거리에서는 다양한 전통체험과 먹거리로 옛 목계나루 장터의 분위기를 재현하여 어린이나 가족단위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체험교육형 관광을 제공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