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음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노음산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노음산

노음산

6.4 Km    28327     2023-11-02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경상북도 상주 남장동에 위치한 노음산(露陰山, 725.4m)은 산세가 부드러운 산으로 상주의 진산으로 불리며 영남 8경의 하나로, 고려 말 시인 조운흘은 이 산에 명시를 남기는 등 예부터 선비들의 문회, 시회의 공간이 되어 많은 시문을 탄생시킨 곳이다. 산에는 신라시대에 창건된 유서 깊은 두 사찰, 남장사와 북장사가 있다. 830년 이전 현 남장사의 전신인 장백사가 있어 신라 후기 승려 진감국사가 우리나라 최초로 석가여래의 공덕을 찬미하는 노래, 범패를 보급한 곳이다. 불교사의 중요한 장소이며 남장사의 보광전에는 철조 비로자나불(보물)과 철불 좌상의 후불탱인 보광전 목각탱(보물), 한국 최고의 목각불탱인 관음선원, 목각탱(보물) 등 불교예술의 걸작품들이 있다. 남장사와 창건 연대가 비슷하게 추정되는 북장사에는 중국승이 그렸다는 화법이 절묘한 보물 괘불이 파랑새가 있고, 조선 후기의 석학 식산 선생(息山先生)의 문집 목판을 보관되어 있다. 남장사 석장승에서 출발하여 관음선원, 중국암 노음산 정상까지 5.4km로 2시간 정도 소요된다.

연악서원

6.5 Km    1395     2023-09-15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1길 49

갑장산이 힘차게 동쪽으로 뻗어나와 좌우로 펼쳐져 한 구역을 이루니 이를 연악(淵嶽)이라고도 한다. 연악서원은 1553년(명종 8)에 목사 신잠이 상주에 세운 서당 17개소 중의 하나이며, 직접 친히 연악서원이란 네 글자를 크게 현판 하였는데 임진왜란 때 서당과 현판이 모두 불타 버렸다. 그 후 1601년 (선조 34)과 1658년(효종 9)에도 중건하였고 1702년(숙종 28)에 서당에서 서원으로 승격되며 지방유림의 공의로 박언성·김언건·강응철·조광벽·강용량의 덕행과 업적을 추모하기 위해 창건하여 위패를 모셨다. 1868년(고종 5)에 서원철폐령으로 훼철되었으며, 1913년 단소(壇所)를 설립하고 1974년 강당을 중건하였으며, 1986년에는 사당을 복원 고유하였다. 4칸의 강당과 3칸의 고직사가 있으며, 동재, 서재는 그 터만 남아 있다. 이 서원에서는 매년 4월 중정(中丁 : 두번째 丁日)에 향사를 지내고 있다.

상주 신앙 고백비

6.8 Km    18475     2023-09-15

경상북도 상주시 청리면 삼괴리

경북 상주군에는 1785년 을사 추조 적발 사건 당시 문중의 박해로 서울서 낙향한 서광수에 의해 처음 복음이 전파되었다. 많은 사람들이 입교해 천주교를 믿었으나 1801년 신유박해를 비롯해 1827년 정해박해 등 역대 박해 때마다 수많은 신자들이 순교한 지역이다. 이곳 상주군 석간산 아래 청리면에는 한국 교회 유일의 신앙 고백비가 있다. 이 신앙 고백비는 김해 김씨 집안 김복운의 차남인 김삼록(도미니코, 1843-1932년)이 자신의 신앙을 고백하기 위해 세운 비로 큰 바위 위에 십자가형의 갓을 씌운 듯한 형태로 [천주교, 교황님, 주교님, 신부님, 교우님들을 걱정하는 마음으로 온 힘을 다해지켜드리겠다]라는 뜻이 새겨져 있다. 초기에는 핍팍을 피해 나무들로 가려져 있었으나 1945년 해방 후 그 모습을 드러내며 1984년 신앙 고백비에 대한 확실한 고증이 이루어져 현재는 천주교 신자들의 성지순례장소이다.

상주곶감공원

7.0 Km    1     2023-11-10

경상북도 상주시 외남면 곶감공원길 59-12

경북 상주시 외남면에 위치한 상주곶감공원은 산책과 함께 벽화 그림들과 동화 속 이야기를 즐길 수 있는 공원이다. 상주곶감공원 내 3층 건물인 감락원에는 호랑이보다 더 무서운 곶감을 테마로 한 체험관과 전시관이 있으며, 곶감이나 호랑이가 나온 동화 이야기들을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춰 쉽게 풀어냈다. 이외에도 상주 곶감의 유래와 곶감의 생성과정, 곶감의 종류를 한눈에 볼 수 있다.

상주시 문화회관

상주시 문화회관

716.0551909278864m    22681     2023-11-14

경상북도 상주시 상산로 235

경상북도 상주시 남성동에 위치하고 있는 상주시 문화회관은 1990년 11월 7일에 개관한 상주시의 대표적인 문화예술공간이다. 연면적 3441㎡, 부지면적 2644㎡, 건축면적 1447㎡의 건물로 지하 1층, 지상 4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요 시설은 대공연장, 소공연장, 전시실도 조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설을 기반으로 지역 주민의 문화생활을 위한 공연과 전시, 그리고 일반행사 등 다양한 문화사업을 진행하여 시민들의 문화 향유 기회를 확대하고 문화생활에 대한 욕구를 충족시키고자 한다.

상주문화원

상주문화원

716.0551909278864m    14580     2023-12-11

경상북도 상주시 상산로 235

상주문화원은 상주시 남성동 상주문화회관 내에 있으며, 1961년 지역 문화의 발굴과 계승을 기반으로 지역주민의 문화 활동을 위해 개설되었다. 문화원의 규모는 총 80평으로 주요 시설로는 소강당과 강의실, 자료실이 있다. 문화원에서는 향토 고유문화 보존과 전승, 향토 사료 수집 발굴과 지역사회 교육, 전시 활동 등을 진행하며, 매년 [경천섬 달빛 추억 걷기] 등 지역 문화축제를 개최하고 있다. 이 외에도 외국어, 플룻, 다도, 민요, 서예, 판소리 등 문화 학교 운영과 청소년 충효 교실, 선비아카데미와 같은 다양한 행사와 프로그램으로 상주 군민의 문화생활을 담당하고 있다.

승곡마을

승곡마을

7.3 Km    23390     2023-08-03

경상북도 상주시 낙동면 승곡1길 34

상주시 낙동면 승곡마을은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의성군, 구미시와 인접하고 있으며 중부내륙고속도로와 국도 25호선이 지나가고 있어 접근성이 매우 용이하다. (서울 2시간, 부산 2시간 30분, 대구 40분, 구미 20분) 예로부터 낙동강의 최상류에 위치하여 비옥한 농토와 맑은 물로 농사를 지은 상주쌀이 유명하며 최근에는 친환경농법으로 재배한 사과, 배, 고추 등이 많이 생산되고 있으며, 특히 상주의 대표적인 농산물인 감을 이용하여 사육되고 있는 “상주 감 먹는 한우”의 본고장이며 전국적인 브랜드 명성과 인지도를 높여가고 있다. 우리 민족의 얼과 전통이 깃든 문화재로 양진당, 추원당, 옥류정, 오작당 등이 있으며 이곳을 중심으로 매년 전통문화체험과 종가체험으로 사자소학, 천자문, 예절교육, 다도, 서예, 전통음식 만들기 등을 도시지역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다. 깨끗한 물과 자연 그대로의 농촌경관을 보유하고 있어 토종 곤충과 식물이 서식하고 있으며 국가지정 문화재 천연기념물인 세계 어느 지역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구상화강암이 있다.

북장사(상주)

7.4 Km    18654     2024-06-12

경상북도 상주시 내서면 북장1길 317

상주는 고도의 웅주였을 뿐 아니라 신라의 제2수도이며 고려 팔목의 하나로 다른 지역보다 일찍부터 불교문화가 발달한 지역으로 갑장사, 승장사, 남장사, 북장사 등 역사적인 고찰들이 남아 있다. 상주시 내서면 북장리 천주산 중턱에 위치한 북장사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8교구 직지사의 말사로 신라시대 진감국사 혜소에 의해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의 북장사는 임진왜란 때 모두 소실되었고 1624년(인조2) 당승 10여명이 들어와 다시 세웠으나 또다시 소실되어 1628년 (인조 6년) 중창하였다. 극락보전에는 숙종 때 조성된 2m 높이의 거대한 목조 삼존불 아미타여래,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이 있으며 이 불상들은 17세기 불교조각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또한 통일신라 때 제작된 경상북도 문화재 238호 3층석탑과 파랑새가 그렸다는 전설이 있는 괘불이 보물로 지정되었으며, 근자에 옮겨놓은 문화재자료 238호 인평동페탑 등 불교미술사에 중요한 유물들이 가득한 곳이다.

용흥사(상주)

용흥사(상주)

7.5 Km    20143     2024-05-30

경상북도 상주시 지천1길 223-35

용흥사는 신라 문성왕 원년(839)에 진감 선사가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러나 1968년 극락보전을 해체 보수할 때 발견된 기문에 의하면 고려 말 나옹화상이 창건한 후 1647년(인조 25) 법인화 스님이 중창하고 1680년(숙종 6)에 사유, 홍치 두 스님이 두 번 중수하였으며 1707년(숙종 33)에 사준, 도인 두 스님이 3중수, 1806년(순조 6)에 4중수, 그 후 161년 만에 다섯 번 중수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경내에는 극락보전 라한전, 삼성각, 승방 백운선원 등의 전각이 배치되었고, 경내에 있는 5층 석탑은 1976년 6월 30일 극락보전에 봉안된 탱화에서 발견된 사리를 이 탑에 봉안하여 세운 것이다. 상주시에서 가까운 거리에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며 산수가 빼어난 갑장산에 위치해 사계절 색다른 풍광을 즐길 수 있다.

족발정(상주점)

족발정(상주점)

759.1078226778345m    2     2021-11-18

경상북도 상주시 삼백로 76
054-535-9575

하루 두번 매장에서 직접 삶는 족발, 상주시외버스 터미널 맞은편 단체석 단체룸 완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