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5Km 2024-07-30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동강로 100 2층
전국 유일 통나무 컨셉 탐앤탐스 매장입니다. 데이트하기 좋은 아기자기한 인테리어, 반려견 동반 가능한 탐앤탐스 영월점입니다
16.5Km 2025-01-16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선돌길 83-9
033-372-1139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에 위치한 하얀 집 풍천장어는 장어구이 전문점이다. 장어 외에도 토종닭 및 오리 요리도 맛볼 수 있다. 식당 바로 옆 펜션과 연계하여 이용이 가능하며 인근에 청령포, 장릉, 선돌 등의 영월 관광지가 위치하고 있다.
16.5Km 2024-12-20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청령포로 48-5
033-373-3323
단종대왕의 유배지인 청령포가 강건너로 잘 보이는 전망 좋은 곳으로, 곤드레돌솥밥과 한우불백이 유명하다. 이 외에도 올갱이해장국, 묵밥 등 토속적인 음식을 맛볼 수 있다. 같이 나오는 반찬도 깔끔하며 돌솥밥이라 예약을 하면 기다리지 않고 원하는 시간대에 바로 먹을 수 있다.
16.6Km 2024-06-17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단종로 60
창절사는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에 있는 서원이다. 창절사는 단종 복위를 도모하다가 세조에 의해 처형되거나 순절한 충신들의 위패가 있는 곳으로 원래 장릉 곁에 육신사(六臣祠)가 있었는데, 1685년(숙종 11년) 강원도 관찰사 홍만종과 영월군수 조이한이 3칸의 사우를 세웠다. 1698년(숙종 24년) 단종의 복위가 이루어지면서 왕릉 곁에 신하들의 사당을 둘 수 없다고 하여 1705년 강원도 영월군 영월읍 영흥리로 옮겼다.이후 1709년에 영월 유생들의 소청으로 육신사를 창절사로 고치고 창절사에는 박팽년, 성삼문, 하위지, 이개, 유성원, 유응부 등 사육신과 생육신의 위패가 있으며, 그 외에도 권완, 권절, 김시습, 남효온, 박심문, 엄흥도 등의 위패가 있다. 단종 복위를 위해 절개를 지킨 충신 10명의 위패를 모시고, 해마다 10월 9일 의식 행사를 올리고 있다. 창절사는 현재 남아있는 강원도 내의 사당이나 서원 중에서 규모가 가장 크고, 지어졌을 당시의 원형을 잘 보존하고 있는 건물이며, 단종과 충신들의 충절과 의리를 기리는 역사적인 장소로 많은 방문객들이 다녀간다. 주변에는 단종의 능인 장릉과 김유정의 생가와 문학관 등이 있어 함께 관광하기 좋다.
16.6Km 2024-07-22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김삿갓면 내리계곡로 1039-18
내리계곡 솔밭캠핑장은 강원도 영월군 김삿갓면 내리계곡로에 자리 잡고 있다. 캠핑장이 내리계곡 상류에 위치하고 있어 조용하면서도 깨끗한 계곡을 즐길 수 있다. 이곳은 솔밭캠핑장과 솔바람캠핑장으로 구분되는데, 허가 규정상 이름만 다를 뿐, 하나의 캠핑장으로 운영되고 있다. 솔바람캠핑장은 계곡 바로 옆으로 펼쳐진 울창한 소나무 숲속에 조성되어 경관이 뛰어나다. 이곳은 근처 캠핑장 가운데 가장 큰 규모를 갖고 있다. 그런 만큼 개수대, 샤워실, 화장실 등의 편의시설 또한 많은 인원을 한 번에 수용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갖춰져 있다.
16.7Km 2024-08-05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선돌길 83-27
강원도 영월에 위치한 영월오아시스 글램핑은 청령포 인근에 있는 글램핑 전용 캠핑장이다. 평창강의 줄기인 서강 강변에 위치하고 있고, 강 건너로 태백선 기차 철로가 보인다. 글램핑 6개와 방갈로 2개가 있는데, 글램핑 내부에는 티비와 냉난방 시설, 개별 욕실과 화장실을 비롯 필요한 집기가 모두 준비되어 있어 편리하다. 바비큐도 예약하면 준비가 되고, 매점에서 필요한 물품들도 판매하고 있어서 세면도구 이외 다른 준비물이 없어도 캠핑이 가능하다.
16.7Km 2024-08-05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김삿갓면 내리계곡로 1024
휴가를 부탁해 캠핑장은 영월의 김삿갓면의 내리계곡에 위치한 캠핑장으로 펜션과 함께 운영한다. 캠핑 사이트는 총 18개로 소규모이고, 조용하고 친절하다는 평이 많다. 사이트들은 단차를 두고 크게 3단으로 나눠져 있다. 사이트 옆에 주차하는 곳도 있고, 마주 보고 주차해야 하는 곳도 있어서 예약 시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다. 파쇄석 바닥이고, 나무그늘이 많다. 주말에는 영월 읍내까지 나가야 식료품 구입이 가능하고, 휴무인 곳도 많아, 미리 장을 봐서 입실하는 것이 편리하다.
16.7Km 2025-03-11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영월읍 영모전길 148
단종(재위 1452~1455)의 영정을 모신 곳으로, 영월의 주산인 매봉산 자락 남쪽 언덕에 있다. 이곳에 유배된 단종이 살해되자, 그를 추모하기 위해 군민의 성금을 모아서 1517년(중종 12) 영월부사 이용하(李龍夏)가 그의 영정과 위패를 모시려고 성황당이 있던 자리에 사당을 건립하였으며, 이용하의 후손 이계진이 개수하여 ‘영모전’이라는 현판을 걸었다. 또한 영정은 추익한(秋益漢)이 백마를 탄 단종에게 머루를 진상하는 모습으로 그려져 있다. 영모전은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이며, 지붕 옆면이 여덟 팔(八) 자 모양인 팔작지붕집이다. 앞면 가운데 칸의 뒷부분에 초상을 모셔둔 방을 두고 그 양 측면과 뒷면은 벽을 설치하였으며, 앞면은 장지문을 달아 밝게 처리하였다. 그 외의 부분에는 마루를 놓았는데 앞면 3칸은 모두 문 없이 개방되어 있고, 뒷면과 옆면은 벽에 나무로 살을 대어 만든 살창을 설치하였다. 추익한이 단종에게 산머루를 진상하려고 영월로 오던 중 연하리에 이르렀을 때, 곤룡포와 익선관 차림에 백마를 타고 동쪽을 향해 가는 단종을 만나게 되었다. 추익한은 황망히 읍하고 땅에 꿇어앉아 “대왕마마께서는 어디로 행차하시나이까?” 하고 여쭈니 단종이 “태백산으로 가는 길이오. 그것은 처소에 갖다두시오” 하고 말한 뒤 홀연히 사라졌다. 추익한은 기이하게 생각하고 급히 단종 처소에 가보니 단종은 이미 승하한 뒤였다. 추익한은 방금 전 만났던 것이 단종의 혼령이었음이 분명하다 생각하고 그의 뒤를 따라 목숨을 끊었다고 한다. 그래서 단종과 함께 태백산의 산신령이 되었다는 전설이 있다. 이 전설은 단종을 숭상하는 일종의 신앙으로 발전하여 영모전 외에 녹전 성황당, 정선각, 보덕사의 칠성각 등에서도 단종의 위패 또는 영정을 모시고 있다. 또한 그 뒤로도 군민들은 마치 단종이 살아 있는 것처럼 공경하여 해마다 단종문화제가 열리는 시기와 음력 10월 24일(단종 승하일)에 제향을 올리고 있다.
16.8Km 2024-12-17
강원특별자치도 영월군 봉래산로 95-1
육정가 입구에는 고기가 담긴 수조가 있다. 생경한 이 모습은 고기를 숙성시키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 식당 앞에서 대기하는 사람들을 위한 고객서비스로 기다린 시간별로 음료수, 고기 1인분 등 서비스도 준비되어 있다. 고기는 직원들이 직접 구워주기 때문에 편안하게 기다리며 먹을 준비만 하면 된다. 부드럽고 담백한 육즙이 입안에서 터지는 육즙 꽃목살이 대표 메뉴다. 상추와 쌈장으로 푸짐하게 한입 가득 먹는 것도 좋지만, 소금과 고추냉이만 찍어서 육즙을 느끼며 먹는 것도 추천하는 방법이다.
16.8Km 2024-06-12
경상북도 영주시 풍기읍 죽령로 1549
054-635-1399
국도 5호선 죽령고개 올라가다 좌측 편에 위치한 이 업소는 죽령고개와 소백산이 한눈에 보이는 전원가든식 음식점으로 드라이브와 함께 식사하기에 좋은 음식점이다. 풍기 읍내에서 다소 떨어져 있지만 소백산 등산객들이 입소문으로 많이 찾는 음식점으로 성수기에는 관광객들이 많이 찾아 자리가 없을 정도로 성업 중이다. 참나무를 이용한 오리, 통삼겹살 훈제와 바비큐 메뉴를 맛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