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아양수제맥주페스티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2022 아양수제맥주페스티벌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2022 아양수제맥주페스티벌

2022 아양수제맥주페스티벌

0m    0     2022-12-29

대구광역시 동구 효목동
010-3474-6627

2022년 09월 30일~10월1일 16:00~22:00 전국 각지에 모은 수제맥주 브랜드와 치킨, 꼬지 등 다양한 먹거리가 있는 푸드트럭이 마련되어있다. 청년 아티스트들의 밴드, 재즈 공연과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쿠폰 이벤트 프로그램까지 다채롭게 준비되어 있다.

[대구올레 팔공산 1코스] 북지장사 가는 길

[대구올레 팔공산 1코스] 북지장사 가는 길

10.0 Km    24966     2022-11-14

대구광역시 동구 도장길 10

'올레'란 제주어로 '거릿길에서 대문까지의, 집으로 통하는 아주 좁은 골목길'을 뜻한다. 제주올레와 함께 '느리게 걷는 여행'을 제안하며 대구녹색소비자연대에서는 2008년부터 '대구올레'를 개발 및 운영하고 있다.

[대구올레 팔공산 1코스] 북지장사 가는 길은 2009년 6월 개장했다. 올레길 진입로에 들어서면 오른편에 시인 특유의 육필로 아로새겨진 한국현대시 육필공원을 만날 수 있다. 조금 지나면 왼쪽에 유기장 이봉주 선생의 작품 등을 볼 수 있는 방짜유기박물관이 나온다.

북지장사 3.2㎞ 표석을 지나 걷다보면 키가 껑충한 소나무들이 무리지어 반긴다. 솔숲 구간은 한참동안 이어지는 데 이곳이 팔공산 1코스의 백미이다.

이 길의 끝, 북지장사는 한때 동화사까지 말사로 거느렸을 정도로 큰 절이었지만 지금은 소박한 모습이다. 선방 바로 위로 솟아난 감나무도 볼거리인데, 감나무를 살리는 방향으로 건물을 지은 것이다. 개미 한 마라리도 함부로 죽이지 않는 불교의 가르침을 그대로 보여주는 듯 하다.

광덕사

10.0 Km    0     2022-12-28

대구광역시 달성군 가창면 헐티로 1190

광덕사는 대구시 달성군 가창면 용계리에 자리했다.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의 사찰로 1967년에 지어졌다. 가창댐과 가까이 있으며 최정산과 연결된 등산로도 있다. 일주문을 지나면 범종각이 있고, 내부로 들어가면 대웅보전, 산신각, 독성각, 요사채 등의 가람이 갖춰져 있다. 특히 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92호로 지정된 대구 광덕사 신중도를 봉안하고 있다. 사찰은 파동 IC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했다. 주변 관광지로는 가창호, 냉천 CC가 있다.

정박사냉면삼계탕

정박사냉면삼계탕

10.1 Km    3748     2022-08-26

경상북도 경산시 경안로50길 40-3
053-815-6054

[경북 경산시 중방동에 있는 삼계탕 전문 정박사냉면삼계탕]
정박사냉면삼계탕은 삼계탕을 전문적으로 하는 한식당이다. 삼계탕 이외에도 냉면, 육전을 메뉴로 하고 있으며, 300석의 좌석이 마련되어 있어 단체예약도 가능하다.

백련사(대구)

백련사(대구)

10.1 Km    17380     2023-03-22

대구광역시 달서구 중흥로 67

1947년 3월 10일, 수원 백씨(백남희 보살님)가 친정부모님 무덤 옆에 절을 지으면 많은 중생을 구도할 수 있다는 선몽을 받고 건립하였다. 1986년 3월 15일 황정광 주지스님이 증축하였다. 재단법인 선학원 소속이다.

딜리저트

10.1 Km    2003     2023-02-28

대구광역시 달서구 중흥로 14
0507-1426-5103

딜리저트는 대구시 달서구 송현동에 위치한 핸드메이드 디저트샵으로 이미 SNS에 유명세를 펼치고 있다.홍콩분위기의 카페로 시그니처 메뉴인 홍콩와플은 전국 어디에서도 맛볼 수 없는 환상의 디저트 맛을 볼 수가 있다.

천연애

천연애

10.1 Km    0     2022-10-13

대구광역시 달서구 앞산순환로 289

천연애는 대구광역시 달서구 송현1동에 있다. 세월이 흔적이 느껴지는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가지기 좋다. 대표 메뉴는 오리고기와 부추가 어우러진 힐링불고기다. 이 밖에 예약해야만 맛볼 수 있는 능이백숙을 비롯해 들깨수제비. 메밀막국수, 볶음밥 등도 판다. 남대구IC와 대구 지하철 1호선 송현역에서 가깝다. 주변에는 앞산해넘이전망대, 비슬산둘레길10구간이 있어 연계 여행에 나서기 수월하다.

대한수목원

대한수목원

10.2 Km    5     2023-01-17

대구광역시 동구 파계로 446-42

대한수목원은 1991년에 처음 나무를 심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 약 24년이 넘는 기간 동안 나무 한 그루, 꽃나무 하나씩을 매일 직접 심고 다듬으면서 조성됐다. 수목원 내에는 매실나무, 은행나무, 살구나무, 벚꽃나무 등 약 1,700여 가지의 각종의 나무와 꽃들이 피고 진다. 이곳을 구경하기 위해 대구 시민은 물론, 포항, 경산, 구미, 부산, 울산 등 근교 지역 시민들도 찾아온다. 최근에는 중국, 대만 등의 외국 관광객들까지 찾고 있다.
*사진 출처: 대구광역시청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군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군

10.2 Km    19686     2022-08-10

경상북도 경산시 청운2로9길

경산분지의 중앙에 남북 방향으로 놓여 있는 압량 구릉의 말단부에 해당되는 경산시의 동북방 영남대학교 앞 구릉(해발 50~75m)에 봉토분들이 밀집해 있다. 이들 대형분들은 가장 서쪽의 임당동 고분군, 중앙의 조영동 고분군, 동쪽의 부적리 고분군으로 나누어진다. 이 가운데 임당동 고분군은 영남대학교 앞 구릉의 주능선에서 서남으로 뻗는 지맥의 능선이 경산들과 만나는 곳에 위치한 것으로 능선의 상부를 따라 조영된 7기의 대형 봉토분이 분포하고 있는데, 이들은 단일의 원형분으로 보이는 것들도 있으나 몇 기의 무덤을 가진 각 봉토들이 연결되어 하나의 커다란 동산과 같은 형태를 취하게 된 것도 있다.임당동 고분군 가운데 4기(2,5~7호분)의 봉토분이 영남대학교 박물관에 의하여 1982년 발굴조사되었다. 조사결과 2호분은 남분과 북분으로 구성된 표형분이고, 5~7호분은 6개의 봉분이 이어져 하나의 동산과 같이 거대한 봉분으로 보이게 된 다곽식이었다. 각 단일 묘곽에 씌어진 봉분의 크기는 지름이 17~20m, 높이 4~5m 정도였다.

묘제는 암광 목곽묘가 중심으로 이 곳의 기반암인 청석암반층을 파서 묘광을 만들고 거기에 목곽을 설치한 것이다. 이것들은 단곽식도 있었으나 장방형의 주곽과 방형의 부곽을 창자형으로 배치한 주부곽식이 대부분이었다. 또 지상에 할석과 천석으로 쌓아 올린 횡구식 석실묘도 1기 조사되었다. 매장주체부의 크기는 주곽이 길이 4m, 너비 2m, 깊이 2m, 부곽은 길이 4m, 너비 4m, 길이 1.5m 정도였고 주곽에는 장대석으로 뚜껑을 하였다. 여기에서는 금동관과 관식, 금제 귀고리, 은제 허리띠, 금동제 신발,금·은제 반지 등의 화려한 장신구와 금동제 고리자루 큰칼, 은장식 철투겁창, 금동제 화살통장식 등의 무구류, 금동제와 철제의 각종 마구류, 삼두마 굽다리 접시를 비롯한 각종 토기류 등 약 4,000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특이한 것은 각 무덤에는 피장자의 인골들이 고스란히 남아 있었는데, 대형의 무덤들에는 주곽과 부곽에 각각 1~3인이 순장된 것이 밝혀졌다. 출토된 유물과 묘제로 보아 발굴된 것들은 4~6세기에 조성된 것으로 「삼국사기」등에 전하는 압독국(압량소국) 지배자들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출토 유물이 모두 신라문화권의 양식을 충실하게 따르고 있으나, 질적인 측면에서 경주의 대형분들에는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 압독국은 신라의 지배를 받던 소국의 형태로 이 때까지 남아 있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조사된 고분들 가운데 일부를 복원하고, 영남대학교박물관에 전시실을 마련하여 그 무덤의 구조를 알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련

10.2 Km    32022     2022-07-08

대구광역시 북구 동천로 128-15
053-313-8889

퓨전 일식 전문점으로 세련된 인테리어와 일식 요리의 진미를 만끽할 수 있는 곳이다. 고급스러우면서도 다양하고 깔끔한 음식들을 맛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