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경&역사&체험을 모두 즐기자! 활력 넘치는 의성 여행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풍경&역사&체험을 모두 즐기자! 활력 넘치는 의성 여행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풍경&역사&체험을 모두 즐기자! 활력 넘치는 의성 여행

19.8 Km    0     2023-08-09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충효로 88

의성은 아름다운 자연과 풍부한 체험거리가 어우러진 여행지다. 먼저 사과 와인을 생산하는 한국애플리즈에서 나만의 와인체험을 통해 직접 와인을 만들어보고, 평창동계올림픽에서 엄청난 활약을 보여줬던 '팀킴'의 훈련장소인 의성컬렝센터에서 직접 컬링을 배우며 체험해보자. 사계절 모두 아름다운 고운사는 의성여행에서 빼먹지 말아야 할 코스이다. 사촌가로숲에서 오래된 나무가 이룬 숲을 걷는 시간을 가지며 여행에 쉼을 더하는것도 좋다. 마늘이 유명한 의성답게 의성전통시장에서는 마늘을 활용한 여러 음식들을 맛볼 수 있으니, 시장에 들러 의성의 맛도 즐겨보자. 의성 일대는 고대국가 '조문국'이 존재했던 곳으로, 발굴된 유적들은 조문국 박물관을 통해 만나볼 수 있고, 역사를 느낄 수 있는 조문국 사적지도 잘 조성되어 있다.

의성문화회관

19.8 Km    18608     2024-06-13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충효로 88

의성문화회관은 의성 지역의 문화 예술 진흥과 지역 주민들의 문화생활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2000년 4월 20일에 개관하였다. 의성군에서 관리 운영하는 시설로 대공연장, 실내체육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대공연장은 1,060명이 수용 가능하며 체육관의 경우 760명을 수용할 수 있다. 이 밖에도 광장, 조형물 등의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의성문화회관은 평소 지역에서 접하기 힘든 공연과 행사 및 전시를 기획, 주최하여 지역민의 문화생활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뮤지컬, 초청 연주회, 연극, 송년 콘서트 등 질 높은 문화 공연과 영화 상영을 하고 있으며 교육 장소로도 활용되고 있다. 또한 의성 어린이날 큰잔치, 장애인의 날 기념행사, 동요 경연 대회, 군민 체육 대회 등과 같은 다양한 문화 행사를 위한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용암정(안동)

19.8 Km    24517     2023-12-13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선성길

용암정은 1913년에 신태봉이 세우고 영락정이라 이름하였으나, 1940년 신응인이 인수하여 ‘용암정’이라 개칭하였다. 낙동강물이 회류하는 면에 돌출한 바위 위에 있었는데, 안동댐 건설로 1975년 이곳으로 이건 하였다. 용암정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으로 대청으로만 구성하였다. 막돌 쌓기의 높직한 기단 위에 방형 초석을 놓고 네모기둥을 세우고 납도리에 막첨차를 받쳤고, 2중 보를 가진 5량가구로 종량 위에 사다리꼴의 판대공을 세우고 종도리를 받았다. 양측면의 측간주에는 충량을 걸어 대량에 얹었다. 누하부는 목주를 받쳤으며 온돌방의 아궁이가 마련되어 있다. 규모가 작고 꾸밈새가 소박하나 전면에 큰 누마루를 두어 별당으로서의 여유와 운치가 있는 집이다. 인근 관광지로는 선성현 관아의 옛 모습을 재현한 선성현문화단지가 있다.

삼귀정

삼귀정

19.8 Km    24170     2023-01-17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지풍로 1975-1

소산마을 입구 야트막한 언덕에 세워진 삼귀정은 안동김씨 소산 입향조 혁의 11세손 영천공(1439∼1522)이 지례 현감으로 있을 때 88세 노모(1409∼1496)인 예천 권씨를 즐겁게 하려는 효심에서 그의 아우 영추, 영수와 함께 1495년 연산군 원연(燕山君 元年)에 건립한 정자이다.정자 뜰에 3기의 고인돌이 있는 것이 마치 거북이 세 마리가 엎드린 것 같다고 해 삼구정이라 이름 붙였다. 당호는 이곳에 거북이 모양의 돌이 3개가 있어 붙인 것으로 거북이는 십장생중의 하나이므로 자기 어머님이 거북이처럼 오래 살도록 기원하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그간 몇차례 중수한 것으로 보이나 1947년에 대대적으로 보수하였다.송림이 둘러싸인 운치가 뛰어나다.

예안향교

19.9 Km    18682     2024-06-17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2020-13

예안향교는 예안현에 설치된 조선시대 중등교육기관이다. 정확한 건립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601년(선조 34)에 중수하였고, 1745년(영조 21)에 크게 고쳐세웠다. 경내에는 대성전, 명륜당, 전사청, 과 동재와 서재 등과 부속 건물인 고직사가 있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공자를 위시한 한국과 중국의 성현들을 배향하고 있으며, 명륜당은 정면 2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로 유학을 가르치고 공부하던 곳이다. 전사청은 정면 2칸, 측면 2칸 규모이고, 동서의 재는 정면 3칸, 측면 2칸 규모로, 모두 맞배지붕을 하고 있다. 대개의 향교가 전당후묘의 격식을 따라 명륜당과 대성전을 앞뒤에 나란히 배치하는데 여기서는 명륜당이 왼쪽으로 비켜서 있는 점이 특이하다. 향교 앞에는 2004년 국가 보호수로 지정된 600년 된 은행나무가 있으며, 인근 선성현 문화단지내 역사관에서 예향향교의 내부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 제향은 2월 춘추절과 8월 상정일에 받들고 있다. 유교 전통을 계승하고 충효를 가르치는 청소년 대상의 전통문화학교를 운영한다.

유교문화박물관

19.9 Km    30288     2023-12-07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

한국국학진흥원의 부속기관인 유교문화박물관은 우리의 우수한 전통문화를 국내외에 알리고, 또 이를 토대로 국학자료의 기탁을 활성화하려는 목적에서 설립된 국내 유일의 [유교] 전문박물관이다.박물관은 우리 전통문화의 중심인 유교문화의 폭과 깊이를 보여주고 다양한 유물과 풍부한 볼거리를 꾸준히 발굴하여 민족문화의 산실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유교문화박물관은 일반전시실6곳, 특별 전시실3곳, 기획전시실1곳, 세미나실, 뮤지엄숍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시설을 기반으로 개별 문중이나 서원 등 민간으로부터 기탁받아 소장하고 있는 국학자료들 가운데 문화재적 가치가 높은 것들을 엄선하여 일반인들에게 공개하고 있다. 또한 다양한 문화교육 프로그램과 체험학습을 운영하고 있다.

월천서당

19.9 Km    16962     2023-12-13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월천길 437-7

월천서당은 조선시대 학자 월천 조목(1524∼1606) 선생이 후진 양성과 수학을 위해 1539년에 건립하였다. 현판은 퇴계 이황이 썼으며 정면 4칸, 측면 2칸의 목조 단층 와가로 중앙에는 2칸의 마루를 두고 좌, 우에 통간방을 배치한 홑처마 집이다. 월천조목 선생은 퇴계 선생의 제자로 1552년에 생원시에 합격하여 성균관에 들어가 여러 관직을 거쳐 공조참판에 이르렀다. 진작부터 벼슬에 뜻이 없어 45차례에 걸쳐 배명이 내렸으나, 대부분은 나가지 않아 40여 년 동안 실제 봉직한 기간은 4년 남짓할 정도였다. 임진왜란 때에는 의병을 모집, 동생과 두 아들과 더불어 망우당, 곽재우 공과 합세하여 국난극복을 앞장섰던 인물로, 퇴계 이황의 제자 가운데 유일하게 도산서원 상덕사에 종향되었다. 주변 관광지로는 안동 유교문화의 계승과 보급을 위해 세운 [세계유교선비공원]이 있다.

한옥스테이 루가

한옥스테이 루가

20.0 Km    0     2024-03-29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소산웃골길 11-6
010-2426-8296

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에 위치한 한옥스테이 루가는 독채 한옥 펜션으로, 18평 본채와 6평 별채, 넓은 마당을 한팀이 오롯이 사용할 수 있다. 본채는 거실, 침실룸, 다도룸, 욕실, 다락방, 실내 자쿠지로 구성되어 있고, 별채는 유럽 감성이 풍기는 주방과 바베큐장이자 카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밤에는 넓은 마담에서 불멍을 하며 도란도란 추억을 쌓고 고구마도 구워먹을 수 있다. 자전거를 대여해주고, 주차는 마당 왼편에 하면 된다.

왕짬뽕

왕짬뽕

2.7 Km    2     2021-03-12

경상북도 안동시 숲쟁이길 5
054-823-5989

다양한 중식 요리를 맛볼 수 있는 곳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중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짬뽕이다.

산마루산장

산마루산장

2.7 Km    2     2021-03-12

경상북도 안동시 아늑길 388
054-853-4444

매장에서 직접 키운 토종닭을 사용하여 판매하는 곳이다. 경상북도 안동시에 있는 한식전문점이다. 대표메뉴는 닭도리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