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목사(안동)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개목사(안동)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개목사(안동)

개목사(안동)

17.5 Km    19861     2024-02-02

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개목사길 362

* 마음의 눈을 뜨게 만드는 사찰, 개목사 *

우리 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절집 건축물이 있는 안동 봉정사의 위쪽에 있다. 통일신라 초기에 의상대사가 천등산 중턱에 세운 절로 원래는 흥국사라 하였다. 의상대사가 신통한 묘술로 하루에 1시간씩 99일 동안 99칸의 거대한 절을 지었는데, 그 후 이 절은 부처의 영험이 많이 나타나 많은 불도들이 찾아와 기도하고, 소원을 성취하는 사람들도 많았다고 한다. 현재는 보물로 지정된 원통전만 옛 모습을 지니고 있다. 개목사 원통전은 조선 세조 3년에 건립되었다 한다. 측면에서 볼 때 전면으로 퇴간을 달아 맞배지붕의 박공면이 전면으로 길게 나와 있다. 공포는 전, 후면이 다른 수법으로 되었는데 전면은 출목없이 익공형으로 조각되었고 후면은 1출목을 두어 외목도리를 받게 하였다. 내부는 연등천장으로 상부가 노출되었으며, 초각한 파련대공과 솟을 대공을 두어 종도리를 받게 하였다. 솟을대공 수법 역시 고식의 하나로 되어있다.

* 개목사의 이름에 대한 두 가지 이야기 *

개목사란 이름이 생긴 것에 대해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 온다. 하나는 <영가지(永嘉誌)>에 실린 내용으로 원래는 절 이름을 흥국사(興國寺)였다. 당시 경상북도 안동 지역에 앞을 보지 못하는 소경들이 많았는데 절 건립 소경들이 없어졌다 하여 이름을 개목사(開目寺)로 바꾸었다고 한다. 또 다른 이야기는 조선 초기의 재상인 맹사성(孟思誠, 1360~1438)이 안동부사로 부임해 와서 보니 경상북도 안동의 지세가 눈병 환자가 많을 형상이어서 개목사로 이름을 바꾸었다는 설이다.

봉화송이축제

봉화송이축제

17.6 Km    79645     2024-05-27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내성리
054-674-3053

천년의 솔향을 간직한 봉화 송이를 테마로 펼쳐지는 고품격 가을 문화 축제이다.

봉화상인회 한약우 식당

봉화상인회 한약우 식당

17.6 Km    1872     2023-11-14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신시장길 21-2
054-673-1888

봉화상인회 한약우식당은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에 위치한 한우 전문점이다. 봉화상설 상인회에서 협동조합을 구성하여 봉화지역의 약초를 먹고 자란 한우를 판매하는 식당, 식육 공간이다. 메뉴는 한약우갈빗살, 갈비탕 등이 있다.

봉화 태백산특산물직판장

봉화 태백산특산물직판장

17.6 Km    10615     2023-03-13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농업인길 47
054-673-8378~9

봉화태백산특산물직판장은 봉화군 봉성면 다덕정류장 인근에 위치하였으며 농산물, 잡곡류를 판매하고 있다.

봉화한약우프라자

봉화한약우프라자

17.6 Km    27695     2023-10-26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농업인길 47
054-674-3400

봉화군은 약초 재배 면적이 475ha에 이르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약초 주산지다. 이런 곳에서 길러낸 우리 한우의 맛은 어떨까? 바로 이곳 ‘축협한약우플라자’에 가면 그 맛을 볼 수 있다. 봉화를 대표하는 우수 한약재들을 첨가한 사료만을 먹인 봉화 한약우는 거세우에 비해 구수한 맛이 더 좋아 그 인기가 높은데, 동맥경화 예방에 필요한 불포화 지방산이 일반 한우에 비해 25%나 높아 성인병 예방에도 탁월한 효과가 있다.

봉화시장 (2, 7일)

봉화시장 (2, 7일)

17.6 Km    11632     2023-11-23

경상북도 봉화군 신시장1길 4 제2상설시장
054-673-5935

봉화시장은 내성천 다리를 건너 시외버스터미널(봉화정류소) 옆에 위치하였으며 매달 2, 7, 12, 17, 22, 27일에 장판을 벌인다. 특히 봉화시장경기 활성화를 위하여 조성한 신시장 일대에 각종 장판이 집합을 이루고 있다. 봉화 전통장날이 생긴 것은 해방 전후로 알려지고 있으며 산업화 이전인 60∼70년대만 하더라도 13만 가까이 되는 인구와 각종 광산의 활기로 북부지역에서는 가장 큰 상권을 형성하였으나 산업화에 따른 농촌인구의 급격한 감소로 점차 쇠퇴하여 가고 있다. 봉화장은 농촌에서 재배한 각종 채소와 과일, 가축, 고추, 대추, 약초 등과 각지에서 모여든 잡상인들로 붐비며, 대부분 농가에서 직접 재배한 것을 소매하기 때문에 상품이 신선하고, 싼 값으로 구매를 할 수 있다.

사느레정원

17.7 Km    0     2024-01-24

경상북도 영주시 문수로1363번길 30

경북 영주시에 위치한 사느레정원은 식물원이 있는 정원인테리어의 카페이다. 봄, 여름에 가면 온통 초록초록한 색감들로 가득해 모든 곳이 포토스팟이라고 할 수 있다. 가을에 가도 분위기 좋은 여유를 즐길 수 있다. 음료도 맛있지만 스콘과 땅콩쿠키컵이 대표메뉴일만큼 인기를 끈다.

다덕약수탕

다덕약수탕

18.1 Km    28765     2024-05-30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진의실길 6

다덕약수탕은 봉화의 청정 탄산 약수 중의 하나이다. 옛날 스무나무 아래 약수가 있어 이를 마시고 많은 사람이 덕을 보았다 하여 다덕(多德)약수라 불리는 이곳은, 탄산과 철분 등이 함유되어 있어 톡 쏘는 맛이 있다. 예로부터 피부병과 위장병에 많은 사람들이 효험을 보았다 하고, 지금도 전국에서 많은 사람들이 찾고 있다. 울진·태백 방향의 국도변에 자리 잡고 있어서 지나는 길에 들러보아도 좋다. 약수탕 주변 음식점은 2001년 봉화지정 토속음식단지로 약수로 고아 만든 약수닭백숙, 오리한방백숙을 비롯한 봉화산송이돌솥밥, 봉화한약우구이 등 토속음식을 맛볼 수 있으며 봉화 농특산물 직판장이 있다. 약수탕은 봉화군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경상북도보건환경연구원의 정기적인 수질검사를 진행한다.

약수식당

약수식당

18.1 Km    1     2024-04-04

경상북도 봉화군 진의실길 6

약수식당은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우곡리에 위치하고 있다.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활의 달인’에 소개된 바 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외부에는 원두막으로 이루어진 좌석이 갖추어져 있다. 대표 메뉴는 매콤한 맛이 일품인 닭 불고기다. 이 밖에 닭백숙, 토종닭 한방백숙, 오리한방백숙 등이 준비되어 있다.

예천가든

예천가든

18.1 Km    2     2022-10-26

경상북도 봉화군 진의실길 4-1

예천가든은 경상북도 봉화군 봉성면 우곡리에 있다. KBS 2TV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생정보에 소개된 바 있다. 고풍스러운 멋을 풍기는 외관과 예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오리탕이다. 이 밖에 능이 토종닭, 토종닭, 오리 주물럭, 송이구이, 송이전골, 된장찌개 등 여러 가지 요리가 준비되어 있다. 오전 7시에 문을 열기 때문에 아침 식사를 하기 좋다. 풍기IC에서 가깝고, 주변에 국립백두대간수목원과 문수산 자연휴양림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