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조태성실비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원조태성실비식당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원조태성실비식당

9.2Km    2025-03-14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감천로 4
033-552-5287

원조태성실비식당은 1995년 상장동에 문을 연 태백 한우 전문점이다. 한우 생등심 한 가지로 일관하여 태백한우고기를 제맛에 즐길 수 있는 실비집으로 뿌리내리고 있다. 가게 사장님은 오래전부터 태백에서 정육점을 해와서 정확한 태백한우의 선별은 물론 가격도 정육점에서 내놓는 가격과 일반 한우구입의 중간쯤으로 정해 놓고 고기를 다소 넉넉하게 담아내 푸짐한 식사가 가능하다.

도계유리마을

도계유리마을

9.4Km    2025-03-21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도계로 31

삼척시 도계읍에 위치한 마을로 지역 폐자원을 이용한 신소재 개발 및 폐기물을 이용한 유리제품 개발로 친환경성 및 고부가가치의 산업으로 전환하여 국가 핵심 기간, 미래형 지식기반 산업화를 도모하는 마을이다. 지역 내 폐자원인 석탄 탄광에서 얻은 석탄을 채굴하고 남은 폐석을 이용해 유리 원료로 삼아 유리제품을 개발하며, 유리공예를 체험할 수 있는 체험마을이다.

강산막국수

강산막국수

9.4Km    2025-01-20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서학1길 79

강산 막국수는 태백시 황지동에 있다. 봄이면 목련이 흐드러지게 피는 넓은 정원을 지나야 매장이 나온다. 막국수를 전문으로 하는 곳으로 대표 메뉴는 막국수와 수육, 곁들여 먹을 수 있는 녹두 부침, 감자 부침, 수육, 가자미회 등이 있다. 수육은 윤기가 흐르고, 비빔막국수는 고소한 기름 냄새를 풍기며, 물막국수는 새콤한 국물이 시원하다. 평소에도 웨이팅이 길기 때문에 도착하면 대기자 명단에 이름과 인원수를 빠르게 적고 정원을 둘러보며 기다리면 된다.

태백문화원

태백문화원

9.5Km    2024-09-12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태백로 1136

태백문화원은 태백의 향토 문화와 역사, 지역문화를 계승시키고 발전시키기 위한 곳으로 조상의 얼과 지혜가 담긴 문화유산과 전설, 사라져가는 옛 생활의 풍습 등을 기록하고 보존하고 있다. 검룡소, 황지연못, 태백산 천제단, 대한석탄공사 장성광업소 등 태백의 자랑과 역사를 간직하고 계승시키기 위해 설립되었다. 문화원은 전시실과 강당, 도서실, 영상실, 체험실 등의 시설로 나뉘며 다양한 문화행사와 교육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사물놀이와 가야금 등 전통 교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서예, 중국어 회화 등 문화학교를 운영하고 태백산 천제, 낙동강 발원제, 태백산 청소년 문화캠프, 태백산 문화탐방 등의 다양한 문화행사 등을 개최하고 있다. 태백문화원은 태백시 문화재단과 협력하여 태백의 문화예술 활성화을 위해 태백 시민합창단, 태백 시민오케스트라, 태백 시민무용단 등의 문화예술단체도 지원하고 있다.

도계유리나라&나무나라

9.5Km    2024-05-21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강원남부로 893-36

도계 유리나라는 유리를 지역 특화산업으로 육성하여 2018년 설립한 체험형 문화공간이다, 탄광지역인 도계에서 생산된 석탄 폐석을 활용해 유리 생산에 성공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유리나라에는 아름다운 유리공예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유리갤러리, 유리역사관, 유리테마관 등이 있으며, 유리공예를 직접 체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도 준비되어 있다. 유리공예 작품 제작과정을 직접 감상할 수 있는 ‘블로잉 시연’이 매일 5회 진행되어 유리공예의 매력을 한껏 느끼고, 아름다운 추억을 만들어 갈 수 있다. 삼척시는 우리나라의 주산맥인 태백산맥의 동쪽에 위치한 지역으로, 대부분 고지대 산간지형으로 형성되어 있어 풍부한 산림자원을 보유한 도시이다. 도계 나무나라에서는 아주 오래 전부터 우리의 생활과 맞닿아 많은 이로움을 주는 나무를 재미있고 유익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다양한 볼거리와 오감만족 체험 프로그램을 준비하여 자연친화적 공간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주요시설로는 나무이용 전시실, 나무도서관, 나무놀이터, 피노키오 전시실, 피노키오 제작실 등이 있다.

도계역 급수탑

도계역 급수탑

9.6Km    2024-05-29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전두남1길 33-20

삼척시 도계역 급수탑은 도계역 내에 있는 옛 증기기관차 급수시설이다. 1940년 설치된 급수탑으로 원주역 급수탑과 함께 당시의 전형적인 급수탑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물탱크 용량은 26t, 바닥 면적은 16㎡, 하부 둘레는 14.2m이다. 높이는 8m로 다른 급수탑에 비해 낮은 편인데, 이는 철로 면보다 4m 높은 곳에 설치하여 적정 수압을 얻어낼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한 것으로 지형을 고려하여 급수탑의 높이를 조절한 독특한 사례이다. 도계역 급수탑은 물탱크를 받치고 있는 하부와, 물탱크 시설인 상부로 나뉜다. 하부는 급배수를 하기 위한 기계실로 바닥은 원형이고, 기계실 내부 천정은 돔 형식으로 되어 있으며, 하부의 기계실 출입구는 아치형 문틀로 이루어져 있다. 상부는 물탱크 시설로 돔 형식으로 4개의 반원형 도머 창문을 설치하여 환기구로 이용하고 있다. 2003년 국가등록문화재로 등록되었다.
(출처: 삼척문화관광 홈페이지)

삼척 도계전두시장

삼척 도계전두시장

9.7Km    2025-03-21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읍 강원남부로 1488
전두시장 번영회 033-541-8151

강원 삼척에 위치한 도계전두시장은 지역 주민들의 일상과 전통을 엿볼 수 있는 시장이다. 시장 내에는 다양한 먹거리가 있어, 지역 특유의 맛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전통적인 시장 분위기와 활기찬 상인들의 모습이 방문객들에게 친근감을 준다. 탄광 지역의 유일한 상설시장인 전두시장은 항상 신선한 지역 특산품을 취급하고 있어 시민들로부터 사랑을 받고 있으며, 앞으로 많은 관광객이 찾을 수 있는 특성화 시장으로의 변모를 꾀하고 있다.

만항재

9.7Km    2025-03-17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고한읍 함백산로 865

함백산 자락에는 눈꽃 명소인 만항재와 설경이 유독 아름다운 정암사가 있다. 만항재는 강원도 정선과 태백, 영월이 경계를 이루는 고개이다. 높은 고갯마루에 펼쳐진 순백의 세상과 발아래 겹겹이 물결치는 백두대간 풍경은 고갯길에서 가만히 서 바라보는 것만으로 황홀감을 안겨준다. 만항재는 천상의 화원이라는 수식어가 늘 따라다닌다. 봄부터 가을까지 다양한 야생화가 풍성하게 피어나고 이른 아침이면 안개가 밀려들어 몽환적인 풍경을 연출한다. 모든 풍경이 아름다우나 진정한 만항재의 매력은 겨울에 있다. 만항재가 자리한 곳은 함백산 줄기가 태백산으로 흘러내리다 잠시 멈춘 곳으로 해발고도가 1,330m에 달한다. 고도가 높고 워낙 추운 지역이라 겨우내 환상적인 설국이 펼쳐진다. 만항재는 국내에서 차로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고개로도 유명하다. 힘들게 산행을 하지 않아도 아름다운 설경을 즐길 수 있다.

신가네식당

신가네식당

9.8Km    2025-01-13

강원특별자치도 태백시 상장3길 26

신가네식당은 강원도 태백시에 있는 쌈밥 전문 식당이다. 태백 현지인들이 많이 찾는 식당인데 태백산 등산객도 현지인 추천을 받아 많이 찾는다. 쌈밥을 주문하면 돼지고기 주물럭과 된장찌개, 쌈이 다양한 밑반찬과 함께 나오고 생선구이 정식을 주문하면 주물럭 대신에 생선구이가 나온다. 물닭갈비도 주문할 수 있다. 주물럭에는 밥을 추가해서 마지막으로 볶음밥을 만들어 먹을 수도 있다. 주차장은 매장과 조금 떨어진 곳에 넓은 전용 주차장이 있다.

텃밭에노는닭

텃밭에노는닭

9.8Km    2025-01-14

강원특별자치도 삼척시 도계로 334 텃밭에노는닭

텃밭에노는닭은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물닭갈비 전문점이다. 평일에는 강원대 학생으로 가득 차고, 평소에는 지역 주민들로 붐빈다. 명절에는 고향을 찾는 토박이들이 옛날 맛을 잊지 못하고 다시 찾아오는 곳이다. 조용하고 작은 시골 마을에 있는 식당인데도 항상 북적북적하다. 물닭갈비는 육수에 닭갈비를 끓여 먹는 음식이다. 매운맛과 순한 맛을 골라 선택할 수 있다. 주문을 하면 미나리와 깻잎이 잔뜩 올려진 닭갈비에 우동사리가 얹혀 나온다. 이곳은 사리를 처음부터 추가해야 한다. 반찬은 단무지와 무김치다. 메인 메뉴가 자극적이라 별도 반찬은 필요하지 않다. 볶음밥이 별미인데, 나중에 밥을 볶아 먹으려면 국물을 조금 남기면 된다. 주차장은 길 건너에 주차 공간이 넉넉하게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