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계정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약계정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약계정

10.8Km    2025-03-28

경상북도 안동시 길안면 용계은행나무길 371-15

※ 25년 3월 산불로 인해 전소되어 방문 전 참고 부탁드립니다.
.text202503{ COLOR: #FF0000; } 안동시 길안면에 있는 약계정은 현종 때 영릉 참봉을 지낸 약계 권순기 공이 강학을 하던 정자이다. 약계 권순기는 어려서부터 재기가 특출하고 학문이 뛰어났으나, 과거에 응시할 적령기의 전후 6년에 걸쳐 생가와 양가 부모의 상을 당해 시기를 놓쳤다. 그 후 어버이가 살아 있지 않아 장차 영친할 일이 없다고 하면서 과거 공부를 폐하였으며, 가정을 주간하여 선대의 업을 계술하는 것을 위무로 삼았던 인물이다. 약계정은 원래 반변천 옆에 건립하였으나 수해로 유실되어 1897년(광무2) 마을 안으로 이건하여 보존되어 오다가, 임하댐 건설로 인하여 길안면 용계리에서 1989년 현 위치로 다시 이건하였다. 약계정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홑처마 집으로 자연석 덤벙 주초 위에 원주 및 각주를 사용하여 건립한 검소한 정자이다. 마룻바닥을 지반에서 5자 정도로 높게 하여 누마루와 같은 느낌을 준다. 측면 2칸 중 앞쪽 열은 뒤쪽 열보다 좁게 하여 퇴칸으로 하였다. 여기에 마루를 두었는데, 6자 정도로 비교적 널찍하게 하고 전면 기둥 앞으로도 마루를 2자 정도 연장하여 툇마루의 기능을 강화하였다. 정면과 양 측면에는 난간을 설치하여 정자로서의 모양을 갖추었다. 뒤쪽 3칸은 어칸이 마루로 전면의 누마루와 연접되어 있으나 네 짝 들문을 달아 마루방으로 꾸몄다. 양 퇴칸은 온돌방을 들였는데 방의 앞부분은 쌍여닫이 세살문을 달았으나, 마루 쪽으로는 띠살무늬의 네 짝 들문이 설치되어 있다. 기둥은 전면과 배면을 달리하였는데 전면에는 주두, 소로 및 보아지를 사용한 무익공으로 처리하고 배면은 납도리에 장혀를 받친 장혀수장으로하여 간략하게 처리하여 정면을 돋보이게 하였다. 5량가로 대량과 퇴량 위에 판대공을 세워 종량을 놓았으며, 그 위에 제형판 대공을 올렸다. 중도리와 종도리 장혀 하부에는 첨차를 끼워 약간의 격식을 갖추고자 하였다.

지례예술촌

10.9Km    2024-03-26

경상북도 안동시 임동면 지례예술촌길 427
054-852-1913

지례예술촌은 안동에서도 구비구비 첩첩산중 호숫가에 홀로 있어 자연의 아름다움, 평화로움, 고요함, 그리고 360여 년의 옛스러움을 오롯히 느낄 수 있는 공간이다. 객실은 지촌종책, 지산서당, 정곡강당, 주사 건물에 17개의 온돌방이 있고, 객실에따라 임하호를 한눈에 감상할 수 있다. 아침에는 물안개 피는 호수가, 밤에는 쏟아지는 별과 반딧불이가 신비로움을 더해준다. 한복, 한식, 명절, 제례, 세시풍속, 고기잡이, 곤충채집, 밤하늘관측 체험 프로그램 등을 운영한다.

주방천 페퍼라이트

주방천 페퍼라이트

10.9Km    2024-11-08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페퍼라이트’란 용암 혹은 마그마가 바다나 호수의 퇴적물, 혹은 아직 단단하게 굳지 않은 퇴적물과 만날 때 급격하게 식으면서 깨진 조각들이 퇴적물과 뒤섞이면서 만들어진 암석이다. 마치 수프에 후추를 뚜린 듯한 모양이라 해서 후추의 페퍼(pepper)와 암석(-rite)이 합쳐져 페퍼라이트란 이름이 붙여졌다. 주왕산 국립공원 입구에서 용추폭포까지 현무암 속에 붉은색 암석 파편들이 포함된 페퍼라이트를 관찰할 수 있다. (출처 : 청송세곋지질공원)

용추 협곡

용추 협곡

10.9Km    2024-11-08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용추(龍湫)’란 용이 하늘로 승천한 웅덩이를 뜻하고, ‘협곡’은 급경사를 이루며 암석이 양쪽으로 높이 서 있는 좁고 깊은 골짜기를 말한다. 주왕산의 용추 협곡은 백악기 후기(1억 년~6,500만 년 전) 화산 폭발로 분출된 화산재가 두껍게 쌓이고 굳어져서 만들어진 응회암이 오랜 시간 동안 풍화, 침식되어 만들어졌다. 용추 협곡의 폭포는 총 3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1단 폭포 아래에는 선녀탕, 2단 폭포 아래에는 구룡소라는 돌개구멍이 있고, 3단 폭포 아래에는 폭호(폭포의 바닥 부분이나 물이 떨어지는 힘에 의해 침식되어 형성된 지형)가 있다. (출처 : 청송세계지질공원)

용연폭포

용연폭포

10.9Km    2025-04-15

경상북도 청송군 주왕산면 상의리

용연폭포는 2단 폭포로 구성되며, 주왕산의 폭포 중 가장 크고 웅장한 규모를 자랑한다. 또한 두 줄기의 낙수 현상으로 인해 쌍용추폭포라고도 불린다. 1단 폭포의 양쪽 단애면에서 각각 3개의 하식동을 관찰할 수 있다. 폭포가 형성되고 발달하면서 침식에 의해 폭포 면이 차츰 뒤로 밀려나가게 되었다. 지금의 폭포 면에서 가장 먼 부분의 하식동이 가장 먼저 만들어졌고 폭포가 차츰 후퇴하면서 두 번째, 세 번째 하식동이 만들어졌다. (출처: 청송군 문화관광)

남관생활문화센터

남관생활문화센터

11.0Km    2025-03-05

경상북도 청송군 부남면 부남로 14

남관생활문화센터는 전 대전초등학교 건물과 부지를 리모델링한 공간으로 우리나라 추상미술계의 거목이자 경상북도 청송군 출신인 남관화백을 기리고자 조성한 공간이다. 남관생활문화센터 내에 남관화백의 작품 및 소장품 등을 전시하고 재해석한 공간인 남관미디어아트관을 개관하였다. 이를 통하여 지역 문화관광을 자원화하고 군민 및 관람객의 문화향유 기회를 제공함과 동시에 지역의 개인과 동아리들이 다양한 문화 예술 창작활동을 펼치고, 예술 커뮤니티 공간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운영하고 있다. 오픈키친을 통하여 요리를 배울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과 별관에 위치한 공예 카페 ‘학교 종이 땡땡땡’에서 손뜨개 등의 체험 프로그램을 경험할 수 있다.

청송의 송소고택과 주산지를 보다

청송의 송소고택과 주산지를 보다

11.2Km    2023-08-09

경북 청송의 주요 유적지인 송소 고택은 7동 99칸의 대갓집이다. 삼부자댁으로 불리던 이 집은 전통적인 양반집을 고스란히 간직한 문화재로 유명하다. 야송미술관과 주변 용모양 바위와 널리 알려진 주산지도 청송의 볼거리다.

군립 청송야송미술관

군립 청송야송미술관

11.2Km    2024-11-11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경동로 5162

2005년 개관한 청송 야송미술관은 청송군에서 폐교가 된 신촌초등학교를 개조하여 만든 미술관으로 3개의 전시실과 야외조각 전시장, 미술도서관, 미술교육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청송 지역 출신 한국 화가인 한국화가 야송 이원좌 화백이 기증한 한국화 및 도예작품 등 350점, 국내외 유명 화가와 조각가들의 작품 50여 점, 미술 관련 서적 1만여 점을 전시하고 기획전과 미술교육 강좌를 진행한다. 주변에 청송자연휴양림과 사남고택과 서벽고택 등이 있는 평산 신씨의 집성촌인 중평선비마을이 있어 함께 관광할 수 있다.

가든세계평화

가든세계평화

11.3Km    2024-02-28

경상북도 청송군 경동로 5185

가든세계평화는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신촌리에 있다. 세월의 흔적이 엿보이는 외관과 고풍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약수에 전복, 녹두, 닭다리를 넣고 끓인 백숙 2그릇과 닭불고기 한 접시가 포함된 세트메뉴 숯불닭불백숙이다. 닭가슴살에 특제 양념을 입혀 구운 닭불고기도 별미다. 이 외에 누룽지 백숙, 닭날개 등도 맛볼 수 있다.

계곡가든

계곡가든

11.3Km    2024-07-02

경상북도 청송군 경동로 5173-3

계곡가든은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신촌리에 있다. KBS 1TV 시사 교양 프로그램 6시 내고향에 소개된 바 있다. 세월의 흔적이 엿보이는 외관과 예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닭불백숙이다. 이 밖에 닭백숙, 닭불고기, 닭날개, 찜닭, 토종탉 등을 판다. 동청송.영양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신촌약수탕과 군립청송야송미술관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