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3Km 2025-01-20
경상북도 경주시 한빛길36번길 36-1
슈만과 클라라는 경상북도 경주시 성건동에 있다. 현대적인 감각이 돋보이는 외관과 깔끔한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한쪽 벽면 전체를 진열장으로 만들어 다양한 종류의 커피와 찻잔 등을 구경하는 재미가 쏠쏠하다. 대표 메뉴는 마스터 추천 핸드드립 커피이며, 이 외에 다양한 원두의 핸드드립 커피를 맛볼 수 있다. 또한 직화식 롱 블랙, 아포가토, 아이리쉬 커피 등 다양한 음료 및 베이커리류를 맛볼 수 있다.
15.3Km 2024-08-21
경상북도 경주시 교촌길 39-9
진수성찬은 교촌한옥마을 안에 있다. 대표 메뉴는 암꽃게 간장게장 정식이다. 이 밖에 진수성찬 정식, 파 불고기 정식, 육회비빔밥 등을 맛볼 수 있다. 개별 룸과 야외 테이블에서도 식사가 가능하다. 반려동물과 함께 입장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목줄 착용은 필수다. 아울러 배설물 처리를 위한 비닐봉지 등도 함께 챙겨야 한다. 음식점 주변에는 첨성대, 경주 교촌한옥마을, 국립경주박물관 등 경주의 유명 관광지가 많다.
15.3Km 2025-04-02
경상북도 청도군 운문면 신원리 2087
운문산 군립공원 소머리 야영장은 경북 청도군 운문면에 자리 잡고 있다. 청도군청을 기점으로 약 40km 거리에 있으며, 자동차를 타고 청매로, 청려로, 운문로를 차례로 거치면 닿는다. 도착까지 소요 시간은 60분가량이다. 이곳은 도로와 인접해 접근이 쉽고 주변이 산에 둘러싸여 있다. 캠핑장 앞으로는 계곡물이 넓게 흐르고 있고 입구에 들어서면 이곳의 상징인 거대한 소머리 형상 인공암벽 시설을 만날 수 있다. 캠핑장에는 맨흙으로 이뤄진 일반 야영장 112면을 마련했다. 사이트 크기와 개수는 가로 6m 세로 7m 57면, 가로 8m 세로 10m 55면이며, 간격이 넓고 여유롭다. 전기 사용이 가능하고 개인 트레일러와 카라반 입장은 불가능하다. 캠핑장은 사계절 내내 운영하며, 예약은 현장 접수로만 받는다. 캠핑장 인근에는 국립 운문산 자연휴양림, 운문사 등 여행지가 많아 연계 관광이 손쉽다. 가까운 거리에 여러 음식점이 있어 마음에 드는 요리로 즐길 수 있다.
15.3Km 2024-07-31
경상북도 경주시 첨성로 109 (황남동)
010-6744-8782
경주 황남동에 위치한 한옥스테이 수향은 1974년도에 지어진 한옥을 리모델링한 공간으로, 고요한 감성을 위해 시각적 화려함보다는 최대한 자연친화적으로 연출하였다. 객실은 상현방과 하현방 2개로, 상현방은 향균매트리스와 호텔식 침구가 있는 침실, 화장대, 다이닝룸, 반신욕탕이 있는 욕실로 구성되어 있고, 하현방은 온돌방, 화장대, 다이닝룸, 욕실로 구성되어 있다. 조식으로 토스트, 잼, 주스, 드립백 커피, 과일을 제공한다.
15.3Km 2024-11-11
경상북도 경주시 노동동
054-777-6782~4
신라문화제는 1962년 제1회를 시작으로 올해 51회를 맞이한다. 2024 제51회 신라문화제는 대릉원을 배경으로 놀라운 퍼포먼스가 펼쳐질 신라복 판타지 패션쇼 - 천년비상과 수많은 아티스트들의 화려한 공연이 연이어 펼쳐지는 거리예술축제, 실크로드페스타까지 진행된다. 시민과 관광객의 오감을 사로잡는 콘텐츠가 경주 봉황대와 대릉원을 뒤흔들 예정이다.
15.3Km 2025-01-06
경상북도 경주시 금성로395번길 25
산갈래 닭갈비 본점은 경상북도 경주시 성건동에 자리 잡고 있다. 매장이 크고 테이블이 많아서 대기 시간이 길지 않다. 대표 메뉴는 일반 닭갈비와 매콤한 닭갈비로 모두 국내산 닭만 사용한다. 양념에 강황 가루와 카레를 넣어 독특한 맛을 느낄 수 있고 볶음밥도 별미이다.주방에서 모두 익혀서 나오기 때문에 테이블에서 바로 먹을 수 있어 편리하다. 음식점과 가까운 거리에 황리단길, 대릉원, 첨성대, 동궁과 월지 등 경주의 유명 관광지가 많다.
15.3Km 2024-01-17
경상북도 경주시 원효로 87
스틸룸은 경상북도 경주시 노동동에 있다. 세련된 외관과 차분하면서 묵직한 느낌의 내부가 눈에 띄는 양식집이다. 대표 메뉴는 소고기를 파이에 말아 구워낸 비프 웰링턴이다. 부드러운 당근 퓌레, 토마토소스, 볶은 양파가 함께 나오는 소고기스테이크, 달달한 단새우와 향긋한 감태, 특제 소스와 생면이 어우러진 단새우 감태 파스타도 맛볼 수 있다. 경주 IC에서 가깝고, 인근에 대릉원돌담길, 첨성대, 경주 쪽샘유적발굴관이 있어 연계 여행에 나서기 좋다.
15.3Km 2024-11-13
경상북도 경주시 태종로 757
2000년 11월에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된 <경주역사유적지구(慶州歷史遺蹟地區)>는 신라시대(新羅, 57-935)의 고도인 경주의 역사와 문화를 고스란히 담고있는 유적 지구(地區)이다. 유적의 성격에 따라 모두 5개의 역사 유적지구로 나뉜다. 첫번째로는 신라 불교미술의 보고인 남산(南山)지구이다. 경주 남산은 야외박물관이라고 할만큼 신라의 숨결이 살아 숨쉬는 곳으로 신라왕조가 종말을 맞았던 포석정(鮑石亭, 사적)과 탑곡 마애조상군(塔谷 磨崖彫像群, 보물), 천룡사지 삼층석탑(天龍寺址 三層石塔, 보물), 칠불암 마애석불 (七佛庵 磨崖石佛, 보물), 불곡 석불좌상(佛谷 石佛坐像, 보물) 등 37개의 불교유적이 흩어져 있다. 두번째는 신라 천년왕조의 궁궐터인 월성(月城)지구이다. 계림(鷄林, 사적), 신라왕궁의 별궁터였던 동궁과 월지(東宮과 月池, 사적), 그리고 동양최고의 천문시설인 첨성대(瞻星臺, 국보) 등이 있다. 세번째, 신라 왕과 왕비, 귀족들의 고분군(古墳群) 분포지역인 대릉원(大陵苑) 지구이다. 구획에 따라 노동리 고분군(路東里, 사적), 노서리 고분군(路西里, 사적), 황남리 고분군(皇南里, 사적), 오릉(五陵, 사적), 재매정(財買井, 사적) 등이 있는데 무덤의 발굴조사에서 당시의 생활상을 파악할 수 있는 금관(金冠), 천마도(天馬圖), 각종 토기(土器) 등 귀중한 유물들이 출토되었다. 네번째로는 신라 불교의 정수인 황룡사지구에는 황룡사지(皇龍寺, 사적)와 분황사 석탑이 보존되고 있으며, 마지막으로 왕경(王京) 방어시설의 핵심인 산성지구로 400년 전에 쌓은 것으로 추정되는 명활산성(明活山城, 사적)이 속해있다.
※ 경주역사유적지구에는 총 52개의 지정문화재가 세계문화유산지역에 포함되어 있다.
[ 남산지구 (사적) ]
- 보리사마애석불(지방유형문화재), 미륵곡 석불좌상(보물), 용장사곡 삼층석탑(보물)
- 석불좌상(보물),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보물), 천룡사지 삼층석탑(보물)
- 남간사지 당간지(보물), 남간사지 석정(지방문화재자료), 경주남산리 삼층석탑(보물)
- 경주배리 석불입상(보물), 윤을곡 마애불좌상(지방유형문화재), 삼릉(사적)
- 불곡 석불좌상(보물), 신선암 마애보살반가상(보물), 칠불암 마애석불(보물)
- 탑곡 마애조상군(보물), 경주 남산 삼릉계 석조여래좌상(보물)
- 삼릉계곡 마애관음보살상(지방유형문화재), 삼릉계곡 마애 석가여래좌상/선각여래좌상(지방유형문화재)
- 삼릉계곡 선각 육존불(지방유형문화재), 입곡 석불두(지방유형문화재), 침식곡 석불좌상(지방유형문화재)
- 열암곡 석불좌상(지방유형문화재), 약수계곡 마애입불상(지방유형문화재)
- 백운대 마애석불입상(지방유형문화재),포석정지(사적), 경주 남산성(사적), 서출지(사적)
- 신라일성왕릉(사적), 신라정강왕릉(사적), 신라헌강왕릉(사적)
- 신라내물왕릉(사적), 지마왕릉(사적), 경애왕릉(사적), 경주나정(사적)
- 경주남산동 석조감실(지방문화재자료)
[ 월성지구 ]
- 계림(사적), 경주 월성(사적), 동궁과 월지(사적), 첨성대(국보)
- 내물왕릉계림월성지대(사적 및 명승)
[대릉원지구]
- 미추왕릉(사적), 경주 대릉원 일원(사적), 오릉(사적)
- 동부사적지대(사적), 재매정(사적)
[황룡사지구]
- 경주 황룡사지(사적),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국보)
[산성지구]
- 경주 명활성(사적)
15.3Km 2025-03-13
경상북도 경주시 내남면 용장리
경주 남산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은 남북국시대 신라의 불상이다. 용장사는 매월당 김시습이 <금오신화>를 쓰며 머물던 곳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경주 남산 전역에서도 손꼽히는 큰 사찰이다. 이 용장사터를 내려다보는 곳에 위치해 있는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은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 바로 뒤에 있는 바위에 새겨져 있으며, 판독이 아직 되지 않은 글자 10자가 함께 새겨져 있다. 머리 부분은 없어졌고 손과 몸체 일부가 남아 있는데 대좌에 비해서 불상은 작은 편이다. 어깨는 적당하고, 전반적으로 볼륨이 강조되지 않은 현실적인 체구로 어떤 승려의 자세를 보고 만든 것으로 보인다. 불상이 입고 있는 옷은 양쪽 어깨를 모두 감싸고 있으며, 옷자락이 대좌 윗부분까지 흘러 내리는데, 마치 레이스가 달린 것처럼 사실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이 석불은 특이한 대좌 뿐 아니라 석불 자체의 사실적 표현이 작품의 격을 높여주며, <삼국유사>에 등장하는 승려 대현과 관련된 유명한 불상이다. 대현의 활동 기간에 제작되었다고 보아 8세기 중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주변에는 보물로 지정된 용장사곡 삼층석탑과 보경주 남산 용장사곡 석조여래좌상이 있다.
15.3Km 2024-06-20
경상북도 경주시 첨성로 113
경주 원조콩국은 경상북도 경주시 황남동에 있다. TV조선 시사 교양 프로그램 식객 허영만의 백반기행, SBS 시사 교양 프로그램 생방송 투데이 등 여러 방송에 소개된 바 있다. 한옥으로 지어진 덕분에 고풍스러운 느낌의 외관과 예스러운 분위기를 연출하는 인테리어가 눈에 띈다. 내부에는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각종 모임을 하기 좋다. 대표 메뉴는 따뜻한 콩국이다. 검은깨, 검은콩, 꿀, 찹쌀도넛을 곁들여 먹는 메뉴 등 세 가지로 나뉜다. 이 밖에 콩국수, 냉우무콩국, 순두부찌개, 생콩우거지탕, 생콩해물파전 등이 준비되어 있다. 경주IC에서 가깝고, 주변에 첨성대, 국립경주박물관, 경주 교촌한옥마을 등 경주의 유명 관광지가 즐비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