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선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금정선원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금정선원

금정선원

10.4 Km    20558     2023-02-22

부산광역시 동래구 우장춘로 157-59

* 금정산의 유서깊은 사찰, 금정선원 *

우거진 백년노송과 기암괴석, 깎아 세운 듯한 절벽 등 산세의 수려함이 마치 작은 금강산과 같다 하여 신라 때부터 소금강이라 불렸던 부산 금정산(金井寺). 바로 이 금정산(金井山) 남동쪽 기슭에 드넓게 자리한 자연공원이 있으니 부산시민들의 넉넉한 쉼터인 금강공원이다.소금강이란 이름에서 유래된 이곳에는 잘 자란 나무가 무성한 숲을 이루고 산새를 비롯한 각종 동식물들이 있을 뿐 아니라 여러 사찰과 암자, 문화유적들이 적지 않은 곳이다. 그 중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한암, 효봉, 경봉, 성철, 석주스님 등 근대 한국불교계의 흔치않은 큰 거목들이 두루 주석하던 유서깊은 사찰이 있으니 바로 선학원 사찰 금정사이다. 이렇게 당대의 큰스님들이 한 절에 모인 예는 무척 드문 일로 1950년 한국전쟁 당시 합천 해인사의 가야총림이 문을 닫고 스님들이 남하하게 되자 그해 겨울 효봉 방장스님은 금정선원, 그리고 그 제자 구산스님은 진주 응석사에 주석하시면서 이 일대의 선풍이 드날리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한다. 또한 금정사는 근대 최초의 방생지로 유명한 곳이다.

예로부터 우리나라에는 전국에 걸쳐 많은 방생지가 있었는데 세월이 흐르면서 유명무실해지자 2004년 입적한 칠보사 조실 석주스님이 이곳에 절 마당을 파고 방생지를 설립, 그물이나 낚시로 인해 또다시 화를 입는 물고기들을 위한 회향터를 이루었다 하니 방생의 참뜻을 되짚어 보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1924년 금우(金牛)스님에 의해 초창된 금정사는 고승대덕들이 왕래하며 머문 참선도량으로 푸른 선지를 휘날렸을 뿐 아니라 재가불자들의 참선수행을 위한 선원을 개설하는 등 정통선원으로 거듭나 있다.

* 조선시대 사형장이었다고? 금정사의 설화 및 역사 *

금정사는 1924년 금우스님에 의해 기도처로 창건됐다. 구전에 이곳이 절골이었다는 것으로 미루어 그 오랜 옛날에는 사찰이 있었던 자리였으리라 짐작하지만 전해오는 문헌이나 기록은 전무하다.지금으로부터 1백여년 전인 조선말기, 금정사가 자리한 이곳은 동래부의 사형집행장이었다고 한다. 지금과 달리 인적도 드물고 산세도 험하던 시절이라 비만 오면 이곳에서 형장의 이슬로 사라진 원혼들의 울음소리가 들려 인적은 더욱 드물게 되었다. 인적이 드물어지자 나병환자들이 모여들어 집성촌이 형성되는 바람에 아랫마을 사람들의 원성이 더욱 높아져 동래부사와 금우스님이 이곳에 토굴을 짓고 기도처로 자리잡았다고 한다. 홀로 목탁을 치며 죽어간 원혼들을 달래주던 스님은 훗날 신도들이 하나둘 생겨나자 원력을 세워 사격을 갖추기 시작했다. 그 뒤 금정사는 1954년 무렵부터 석주스님의 도움으로 중창을 거듭했으며 1993년 대대적인 중창 이후 참선수행도량으로 탈바꿈하게 된 것이다.

부산 가톨릭 특성화 거리

부산 가톨릭 특성화 거리

10.4 Km    2864     2023-12-14

부산광역시 금정구 오륜대로 57

부산 부곡동 지산고등학교 정문에서 가톨릭대학교 정문 인근 약 120m 구간은 일명 ‘가톨릭 특성화 거리’로 불린다. 한국순교복자수녀회, 오륜대 한국순교자박물관, 사도성요한수도회 등 가톨릭 관련 대학과 고등학교를 비롯해서 두 개의 수녀회 본원과 성지, 복지· 피정 시설까지 자리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산고등학교 벽면에는 한국 가톨릭의 박해기·부흥기를 거쳐 현재에 이르기까지 역사적 사건이 조각돼 있다.

부산국제공연예술마켓(BPAM)

부산국제공연예술마켓(BPAM)

10.4 Km    2     2024-02-06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133번길 16 시민회관
051-745-7235(부산문화재단 예술지원팀 손정은)

부산국제공연예술마켓(BPAM)은 올해 10월 부산에서 개최되는 페스티벌형 공연예술마켓이다. ‘공연예술의 새로운 물결’이라는 슬로건으로, 거리예술을 포함하여 연극, 무용, 음악 등 공연예술 전 장르를 아우르며, 국내외 총 100여 개 작품이 참여할 예정이다. 2030 세계엑스포 개최 예정지이자, 대한민국 제1의 항구도시 부산에서 공연예술산업 관계자, 예술가, 시민들이 함께 즐길 수 있는 공연예술마켓이다.

본 행사는 공연예술과 함께 미팅프로그램(세미나, 쉼터운영, 매칭프로그램, 부스운영, 네트워킹 파티)이 진행된다. 산업관계자와 예술가, 시민, 기업, 기관 관계자가 마주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여 활발한 공연예술작품의 구입 및 구매의 장을 만들어갈 예정이다.

글로빌아트홀

10.4 Km    1     2024-01-10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북로48번길 162 (온천동)

오케스트라나 자신이 연주한 노래나 악기 또는 오케스트라의 순수 사운드를 전자기기나 전자 장치에 의해 가공되지 않고 그대로 전달할 수 있는 어쿠스틱(순수한 공간 음향) 공간을 가진 글로빌아트홀은 주파수 대역별로 설계된 자연 나무 재질의 디퓨저를 사용하여, 직접음과 간접음을 홀 전체에 골고루 전달하여 높은 퀄리티의 사운드가 전달되도록 설계된 전문 음향 공간이다. 1층에는 관객들을 맞이하는 아트홀 로비와 라운지가 있어 공연 전·후, 인터미션 등 시간적 여유가 있을 때 함께 이야기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이 구성되어 있으며, 연주자들이 최상의 컨디션을 준비할 수 있는 대기실이 구비되어 있다. 대기실 내에는 2층으로 이동할 수 있는 계단이 존재할 정도로 큰 공간을 자랑하며, 의상 보관함, 전신거울, 의자를 비롯한 그 외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2층은 주로 녹음에 관련된 작업이 이루어지며, 1층에 위치한 홀에서 이루어지는 연주의 음향을 조절하고, 같은 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녹음 및 녹화 작업을 진행, 조절, 편집하는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어 글로빌 아트홀의 중추적인 역할을 하는 곳이다. 3층의 강의실 및 세미나실에서는 노래, 악기 연주, 실용음악, 음향 기술 전문가 자격증 과정 등 다양한 강좌가 마련되어 있어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공간이다.

올리브영 부산사직점

10.4 Km    0     2024-06-12

부산광역시 동래구 사직북로 1

-

부산시민회관

부산시민회관

10.4 Km    27629     2024-05-31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133번길 16

부산시민회관은 동구에 위치한 종합 공연장으로 1973년 10월 10일에 개관했다. 공연장 사정이 열악했던 시절 부산 최초의 대규모 공연 시설로 화제를 모았다. 오랜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시민회관은 대극장(1,606석)과 소극장(385석)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민들이 친근하게 다가올 수 있는 공연과 문화행사가 있는 쉼터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대극장은 오케스트라 피트, 회전무대 등을 갖추고 있어, 콘서트, 오페라, 뮤지컬까지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소화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 외에 소규모 공연에 적합한 소극장과 미술작품 등의 전시회에 쓰이는 전시실, 연회실, 야외무대, 연습실, 분장실 등을 갖추고 있다. 2005년부터 이용객의 편의를 위한 카페테리아도 운영하고 있으며, 소극장 앞 광장에 위치한 야외무대에서는 청소년 놀이마당, 야외음악회 등이 개최된다. 콘서트나 무대 작품 공연 외에 매주 월요일에는 국내외 영화를 상영하며 시에서 주관하는 각종 공식 행사도 개최한다.

렌즈미 부산서면점

렌즈미 부산서면점

10.4 Km    0     2024-06-21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690-1 (부전동)

-

에메필 서면

에메필 서면

10.4 Km    0     2024-03-24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지하 717(부전동)

-

APL BLACK 서면지하

APL BLACK 서면지하

10.4 Km    0     2024-03-24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지하 717

-

고향맛

고향맛

10.5 Km    14915     2023-02-20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711
051-803-1363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부전동에 위치한 고향맛은 쌈밥 전문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