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원사(서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 국내 여행 정보

한국관광공사에서 제공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봉원사(서울) - 주변 여행 및 근처 관광 명소 정보를 소개합니다.

봉원사(서울)

봉원사(서울)

10.0 Km    27140     2023-10-06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봉원사길 120

신라 제 51대 진성여왕 3년(889년) 도선국사가 현 연세대 터에 창건하고, 반야사라 하였다.제21대 영조 24년(1748년) 찬즙, 중암 두 스님에 의해 지금의 터전으로 이전하였고,영조는 친필로 봉원사라 현액하였으며, 신도들 사이에는 이 때부터 새로 지은 절이라 하여 "새절"이라 부르게 되었다. 제26대 고종 21년(1884년) 발생한 갑신정변의 주축을 이룬 김옥균, 박영효, 서광범 등 개화파 인사의 정신적 지도자였던 이동인 스님이 5년간 주석하였던 갑신정변의 요람지이기도 했다. 1911년 주지 보담스님의 중수와 사지의 확보로 가람의 면모를 새롭게 하였다. 1945년 주지 기월스님, 화주 운파스님과 대종의 원력으로 광복기념관을 건립하였다. 1950년 9월 28일 서울 수복 당시 병화로 광복기념관이 소진되었고, 이때 영조의 친필 현판 등 사보와 이동인스님 및 개화파인사들의 유물이 함께 소실되었다.

1966년 주지 영월스님, 화주 운파스님과 대중의 원력으로 소실된 염불당을 중건하였는데 이 건물은 대원군의 별처였던 공덕동 아소정을 옮긴 것이다.현재 봉원사는 한국불교의 전통 종단인 태고종의 총본산으로서 전법수행의 맥을 이어가고 있는 바 대중은 60여 스님, 신도는 10만을 헤아리며 박송암 스님(2000년 2월 입적), 이만봉스님이 주석하며 후학을 지도하고 있다. 교육기관으로는 옥천범음대학이 있고, 신행단체로는 관음회, 화엄법회, 청년회, 학생회, 어린이 인경회 등 법회가 개최되고 있으며 대외적으로도 교도소, 소년원, 양로원, 고아원,군부대 등을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교화활동을 펼치고 있어 태고종 총 본산으로서 그 소임을 다하고 있다.

* 영산재(靈山齋)

봉원사에서는 대한민국 국가무형문화재인 영산재 보존회 주최로 세계평화 및 남북통일을 기원하기 위하여 영산재를 봉행하고 있다.영산재란, 석가모니 부처님께서 영취산에서 법화경을 설하시는 도량을 시공을 초월하여 본 도량으로 오롯이 옮기고 영산회상의 제불보살님께 공양을 올리는 의식이다. 그리하여 살아있는 사람과 죽은 사람이 다 함께 진리를 깨달아 이고득락의 경지에 이르게 하는 의의가 있다. 그러므로 영산재는 공연이 아닌 장엄한 불교의식임을 인식해야 한다. 즉, 삶과 죽음으로 갈라진 우리 모두가 불법 가운데 하나가 되어 다시 만날 것을 기원하며, 부처님 전(前)에 행하는 최대 최고의 장엄한 불교 의식이다.

등대사진관

등대사진관

10.0 Km    2     2023-12-06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촌로29길 29 (한강로3가)

등대사진관은 1851년에 발명된 사진 기술인 습판사진술을 이용해 촬영하는 정통 흑백인물사진관이다. 습판사진이란, 1851년 영국인 프레드릭 스콧 아쳐에 의해 개발된 사진술로, 필름이 만들어지기 전 인물사진을 촬영할 수 있는 상용화된 최초의 사진 촬영 기술이다. 주로 철판이나 유리면에 감광유제를 발라 유제가 마르기 전에 촬영하는 방식으로 후일 건판 사진이 발명될 때까지 전 세계에 널리 사용되었던 사진 촬영 기술이다. 이 사진은 19세기 유럽과 특히 미국에서 성행했던 사진술로 우리가 잘 아는 5달러 지폐 속의 링컨 대통령의 사진이 바로 이 틴 타입 방식으로 촬영된 사진이다. 등대사진관은 이 습판 사진이 사진 기술로서 가치가 있다고 판단하여 20여 년의 잡지, 광고 사진가로서의 경험과 기술을 더하여 2015년부터 연구와 실험을 통하여 드디어 완성된 틴 타입 사진을 선보이게 되었다. 그래서 등대사진관 간판에도 [TINTYPE STUDIO 등대사진관]이라고 되어있다. 150년 전 사진 기법을 사용하는 아날로그 사진관이기 때문에 장비부터 옛날 영화에서나 보던 대형 사진기를 사용한다. 습판 사진의 결과물은 독특한 모노톤의 사진으로 아날로그 특유의 손맛과 19세기 사진 문화예술의 정수를 등대사진관에서 경험할 수 있다.

태릉왕갈비

태릉왕갈비

10.0 Km    3     2022-10-13

경기도 남양주시 불암산로 69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있는 고기 요리 전문점이다. 2층 건물로 내부가 넓은 편이고 야외석도 마련되어 있어 날씨가 좋으면 밖에서 식사하는 것도 좋다. 셀프 코너에서 추가 반찬을 가져다 먹을 수 있지만 양념게장은 별도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유아용 놀이시설이 있으며, 발렛파킹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다. 대표메뉴는 돼지갈비, 소생왕갈비, 소양념왕갈비이고 소갈비본살, 차돌박이, 육사시미, 육회, 삼겹살, 왕갈비탕, 차돌된장찌개, 냉면 등도 맛볼 수 있다. 식당 앞에 주차장이 있어 주차가 편리하다.

덕성여자대학교박물관

덕성여자대학교박물관

10.0 Km    21050     2023-12-05

서울특별시 도봉구 삼양로144길 33

덕성여자대학교박물관은 조선시대와 근대 우리나라 여성들의 생활민속문화재를 체계적으로 전시하여 한국 여성들의 생활문화상을 집중적으로 보여주는 박물관이다. 1971년 5월 1일 종로구 운니동 운현궁 일부에 개관하였다가 1982년 3월 도봉구 쌍문동으로 옮겼다. 서화, 도자기, 민속공예품을 비롯하여 현대미술품과 박물관 등에 관한 자료를 소장하고 있으며 특히 여성 생활과 관련된 민속유물 수집 및 전시에 중점을 두고 있다. 전시실에는 서예, 민화, 회화, 수사본, 탁본, 사진, 토기, 자기, 와당을 비롯하여 목죽초칠제품, 금속제품, 옥석류, 피모지직, 자수품, 의류, 관대 등의 소장품이 있으며 발굴수집품, 구입품, 기증품, 기탁품으로 나뉘어 전시되어 있다. 특히 독특한 자수품, 지공예품, 목공예품이 많다. 유물에 관련된 참고 도서도 비치하고 있어 관람 할 때 같이 보는 것을 추천한다.

한국순대(서초구)

10.0 Km    0     2023-12-13

서울특별시 서초구 바우뫼로35길 4

술 마시고 해장국으로 먹거나 술을 안주로 먹거나 하는 순대집답게 식당 외관은 포차를 연상시킨다. 순대와 수육이 메뉴를 다 차지한다. 벽 한가득 방문자들의 사인이 담긴 종이가 가득하다. 3호선, 신분당선 양재역 8번 출구에서 참포도나무병원 지나 골목 안에 있다.

상명아트센터

상명아트센터

10.0 Km    2     2023-09-20

서울특별시 종로구 홍지동

2009년에 개관한 상명아트센터는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에 위치하고 있는 공연장으로 계당홀과 대신홀로 나뉜다. 상명아트센터 계당홀은 오페라, 뮤지컬, 무용, 연극, 오케스트라, 교육, 행사 등의 종합구성물을 올릴 수 있는 무대와 1,464석의 객석을 갖춘 대극장이다. 대형 무대와 더불어 객석 가장 뒷좌석에서 무대와의 거리가 20미터로 무대 위의 공연자들과 함께 호흡할 수 있으며, 생동감과 친밀도를 느낄 수 있는 최적의 공간이다. 상명아트센터 대신홀은 리사이틀, 공연, 세미나 등을 올릴 수 있는 무대와 317석의 객석을 갖춘 중극장이다.

롯데슈퍼_공덕점

롯데슈퍼_공덕점

10.0 Km    0     2024-04-24

서울특별시 마포구 마포대로 109(공덕동)

-

원마산아구찜 홍제점

원마산아구찜 홍제점

10.1 Km    1     2024-03-26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통일로 387

원마산아구찜은 무악재역 4번 출구에서 도보 5분 거리에 있는 아귀찜 전문점이다. 신선한 식재료를 사용하여 직접 요리한 아귀찜이 대표메뉴이다. 이 외에 아귀탕, 해물찜, 해물탕, 코다리구이, 메밀부추전 등의 메뉴와 점심특선이 준비되어 있다. 단체석이 마련되어 있어 가족 모임이나 회식하기 좋으며 포장도 할 수 있다. 매장에 따로 주차 공간이 없어서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다.

창동문화체육센터

창동문화체육센터

10.1 Km    25948     2023-12-05

서울특별시 도봉구 노해로69길 132

창동문화체육센터는 2005년 개장했으며 수영장과 헬스장을 비롯해 다양한 체육 프로그램을 즐길 수 있는 공공체육시설이다. 공연장, 체육관, 풋살구장, GX 스튜디오 등 여러 가지 대관시설을 갖추고 있다. 이용객의 편의를 위하여 탈의실, 샤워장 등의 부대 시설을 갖췄으며 수영장에는 체온 유지를 위한 체온 회복실을 별도로 제공하고 있다. 엄선된 지도강사진을 선별하여 프로그램 만족도를 높이고자 노력하고 있으며 강습 프로그램 접수는 선착순으로 이루어진다.

필녀의 한정식

필녀의 한정식

10.1 Km    1     2024-02-28

서울특별시 송파구 동남로 308 KOBA빌딩

필녀의 한정식은 지하철 5호선 개롱역 1번 출구 인근에 있다. 1층은 주차장이고 2, 3층은 음식점이다. 주차는 발레파킹을 해 준다. 2층 실내 입구는 항아리가 장식되어 있고 테이블마다 프라이빗하게 먹을 수 있게 커튼이 설치되어 있다. 이 집은 보리굴비가 유명하나 필 정식도 인기 있는 메뉴다. 필 정식은 평일 점심시간에만 즐길 수 있는 메뉴로 한정식답게 반찬의 종류가 많이 나오고 영양죽, 궁중 잡채, 냉채 요리 등 계절에 맞는 요리가 나온다. 가족 모임이나 상견례 등을 하기에 적합한 식당이다. 단품 메뉴도 있고 모든 정식 메뉴에 밥은 돌솥에 나온다. 인근에 올림픽공원이 있어 식사 후 가벼운 산책을 할 수 있다.